•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검색결과 2,062건 처리시간 0.027초

Ensuring Patient Safety in Pediatric Dental Care

  • Daewoo Lee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09-131
    • /
    • 2024
  • This review aims to examine safety concerns in pediatric dental care and underscore the need for comprehensive patient safety initiatives within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Drawing insights from the prevailing patient safety policie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case reports, and systematic reviews, this review elucidates issues such as dental fires during sedation, ocular complications from local anesthesia, and surgical emphysema. This review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safety toolkits encompassing infection control, medical error reduction, dental unit waterline infection, and nitrous oxide safety in pediatric dental settings, underscoring the need to foster a safety culture. Furthermore, this study explores the curriculum for pediatric dentistry residency programs, emphasizing concepts such as high-reliability organizations and mortality and morbidity conferences. The study suggests the need for initiatives to enhance patient safety, including establishing safety committees, expanding reporting systems, policy development, and supporting research related to patient safety. In conclusion, this study underlines key messages, emphasizing the utmost priority of patient safety, acknowledging the inevitability of human error, promoting effective communication, and cultivating a patient safety culture. These principles are vital for advancing patient safety in pediatric dental care and improving outcomes among pediatric patients.

소아치과 진정법에 사용되는 약제 (Agents Used for Pediatric Dental Sedation)

  • 김지연;정태성;양연미;유승훈;최성철;신터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09-116
    • /
    • 2016
  • 오늘날 소아치과 진료에 있어서 진정법은 필수 불가결한 요소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에 대한소아치과학회는 학회원들의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진정법 시행을 돕기 위해 진정법 위원회를 결성하고 2014년 소아치과 개원의들의 진정법 사용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 한 바 있다. 이 설문조사 결과, 진정법을 시행하는 교육 코스가 만들어 진다면 참여할 의사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응답자의 86%가 참여의사를 밝혔으며 진정법 교육과정에서 배우고 싶은 내용으로 안전한 약물용량과 가이드라인이 2위를 차지하여 1위인 응급상황 시 대처법 다음으로 교육받고 싶은 내용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약물을 선택하고 용량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하므로 용량을 일률적으로 정하여 지침을 제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일이고 실제적으로도 그 어떤 진정법 지침에도 약물의 용량을 제시해 놓지는 않았다. 성공적인 진정법을 위해 소아치과의사는 각 과정마다 개별적인 치료 계획을 수립해야 하며, 각 진정제의 고유의 약효뿐 만 아니라 다른 약제들 간의 상호 작용에 대하여 충분히 숙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종설에서는 문헌 고찰을 통해 소아치과 임상에서 자주 사용되는 진정제들에 대한 정보를 되새기고 의사용 처방편람(Physicians' Desk Reference: PDR) 및 소아치과 분야의 다양한 교과서의 추천용량을 정리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Managing Short Root Anomalies in Pediatric Cancer Survivors: Utilizing Resin Wire Splints and Miniscrews for Skeletal Anchorage

  • Taegyoung Kim;Namki Choi;Seonmi Kim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88-98
    • /
    • 2024
  • Patients with pediatric cancer often undergo multiple therapies, such as chemotherapy, radiation therapy, and stem cell transplantation. These treatments, while essential, can result in dental developmental issues, including hypodontia, microdontia, short roots, and delayed dental development. This report presents two cases of pediatric patients diagnosed with neuroblastoma who exhibited severe tooth mobility due to short roots as a complication of cancer treatment. Moreover, we investigated the conservative management of the patients' conditions using resin wire splints and orthodontic miniscrews for skeletal anchorage along with long-term follow-ups to evaluate their prognosis.

소아치과의사의 진정법 사용에 대한 실태조사 (Survey of Sedation Practices by Pediatric Dentists)

  • 양연미;신터전;유승훈;최성철;김지연;정태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57-265
    • /
    • 2014
  • 본 연구는 대한소아치과학회 산하 진정법 교육연구위원회가 진정법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제정과 향후 정기적인 진정법교육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 시행하였다. 진정법을 사용하는 소아치과 회원 215명에게 2014년 2월 메일로 설문을 보내어 한달간 응답한 111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진정법은 어린이의 행동조절을 위해 선택되어, 3~4세 어린이(78%)에게 주로 사용되었다. 치료시간은 1~2시간(74.8%)이 많으며, 전악 치료(76.6%)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Chloral hydrate(CH) 50~70 mg/kg, hydorxyzine(Hx) 1~2 mg/kg, midazolam 근주(Mida IM) 0.1~0.2 mg/kg가 선호하는 진정법약제의 용량이었다. 진정법 시 선호하는 진정법 약제의 조합은 CH+Hx+$N_2O/O_2$(67.6%), CH+Hx+Mida 점막하투여(SM)+$N_2O/O_2$(29.7%), Mida IM+$N_2O/O_2$(23.4%) 등으로, 추가투여는 48%에서 행해지며 주로 Midazolam을 사용하고 있었다. 진정법 시 부작용을 경험한 응답자는 87.5%로, 주로 오심과 구토, 과흥분, 호흡저하 및 호흡곤란, 비틀거림 등이며, 약 20%만 정기적인 응급처치 교육을 받고 있었다. 진정법 후 환자 퇴원기준에 대해 응답자들은 명확한 퇴원기준의 부족과 추천하는 퇴원기준을 따르고 있지 않았다. 응답자의 86%가 진정법 코스에 대해 흥미를 가지고 있었으며, 진정법 코스에서 배우고 싶은 내용은 주로 응급 시 대처법과 안전한 약물용량 등 이었다. 소아치과에서의 진정법 사용은 환자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야 하며, 의료사고예방을 위한 evidence-based 진료가 필요하다. 따라서, 대한소아치과학회는 진정법 가이드라인 및 응급처치에 대한 술기교육의 체계를 갖추어 소아치과의사들에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

매복된 상악 전치부의 자가이식 치험례 (AUTOTRANSPLANTATION OF IMPACTED MAXILLARY ANTERIOR TEETH (CASE REPORTS))

  • 김주미;황보민;음종혁;서수정;김신;이애련;김주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561-569
    • /
    • 1994
  • The autotransplantation procedure were performed for the cases with impacted maxillary anterior teeth, which were thought unrealistic by the treatment with surgical exposure and orthodontic traction into the arches. The results were as follow : 1. As the treatment with autotransplantation is the last resort, the case indicated should be selected cautiously by adequate case analysis. 2. In order to reduce postoperative complication, damages to periodontal ligaments and adjacent bony structures should be minimized by conservative surgical procedures. 3. After autotransplantation procedures, postoperative endodonic treatment and continuous follow-up check with clinical and radiographic examination should be followed. Although the autotransplantation procedure is not the treatment of choice in most cases, it was thought to be a good alternative in certain cases when orthodontic treatment is unrealistic with continuous study to overcome the handicaps.

  • PDF

Trend Analysis of Pediatric Dentistry Patient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a Study on the Impact of the COVID-19 Outbreak

  • Hee-Sun Choi;Hyuntae Kim;Ji-Soo Song;Teo Jeon Shin;Hong-Keun Hyun;Jung-Wook Kim;Ki-Taeg Jang;Young-Jae Kim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52-468
    • /
    • 2023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hanges in dental service use among pediatric pati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analysis was performed by collecting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visits, age, gender, diagnoses, and treatments for patients at the Pediatric Dentistry Department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from January 2017 to December 2022. Compared with the period from 2017 to 2019, the total number of visits decreas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with a substantial decline in 2020. Patients in all age groups, except those aged 10 - 14, experienced decreased visit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Z29.8 (need for other specified prophylactic measures) declined in all age groups, especially among those aged 0 - 4, except for those 20 years and older. K02.1 (caries of dentine) was sought by the age groups in the following order: 10 - 14, 15 - 19, 5 - 9, and 0 - 4 years, with the most significant decrease in the 0 - 4 years age group compared to others. K07.4 (malocclusion, unspecified) decreased in younger groups aged 9 and below but increased in older groups aged 10 and above. During the period from 2020 to 2022, preventive, restorative, pulp, and trauma treatments decreased, but surgical and orthodontic treatments increased compared with the previous three years. The use of sedation decreased and general anesthesia increased during COVID-19 compared to pre-pandemic. This study describes the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on pediatric dentistry, making it a valuable reference for future pandemics.

COVID-19으로 인한 2020년 대한소아치과학회 첫 온라인 제61회 종합학술대회 및 제54회 전공의 학술대회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한 분석 및 평가 (The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First Online Congress of 61st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in 2020 during COVID-19)

  • 허란;이고은;김미선;남옥형;이효설;최성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84-396
    • /
    • 2021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2020년 대한소아치과학회 제61회 종합학술대회 및 제54회 전공의 학술대회가 처음으로 온라인으로 진행되었다. 이번 학술대회는 ZOOM 플랫폼을 이용해 주최측의 독자적인 운영으로 진행되었다. 온라인 학술대회의 만족도 분석 및 평가를 위해 학회 참석자들을 대상으로 Google Forms을 이용해 무기명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첫 온라인 학술대회 인만큼 학회 전 사전접속 테스트를 이용해 학회의 원활한 진행을 도왔으며, 그 결과, 사전접속 테스트가 도움이 되었을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온라인 학회에 만족할 가능성이 높았다. 첫 온라인 전공의 학술대회 또한 전공의 발표자들과 연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어냈다. 온라인 학술대회는 종식 시기를 가늠할 수 없는 전염성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사회적 거리두기 및 방역수칙을 잘 반영한 좋은 선택이었다.

진정치료 심포지움에 대한 만족도 평가 연구 (An Evaluation Study for Satisfaction of Symposium for Dental Sedation)

  • 최성철;신터전;유승훈;김지연;정태성;양연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85-92
    • /
    • 2016
  • 대한소아치과학회는 진정법 교육연구위원회를 설립하여 학회원들이 진정법을 시행함에 있어서 안전한 술식을 시행할 수 있도록 진정법 지침서를 개정하고 평생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게 하였다. 이에 2015년 종합학술대회 기간에 진정법 심포지움과 BLS교육을 시행하였으며, 이에 대한 학회원들의 만족도 평가를 시행하였다. 진정법연구교육위원회는 종합학술대회에 참가한 학회원들에게 배포할 설문지를 제작하여 심포지움에 참가한 학회원 중 설문에 응한 총 143명의 학회원들의 설문지를 분석하였으며, BLS코스에 참여한 23명의 학회원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심포지움과 BLS코스에 참석한 학회원들은 전반적인 질문에 대하여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진정법 교육연구위원회는 이번 설문지를 통하여 학회원들이 원하는 교육내용과 향후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중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대한소아치과학회는 앞으로도 꾸준히 학회원들의 더 낳은 교육을 위하여 힘 쓸 것이며,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노력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