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 Strait coast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5초

1983년 춘계 제주해협의 해황과 해류 (Hydrography and Sub-tidal Current in the Cheju Strait in Spring, 1983)

  • 장경일;김구;이석우;심태보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03-215
    • /
    • 1995
  • 1983년 4월과 5월에 걸쳐 제주해협에서 부표와 해류계를 이용한 해류관측과 함께 2회에 걸쳐 수온-염분관측을 실시하였다. 관측자료로부터 고온, 고염인 흑조 의 한 지류가 제주도 서쪽을 돌아 제주해협으로 유입됨을 명확히 보였다. 제주도 서쪽을 우회하는 해류는 제주도 서쪽에서는 그 폭이 약 60 km이며 제주 해협내 에서는 20∼30 km 이내에 존재하여 제주도 서쪽에서는 5 cm/s 미만으로 유속이 작은 반면에 제주해협의 서쪽입구와 해협 내에서는 10 cm/s 이상의 큰 유속을 갖는다. 제주해협의 동쪽에는 역시 흑조로부터 기원된 대마난류의 영향이 인지 되었다. 난류수와 연안수 사이에 형성되는 수온, 염분전선의 변화는 제주 해협의 서쪽에서 황해연안수가 남하함을 제시하였다. 난류수역에서는 5월에 수온이 상승 한 반면에 다른 해역에서는 수온이 감소하였다. 5월에 제주해협 중앙부에서는 해 협의 서쪽으로부터 저온, 저염의 해수가 유입되어 4월에 비해 수온과 염분이 급격 히 감소하였다.

  • PDF

A Circulation Study of the East Sea Using Satellite-Tracked Drifters 1 : Tsushima Current

  • LEE Dong-Kyu;LEE Jae-Chul;LEE Sang-Ryong;LIE Heung-Jae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021-1032
    • /
    • 1997
  • Satellite-tracked drifters deployed in the East Sea since 1991 are used to study the Tsushima Current (TC). It is found that the TC is a steady current with a mean speed of 10 cm/s before it enters the East Sea. Only during the summer, the TC flows along Honshu Island with a mean speed of $30\~40\;cm/s$ and then exits through the Tsugaru Strait. In fall and winter, the TC does not follow the coast along Honshu Island but it enters into the interior of the East Sea before it reaches the Tsugaru Strait. The water that passes the West Channel of the Korea Strait mostly comes from the western East China Sea and spreads into the interior of the East Sea. It also forms the large eddies in the southern East Sea. The outflow through the Tsugaru Strait comes from the interior of the East Sea in all seasons except summer. The mean speed of the Tsugaru Strait outflow is about 60 cm/s. The largest current variability is found in the eastern central area of the East Sea, south of sub-polar front.

  • PDF

On the Cold Water Mass in the Korea Strait

  • Lim, Du Byung;Chang, Sun-duck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71-82
    • /
    • 1969
  • By use of the oceanographic data from 1932 to 1941 and from 1960 to 1967, the general properties of the cold water in the Korea Strait are discussed. This water characterized with temperatures 3-10$^{\circ}C$ and salinities 34.0-34.4 originates from the Japan Sea and begins to flow out in summer along the bottom about 8 to 18 miles southeast of Ulgi in Ulsan. It usually reaches the Pusan- Tsushima section and rarely to the west of the southernmost part of Tsushima. As it flows out, it shows rising trend along the coast of Korea and sometimes upwelling occurs in the vicinity of Ulsan. It seems that the cold water forms an under current along the bottom in summer and autumn in the western channel of the Korea Strait.

  • PDF

국내 대표 해양·수산 과학논문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주변 바다 이름표기에 대한 제언 (Nomenclature of the Sea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Derived From Analyses of Papers in Two Representative Korean Ocean and Fisheries Science Journals: Present Status and Future)

  • 변도성;최병주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3권3호
    • /
    • pp.125-151
    • /
    • 2018
  • 지난 20년간(1998-2017년) 한국해양학회지(바다)와 한국수산과학회지에 실린 한글 논문 중 우리나라 주변 바다 이름을 지도에 표기한 논문들을 대상으로 그 표기 방법을 살펴보았다. 지도에 표기된 바다 명칭들의 형태는 크게 세 가지 - 'East Sea(동해)와 Yellow Sea(황해)', 'East Sea(동해), Yellow Sea(황해), South Sea(남해)', 'East Sea(동해), West Sea(서해), South Sea(남해)' - 가 있다. 'East Sea'는 모든 논문에서 'East Sea'로 표기된 반면, 'Yellow Sea'는 'West Sea'와 혼용해서 사용되고 있었다. 'Korea Strait(대한해협)' 대신 'South Sea'의 사용 빈도도 높았다. 이 결과는 연구자들이 해안선으로부터 가까운 연안해역을 우리나라를 기준으로 지리적 방위에 근간하여 부를 때 사용하는 바다 명칭과 주변해에 대한 국제적인 바다 명칭을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따라서 우리나라 해양 수산 연구자들이 바다 이름표기에 관한 기준을 세우고 일관성 있게 표기하는 것이 시급하다. 이와 관련하여 이 연구에서는 연구논문 작성 시에 주변해와 우리나라 연안해역에 대한 바다 명칭을 서로 구분하여 사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즉, 주변해는 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East Sea(동해)', 'Yellow Sea(황해)', 'Korea Strait(대한해협)', 'East China Sea(동중국해)'로 사용하고, 이들 주변 바다에 포함되어 있는 연안해역은 우리나라를 기준으로 상대적 방위에 근거한 'Coastal Sea off the East Coast of Korea(한국 동쪽 연안 바다)', 'Coastal Sea off the West Coast of Korea(한국 서쪽 연안 바다)', 'Coastal Sea off the South Coast of Korea(한국 남쪽 연안 바다)' 등으로 표현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는 'East Korea Coastal Zone', 'South Coastal Zone of Korea', 'West Korea Coastal Zone'으로도 표현할 수 있다. 작은 규모의 특정 해역의 경우 해양지명(해상지명과 해저지명)을 사용하여 연구해역을 표기할 수 있다.

Year-to- Year Variation of Cold Waters around the Korea Strait

  • Min, Hong-Sik;Kim, Young-Ho;Kim, Cheol-Ho
    • Ocean Science Journal
    • /
    • 제41권4호
    • /
    • pp.227-234
    • /
    • 2006
  • Year-to-year variation of bottom cold waters around the Korea Strait was investigated based on bottom temperatures measured by submarine telephone cable between Pusan, Korea and Hamada, Japan from 1982 to 1992. The characteristics of bottom temperatures could be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groups: the Korean side, the middle, and the Japanese side. Temperature drops in summer appeared in all the three regions implying the intrusion of cold waters into the Korea Strait. Significant decreases in the Korean side were observed in 1983, 1986, 1990, 1991, and 1992 when bottom temperatures were high in the middle. In contrast, bottom temperature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middle in 1985, 1988, and 1989 when the temperature drops in the Korean side were relatively small. This tendency for a negative relationship was also shown in the second mode of an EOF analysis. In the years when bottom temperatures significantly decrease din the Korean side, the cold water along the east coast of Korea expanded offshore and its temperature was low. On the contrary, cold water in the southern region of the Ulleung Basin developed in the years when bottom temperatures decreased considerably in the middle.

2019년 여름철 제주해협에서 관측된 중층 저온수의 분포와 기원 (Distribution and Origin of the Mid-depth Cold Water Pools Observed in the Jeju Strait in the Summer of 2019)

  • 유도협;김종규;최병주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8권1호
    • /
    • pp.19-40
    • /
    • 2023
  • 여름철 제주해협 물성 분포의 특성과 제주해협 수괴가 연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2019년 6월, 7월, 8월에 완도와 제주도 사이에서 수온과 염분을 관측하였다. 여름철 계절 수온약층 아래에서 15℃의 저온수가 관측되었으며, 이 저온수는 관측시기에 따라 다르지만 수심이 깊은 제주해협 남쪽 골보다는 주로 제주해협 중앙의 중층과 북쪽 사면에 분포하였다. 이 저온수를 구성하는 근원 수괴를 알아보기 위하여 제주해협에서 관측된 해수를 구성하는 주변 근원 수괴들의 혼합비(mixing ratio)를 계산하였다. 여름철 제주해협 중앙 중층과 북쪽 사면에 나타나는 저온수는 평균적으로 쿠로시오 아표층수가 54% 그리고 황해저층냉수가 33% 비율로 혼합된 해수였다. 이 중층 저온수는 제주해협 전 수층에서 가장 낮은 수온을 갖는 해수임에도 상대적으로 고온고염인 쿠로시오아표층수가 큰 구성비율을 갖고 있다. 중층 저온수가 제주해협에서 가장 낮은 수온의 분포를 갖게 된 이유는 다른 제주해협 해수에 비해 황해저층냉수의 기여도가 높기 때문이다. 제주해협 중층 저온수의 기원을 살펴보기 위하여 황해, 동중국해, 대한해협에서 2019년 여름철에 관측한 광역 수온과 염분 자료를 분석하였다. 제주도 남서쪽 동중국해 계절 수온약층 아래에서 쿠로시오 기원의 해수와 황해저층냉수가 열염전선을 형성하였고, 이 열염전선을 가로지르는 수괴의 관입에 의해 해수의 혼합이 발생하였다. 동중국해에서 형성된 이 혼합수는 제주해협에서 관측된 중층 저온수와 거의 같은 혼합비율을 가졌다. 이런 결과들을 종합하였을 때 제주해협에서 여름철에 관측된 중층 저온수는 동중국해에서 쿠로시오 아표층수와 황해저층냉수의 혼합으로 만들어진 저온수가 해류를 따라 이동한 것이다. 제주해협 중앙과 북쪽 사면으로 이동한 중층 저온수는 제주해협 중앙의 중층에서 수온역전을 만들고, 한국 남해안 연안의 표층 수온 변동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하계 대한해협 저층냉수의 물리.화학적인 특성 및 기원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the Origin of Summer Bottom Cold Waters in the Korea Strait)

  • 김일남;이동섭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6권4호
    • /
    • pp.595-606
    • /
    • 2004
  • Hydrographic survey in the Korea Strait has long history that has begun in August 1917 at the Busan - Tsushima cross section, still continues to date. However, chemical properties of bottom cold water found exclusively in the western channel of the Korea Strait during summer did not receive much scientific attention. The aim of the study is to decipher the enigmatic origin of the Korea Strait Bottom Cold Water (KSBCW) in terms of chemical properties.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KSBCW are extracted from the CREAHS II hydrographic data. OMP method was applied to analyze origin of the KSBCW quantitatively. The KSBCW is well defined by low temperature below $10^{\circ}C$. The cold waters exhibited the local presence near the coast at about 120m depth with a thickness of 20m to 30m. The cold water was characterized by relatively cold, saline and higher chemical concentrations than adjacent waters. The KSBCW seems to have different origin kom that of the coastal upwelled waters at the Ulgi-Gampo because it is saline, denser and contains considerably less dissolved oxygen than upwelled waters.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re reported to have noticeable annual variations which suggest the complex origin of the KSBCW. OMP analysis show that the KSBCW is a mixture of three water types; TMW (24%), ESIW (36%) and ESPW (40%). Relationship between the KSBCW and the east Sea circulation is traced by mapping the water masses that have similar T, S and DO of KSBCW. The result showed that the KSBCW is most possibly an extension of southward flowing coastal intermediate waters. Front these results, we expect that the monitoring KSBCW will provide us valuable information about the East Sea circulation.

명태(Theragra chalcogramma)의 산란장, 알라스카만 쉘리코프 해협의 1980년대 초반의 해황에 관한 연구 (Descriptive hydrography of shelikof Strait, Gulf of Alaska, during the Spring Spawning Time of Walleye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in the Early 1980's)

  • 김수암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5-46
    • /
    • 1993
  • 알라스카만 명태 산란장에서의 해수의 성질과 해류의 흐름을 규명하기 위하여, 쉘 리코프 해협에서의 CTD 조사 결과와 해류계 자료가 분석되었다. 쉘리코프해협에서는 3개의 수괴가 구분되었다. 첫 번째 수괴는 Cook 내만으로부터 유래된 적은 양의 차갑고 염분이 낮은 ($<{\;}3^{\circ}C,{\;}<{\;}31.5\textperthousand$) 표층수로서 알라스카 반도 해안에 바짝 붙어서 남서쪽을 향하여 흐르고 있다. 둘째의 수괴는 알라스카 해안류 (ACC)의 가지로서 해협의 북종쪽 입구로 들어와 남서쪽을 향해 흐르며, 해협내에서는 중층과 표층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해협의 가장 깊은 골의 상부층에 가장 빠른 흐름이 존재하며, 그들은 Semidi섬과 Chirikof섬 사이의 남서쪽 계곡을 통하여 해협에서 빠져나간다. 세 번째의 수괴는 비교적 느리고, 따뜻하고 염분이 높은 ($>{\;}5^{circ}C,{\;}>{\;}32\textperthousand$) 대륙사면으로부터 남서쪽 입구의 저층을 통하여 해협으로 들어온 저층수인데 이들은 북동쪽을 향해 흐르며 해협 저층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 PDF

동해연안역 해수면변동에 미치는 태풍의 영향 -I. 일본 북부연안에서의 해수면변동- (The Response of Sea Levels to Typhoons in the Japan Sea -Part I. The Response on the North Japanese Coast-)

  • 홍철훈;윤종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567-579
    • /
    • 1993
  • 태풍통과시 동해의 일본북구연안에서의 수위변동을 조사하기 위해 $1966{\sim}1986$년간의 시간별수위자료분석 및 고분해능($5'{\times}5'$)을 갖는 천해파모델상에서의 수치실험을 행하였다. 자료분석의 주결과는 1) 태풍통과시 Simonoseki(SS)와 Maizuru(MZ) 간에 약 4m/s의 위상속도를 갖는 진행파가 존재하나, 2) Sasebo(SB)와 Hakata(HK) 간에는 파속이 매우 느리고(약 1.7 m/s), 3) HK에서는 SS에 비해 약 반나절 늦게 최대수위에 도달하는 점등이었다. 실험결과는 관측결과와 좋은 대응을 보였다. 실험결과로 볼 때, 연안에 전파하는 진행파는 관측결과와 거의 같은 위상속도 약 4 m/s를 갖는 지형성파로서 확인된다. 태풍이 대한해협을 통과하기전에는 일본연안에 평행한 바람에 의해 생성된 남서방향의 연안젯트류에 의해 파의 전파가 영향을 받고, 태풍이 통과한 후에는 연안젯트류가 약해지면서 파가 전파하게 된다.

  • PDF

Fluctuations of Coastal Water Temperatures Along Korean and Japanese Coasts in the East Sea

  • KANG Yong-Q.;CHOI Seong-Won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351-360
    • /
    • 1988
  • Based on historic data of monthly means of sea surface temperatures (SST) for 24 years $(1921\~1944) $ at 23 Korean and Japanese coastal stations in the East Sea (the Japan Sea), we analyzed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coastal SST and SST anomalies. The means of SST at Korean coast are higher than those at Japanese coast of the same latitudes, and the annual range of SST at Korean coast are larger than those at Japanese coast.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 analysis shows that almost all $(96\%)$ of the SST fluctuations are described by simultaneous seasonal variations. The flurtuations of SST anomalies are small in the Korea Strait and large at the boundaries between the warm and told currents in the basin. The fluctuations of SST anomalies along Korean coast are correlated each other The same is true for SST anomalies along Japanese coast. However, there is only weak correlation between the SST anomalies at Korean coast and those at Japanese coast.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 analysis shows that $27\%$ of the coastal SST anomalies in the East Sea are described by simultaneous fluctuations, and $12\%$ of them are described by alternating fluctuation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coas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