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4초

An Analysis of Response Pattern and Panel Attrition in KLIPS(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 Nam, Ki-Seong;Chun, Young-Min
    • 응용통계연구
    • /
    • 제25권6호
    • /
    • pp.933-945
    • /
    • 2012
  • In this paper we used the KLIPS(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tudy) data that surveyed from 2006(wave 9) to 2009(wave 12). Other previous studies are concerned with the panel attrition in the early wave, but this study classifies the response pattern and investigates some factors that influence panel attrition when the panel tends to stabilize. It was revealed that panel attrition was influenced by relocation and housing type through the logit model. Besides it was appeared that panel attrition was affected by the monthly living expenses and the overall household income through the decision tree.

우리나라의 세대 내 소득이동성에 관한 실증분석 (An Empirical Analysis of Intragenerational Income Mobility in Korea)

  • 윤정열;홍기석
    • 노동경제논집
    • /
    • 제35권2호
    • /
    • pp.43-77
    • /
    • 2012
  • 본 연구는 개인 근로소득의 결정요인을 초기 조건(학력, 성별, 연령 등)과 후기 조건(기타 요인)으로 구분하여 두 요인이 어떻게 소득분배 및 소득이동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이용한 본 연구의 추정 결과에 의하면 첫째, 표본 전체의 소득분배는 1998~2008년 기간 동안 대체로 악화되었으나, 각 연령 집단 내에서는 소득분배가 특별한 추세를 나타내지 않는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초기 조건과 후기 조건의 상대적 중요성으로 소득이동성을 정의하는데, 대부분의 연령 집단에서 초기 조건에 의한 소득격차가 감소함에 따라 소득이동성은 조금씩 상승한 것으로 나타난다.

  • PDF

가구의 교육 및 보육시설 이용률과 지출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that Affect the Use and Expenditure of Households for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Centers)

  • 김지경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47-60
    • /
    • 2005
  •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use and expenditure of households for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centers. The data were drawn from KLIPS(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vol. 5(2002). From this dataset, 1,171 household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en compared to unemployed mother's households, employed mother's households tended to use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centers. Second, with rising household income, the use of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centers decreased. Third, the expenditure was much larger for the households with a large income than those with a small income.

영유아의 교육 및 보육기관 이용과 기관유형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인구학적 요인 (Use of Early Childhood Care Centers and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of Choosing an Institute)

  • 김지경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8호
    • /
    • pp.65-76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essential information rela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olicy. Using the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Vol.5., this study analyzed sociodemographic factors that decide the use and type of institut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The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First, it is not easy for young children under three years old to use education and care institutes because of their preference for home care. Second, the mother's job status affects the child's use of child care centers and private institutes for education except for the using of early child education centers. Third, the affecting main factors for the use of child care centers are quite similar to critical factors for use of the private institute for education. Thus, young children using the private institute for education could be interpreted as coming from a low-income class compared with the children using the early child education centers.

한국의 수질오염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Water Pollution on Life Satisfaction in Korea)

  • 김수정;강성진
    • 환경영향평가
    • /
    • 제25권2호
    • /
    • pp.124-140
    • /
    • 2016
  •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제1차~제15차년도 자료와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수질자료를 이용하여, 개인의 전반적인 생활만족도(life satisfaction)가 수질오염으로 대표되는 환경오염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서수적 순서를 가진 종속변수의 특성과 패널자료의 이질성을 감안하여 패널 확률효과 순서형 프로빗(panel random-effects ordered probit) 모형으로 추정하였다. 수질오염도를 반영하는 지표로는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총인(total phosphorus, TP) 농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기존의 연구에서와 같이 개인의 경제적 특성, 사회 인구학적 특성을 동시에 고려하였다. 분석 결과 BOD, TP 모두 개인의 생활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다른 변수들은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결과와 유사하다. 자신의 소득 증가, 연령, 기혼, 자가주택 보유, 건강, 여성, 높은 교육수준은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타인의 소득 증가, 실업자, 도시거주, 자영업자인 경우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공급 탄력성 추정 (Estimating Labor Supply Elasticity in Korea)

  • 문외솔;송승주
    • 노동경제논집
    • /
    • 제39권2호
    • /
    • pp.35-51
    • /
    • 2016
  • 2000~2008년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이용한 미시 노동공급 탄력성 추정치는 0.23으로 나타났다. 분석대상 기간 중의 주5일 근무제 확대나 개별 가구의 소득 및 자산을 포함할 경우에도 추정치는 강건성을 보인다. 근로자들의 노동시장 참여 여부를 포함한 거시 노동공급 탄력성 추정치는 미시 노동공급 탄력성 추정치보다는 큰 값을 갖지만, 통상적인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 PDF

저소득가구의 주거이동 요인 분석 (Analyzing the Residential Mobility Factors of Low-Income Households)

  • 강미;이재우
    • 부동산연구
    • /
    • 제28권3호
    • /
    • pp.79-94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의 11차 연도부터 19차 연도자료를 이용하여 주거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소득계층을 구분한 후 저소득계층의 계층변동이 없는 가구와 변동이 있는 가구의 주거이동 영향요인을 전체가구와의 비교를 통해 이들의 주거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저소득층은 주거이동확률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전체가구와 데이터를 분할하여 살펴본 가구특성에서 공통적으로 유의한 변수로 연령과 점유형태로 나타났다. 특히 소득계층 변동이 없는 가구에서 연령과 주거비용, 전월세의 임차가구만이 유의함을 보임으로써 이들의 주거비부담 완화를 위한 정부의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소득계층의 변동이 있는 가구에서는 총소득과 상용직 종사자수가 전체가구와 마찬가지로 유의한 변수로 나타나 저소득계층의 고용 안정성을 높일 필요가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볼 때 저소득계층 내에서도 불균형이 심화되어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저소득층의 소득향상과 주거안정을 위해 지속적인 실태조사를 통한 주택정책을 펴야할 것이다.

젊은 기혼여성의 출산 후 취업연속성 결정요인 (Factors That Decide the Job Continuity of Young Mothers)

  • 김지경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91-104
    • /
    • 2004
  • This study analyzes the critical factors that decide the job continuity of married women after one of their life events, childbirth. It is based on the employment data from KLIPS(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Vols. 1-4, having observed 128 young mothers who gave birth to children after 1997. The analysis showed that women's employment after their maternity leave depend on whether new mother return to their previous job or not. The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First, women's age, education, availability of caretakers for their children, and family income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women's return to their pre-leave employers after childbirth. Second, professional or office work and the frequency of job transition before childbirth have a positive effect on women's employment in new jobs after childbirth. Third, women's age, availability of caretakers of their children, and professional or office work are critical factors that have a positive effect on women's job continuity after childbirth, whereas the frequency of job transitions has a negative effect on employment for women.

군 복무 여부가 임금결정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Military Service on Wages in Korea)

  • 엄동욱
    • 응용통계연구
    • /
    • 제22권4호
    • /
    • pp.805-817
    • /
    • 2009
  • 최근 군가산점제도의 부활에 관련되어 군 복무의 효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 배경에서는 우리나라 남성들이 군 복무를 통해 금전적, 비금전적 손실을 입는다는 인식이 깔려 있다. 그러나 군 복무가 노동시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실증연구는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2007년 제10회 한국노동패널조사의 남성 임금근로자 자료를 활용하여 군 복무가 임금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한다. 일반적인 민서형( Mincerian) 임금함수 추정을 통해 군복무의 임금효과를 추정한 결과, 유의적인 정(+)의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적인 인식과 달리 군 복무가 노동시장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성과배분의 교육훈련 효과: 개인 패널자료를 이용한 분석 (The Effects of Profit-Sharing on Employer-Provided Training: Evidence from an Individual Panel Survey)

  • 이인재;김동배
    • 노동경제논집
    • /
    • 제43권1호
    • /
    • pp.35-57
    • /
    • 2020
  •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조사(KLIPS) 3~21차 자료를 이용하여 성과배분제가 교육훈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성과배분제와 관련한 내생성(endogeneity)을 통제한 고정효과 모형(fixed effects model)에 의하면, 성과배분제의 적용을 받는 근로자는 성과배분제의 적용을 받지 않는 근로자보다 회사가 시행하는 업무능력향상을 위한 교육훈련을 받을 확률이 6.8%포인트 높으며, OJT를 받을 확률은 3.3%포인트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관계는 추정 모형에 관계없이 일관적으로 나타나며, 하위표본에서도 강건하게 확인된다. 본 연구의 추정결과는 성과배분이 교육훈련을 촉진한다는 가설을 지지하는 증거로 해석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