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s ASEAN policy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1초

The New Landscape of Trade Policy and Korea's Choices

  • Petri, Peter A.
    • East Asian Economic Review
    • /
    • 제17권4호
    • /
    • pp.333-359
    • /
    • 2013
  • Two mega-regional negotiations are changing the landscape of Asia Pacific trade policy: an Asian track centered on ASEAN (the 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or RCEP), and a Trans-Pacific track centered on the Trans-Pacific Partnership (TPP) among 12 econom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which Korea is expected to join. Modeling results suggest that both would generate substantial benefits for Korea and the global economy. From Korea's viewpoint, the agreements would establish new FTAs with China, Japan and smaller economies, improve the utilization of FTAs by permitting the regional cumulation of inputs, and help to upgrade some Korean FTAs to more rigorous standards. By participating in these agreements, Korea could also help to guide them toward inclusive, high-quality regional outcomes. As one of the region's most open and agile economies, Korea has a large stake in regional integration and would be well advised to pursue both tracks.

신남방정책의 "평화"를 강화하기 위한 해적행위 대응 협력: 한국과 아세안의 해적행위 대응 관행 분석 (Counter-Piracy Cooperation to Strengthen New Southern Policy's "Peace": An Analysis of ROK and ASEAN's Counter-Piracy Practices)

  • 부예린;김수진
    • 해양안보
    • /
    • 제3권1호
    • /
    • pp.141-185
    • /
    • 2021
  • 미중 경쟁의 격화로 동남아 국가들의 입장이 매우 위태로워졌다. 한국도 지정학적 대결 구도가 심화되는 가운데 "물길을 헤쳐나가야 하는(navigating the water)" 도전과제에 직면해 있다. 바로 이러한 맥락 속에서, "신남방정책"(이하 NSP)이 한국 외교정책 부문의 핵심어가 되었다. 한국은 NSP를 통해 남방 파트너들과의 유대를 강화함으로써 경제 및 안보 이해관계를 다각화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3대 주요 영역(3P), 즉 사람(People), 번영 (Prosperity), 평화(Peace)에 초점을 맞춘다. 동시에 NSP는 미국의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Free and Open Indo-Pacific)" [전략] 같은 다른 주요 외교 의제들과의 협력 역시 모색하며, 이러한 점에서 NSP는 이 지역의 전체적인 안정성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NSP가 갖는 이러한 전략적 중요성을 고려할 때, 이 정책에 대한 심층 분석은 과거 어느 때보다 더 시기적절하다. 하지만 이 정책의 현재까지 결과를 간략히 평가한 결과, "평화" 축은 만족스러운 결과를 달성하는 데 불충분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여기서 본 논문은 다음의 질문을 제기하고자 한다. 1) 한국 신남방정책의 "평화" 축을 강화하는 방법은? "평화" 축이 약했던 원인에 대한 분석을 기초로 본 논문은 해적행위 대응에 관한 협력을 해법으로 식별한다. 더 나아가 본 논문은 다음의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고자 한다. 2) 한국과 아세안이 해적행위 대응에서 협력하는 방법은? 이러한 노력들을 한국의 NSP에 통합하는 방법은? 본 논문은 상기 질문에 답하기 위해, 아세안 및 한국의 해적행위 대응 접근법에 관한 심층적인 사례연구를 수행하여 구체적인 협력 메커니즘을 식별한다. I장에서는 NSP의 전략적 중요성을 개관하고, "평화" 축을 평가한다. II장에서는 "평화" 축이 약했던 원인과 그 처방들을 검토한다. III장에서는 아세안 및 한국의 해적행위 대응접근법을 조사한다. 본 논문은 전체적인 프레임워크와 지역별 사례들을 분석함으로써, 지역별 해적행위 대응의 장단점을 제시한다. 이러한 분석을 기초로, IV장에서는 해적행위 대응 협력을 NSP의 "평화" 축에 통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한국 NSP의 "평화" 축을 강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협력 분야(해적행위대응)를 식별했다는 것에 있다. 두 당사자의 해적행위 대응 분야 과거 및 현재 경험에 관한 종합연구를 기초로 이를 식별함으로써, 맥락에 부합하도록 한다. 또한, 본 연구는 현실적인 협력 메커니즘을 제안하고, 기존 NSP 프레임워크에 그것을 통합하는 방법을 고찰한다. 이러한 접근법은 사례 특정적인, 정책 지향적 해법을 도출하지 못한 기존 문헌들과는 다르다. COVID-19 팬데믹으로 해적행위 문제는 악화되었고, 지정학적 갈등은 심화되었다. 이렇게 험한 바다는 조심스럽게 헤쳐나가야 한다. "평화" 증진의 열쇠는 이런 바다의 해적들을 퇴치하는 것에 있다.

  • PDF

China's Digital Silk Road in Southeast Asia and Vietnam's Responses from 2015 to 2021

  • Dao D. Nguyen
    • 수완나부미
    • /
    • 제15권2호
    • /
    • pp.57-90
    • /
    • 2023
  • China launched the Digital Silk Road (DSR) in 2015 as part of the existing Belt and Road Initiative (BRI) to expand its influence in digital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across Asia, Europe, and Africa. Southeast Asia is one of the key targets of the Digital Silk Road due to its geographical proximity to China and the rapid growth of the digital sphere. Although the DSR opens several potential opportunities for the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ASEAN) member states to foster the digitalization process in the region, how each country reacts to projects under the DSR is varied. Secondly, Vietnam is the only ASEAN member state that has not signed any official agreement under the BRI framework, and thirdly, Vietnam opted out of Huawei technology.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perspective of Vietnam and how Vietnam has responded to the growing technological presence of China in Southeast Asia until 2021. By using qualitative methods, the author argues that the DSR has allowed Beijing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original strategy, BRI, and strengthen its influence in the field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particularly fifth-generation (5G) telecommunications. Furthermore, the paper examines Vietnam's digital development and digital diplomacy and how the Vietnamese government has responded to DSR projects. In light of both the potential threats and economic benefits that the DSR has brought to Vietnam and Southeast Asian countries, in the last section, the policy implications for cooperation are discussed.

베트남의 통상정책과 한·베트남 통상협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ietnam's International Commerce Policy and Commercial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Vietnam)

  • 강영문
    • 무역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97-116
    • /
    • 2017
  • 한국과 베트남은 1992년 국교를 정상화한 이후 통상관계가 괄목할만 성장을 하여 한국은 베트남에서 외국인투자 1위 국가가 되었다. 베트남은 WTO 가입 등을 통해 통상관련 제도 등을 선진화하면서 국제통상에서 가장 각광받는 나라중에 하나이다. 베트남은 한국의 대아세안 통상정책에서 중요한 통상파트너이다. 또한 베트남의 미국, 중국, 일본과의 통상관계는 한국의 통상정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연구는 베트남의 통상정책을 경제적인 접근뿐만 아니라 정치적, 국제관계적인 접근을 통하여 분석하여 한국과 베트남의 통상증진의 방안을 미시적인 양국의 통상관계 뿐만 아니라 다자간 통상협의체의 관점과 미중일의 삼국간의 관점에서 거시적으로도 분석하고자 한다.

  • PDF

필리핀 2016: 선거와 경제발전 그리고 자주외교 (The Philippines in 2016: Election, Economic Development and Independent Foreign Policy)

  • 정법모;김동엽
    • 동남아시아연구
    • /
    • 제27권2호
    • /
    • pp.273-295
    • /
    • 2017
  • 2016년 두테르테 대통령의 당선 이후 추진된 마약과의 전쟁, 돌출발언과 파격적 외교 행보에 의한 국제관계의 악화 등 여러 대내외적 불안정성에도 불구하고 필리핀의 경제는 동남아국가들 중 가장 높은 GDP 성장률을 나타냈다. 두테르테 현상을 둘러싼 사회적 맥락과 정치동학은 오늘날 민주주의의 현주소와 신자유주의 경제체제 하의 정치현상을 이해하는데 한국을 비롯한 세계 국가들에게 중요한 질문과 과제를 던졌다. 자주외교를 강조하며, 기존 패권질서에 파열음을 일으킨 필리핀의 선택이 단일국가의 실험으로 끝을 맺을지, 아니면 인접국가 또는 아세안 국가들 전반에 새로운 힘을 형성할 계기가 될 것인지 향후 귀추가 주목된다.

Production of Fear: The Visual Analysis of Local Lockdown Warning Signs

  • Rizkidarajat, Wiman;Chusna, Aidatul
    • 수완나부미
    • /
    • 제14권2호
    • /
    • pp.89-116
    • /
    • 2022
  • During the Covid-19 pandemic's first term of April-June 2020, the general public throughout Indonesia became familiar with the slang term "local lockdown." This term emerged in response to disorderly implementation of the half-hearted government policy called Pembatasan Sosial Berskala Besar (PSBB). In villages around the country, people started to build portals to restrict "strangers" or "outsiders" from entering their village areas. These portals were also meant to publicly signal the villagers' fear of the spread of the virus. This paper will discuss two things: first, how fear was produced, using frameworks drawn from Giorgio Agamben's notable works State of Exception and Homo Sacer, and how governance reproduces it; and second, how people come to accept the state of emergency and then publicly express their acceptance of the situation. Critical discourse analysis is applied to read government policy and its reception. The research took place at Rempoah, Kedungmalang, and Pabuwaran villages in Banyumas, the southern regency of Central Java, Indonesia. The villagers' responses to the government's policy are visually represented through written warning signs.

Impact of Financial Instability on Economic Activity: Evidence from ASEAN Developing Countries

  • TRAN, Tra Thi Va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1호
    • /
    • pp.177-187
    • /
    • 2022
  • Theoretical literature agrees on the interaction between financial instability and economic activity but explains it's dynamic in two points of view: one is that the transmission mechanism occurs in one unique regime and the other reckons a shift of regime leads to the alteration of the transmission mechanism. This study aims to find evidence of the multi-regime transmission for ASEAN developing countries. The author employs the technique of Threshold vector auto regression using the financial stress index standing for financial instability. Monthly data is collected, covering a period long enough with many episodes of high stress in recent decades. There are two conclusions: (1) A financial shock has a negative and stronger impact on economic activity during a high-stress period than it does during a low-stress period; (2) the response of economic activity to a negative financial shock during high-stress periods is stronger than it is during normal times. The findings point to the importance of the financial stress index as an additional early warning indicator for the real economy sector, as well as the positive effect that a reduction in financial stress may have on economic activity, implying the importance of "unconventional" monetary policy in times of high financial stress.

Post-TPP Trade Policy Options for ASEAN and its Dialogue Partners: "Preference Ordering" Using CGE Analysis

  • Ji, Xianbai;Rana, Pradumna B.;Chia, Wai-Mun;Li, Changtai
    • East Asian Economic Review
    • /
    • 제22권2호
    • /
    • pp.177-215
    • /
    • 2018
  • Trump's withdrawal from the Trans-Pacific Partnership (TPP) and his "America First" trade agenda ignite a second round of interest in mega-free trade agreements in the Asia-Pacific. Countries are evaluating alternative trade policy actions in a post-TPP era. Using national real GDP gains estimated by a modified GTAP model to construct "preference ordering" for 10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members and their six regional dialogue partners, this paper comes up with several policy-oriented findings. First, when multilateral agreements are not possible, countries are better off with a regional trading agreement than without one. Second, the 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is likely to have higher beneficial impacts than the Comprehensive and Progressive Agreement for Trans-Pacific Partnership. Third, for dual-track countries, implementing both agreements is better than each separately. Fourth, impacts of open regionalism are likely to be higher than those of a closed and reciprocal one. Going forward, this paper argues that countries should adopt a "multi-track, multi-stage" approach to trade policy.

동남아와 아세안 2016: 기대와 혼돈 속에 커져가는 불확실성 (Southeast Asia and ASEAN in 2016: Disappointing Records and Increasing Uncertainty)

  • 신윤환
    • 동남아시아연구
    • /
    • 제27권1호
    • /
    • pp.95-129
    • /
    • 2017
  • 이 글은 2016년 한 해 동안 동남아 각국들과 아세안이 정치, 경제, 국제관계의 영역에서 보여 준 변화를 살펴보고, 그 변화가 민주화, 경제발전, 지역통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고자 했다. 나아가 2016년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2017년 이후의 변화 가능성과 방향도 나름대로 가늠해 보았다. 아울러 2016년에 전개된 한-아세안관계를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한국의 대아세안외교가 드러내는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2016년의 동남아 정치는 연초의 기대와 달리 대다수 나라에서 민주화 전망은 더 나빠지고 권위주의화는 더 강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태국, 말레이시아, 캄보디아는 권위주의적 집권세력이 야당을 더욱 약화시켰고, 필리핀, 베트남, 라오스에 들어선 새 지도부는 인권 상황을 되레 악화시켰다. 미얀마도 소수민족에 대한 군부의 탄압이 지속되고, 선거에 의해 들어선 민간정부는 첫해부터 내분, 부패, 무능을 드러내며 삐걱거리고 있다. 출범 이틀 째 새해를 맞은 아세안경제공동체(AEC)는 각 국의 내정에 밀려 관심과 주목을 받지 못했다. 경제는 2015년에 이어 뚜렷한 회복세를 보였으나, 중국과 미국 등 경제대국들에서 기인하는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어, 앞날을 점치기 힘들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이 글은 한국의 대아세안외교가 경제중심, 국가주도, 비밀주의, 냉전적 경쟁외교의 덫에 빠져 있다고 비판하고, 지금이 바로 사고의 전환과 과감한 개혁이 필요한 때라고 주장한다.

Principles and Methodologies for STI Strategy Development: Experience and Best Practices from the Republic of Korea

  • Lee, Jeong Hyop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7권3호
    • /
    • pp.411-437
    • /
    • 2018
  • This paper articulates the STI strategy development principles and methodologies that have been elaborated through iterative processes of STI strategy development cases for the past ten years. The consultation cases include poverty traps in Nepal and Laos, African health challenges in Nigeria and Tanzania, and ASEAN global challenges in Indonesian Water, Vietnamese Green Energy, and Filipino Food, in partnership with some multilateral agencies.The iterative elaboration process has continued with consultation activities on Thailand and on Cambodia, Laos and Myanmar in planning partnership with Thailand. The principles were originally conceptualized from the benchmarking process of the Korean STI development experience. They were further incorporated as methodologies with which relevant planning bodies are guided to address individual and regional challenges through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strategies. The methodologies are strong in providing plausible holistic perspective scenarios by which various stakeholders can be engaged in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process. But it is heuristic in nature and can be learned only through on-the-job training process. This is the structural limitation for scaling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