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nowledge Representation

검색결과 560건 처리시간 0.247초

알츠하이머 관련 논문을 대상으로 하는 온톨로지 기반 지식 표현 방법 연구 (A Study on Ontology Based Knowledge Representation Method with the Alzheimer Disease Related Articles)

  • 이재호;김연희;신현경;송기봉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25-135
    • /
    • 2014
  • 의료 분야에서는 질병의 진단과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지식베이스 구축에 관심이 높다. 이러한 목적의 지식베이스를 구축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정확하게 지식을 표현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온톨로지를 이용해 최근 의료 분야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알츠하이머 질병과 관련한 국내 논문들을 대상으로 지식을 표현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온톨로지 기반 지식 표현 방법은 저자, 발행기관 등과 같은 서지 정보에서 추출한 클래스들은 물론 논문의 제목, 초록, 키워드, 결론에서 추출한 연구 주제와 관련된 클래스들을 모두 정의하고 프로퍼티를 통해 클래스들간의 다양한 의미적 관계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클래스들간의 계층 관계와 프로퍼티의 이행적 특성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추론을 지원한다. 따라서 단순한 키워드 검색뿐만 아니라 의미에 기반을 둔 지식 검색이 가능하다. 또한 온톨로지 검색 언어인 SPARQL을 이용해 추론을 통한 지식 검색 요청을 보다 쉽게 표현할 수 있다.

SymCSN : 유연한 지식 표현 및 추론을 위한 기호-연결주의 모델 (SymCSN : a Neuro-Symbolic Model for Flexible Knowledge Representation and Inference)

  • 노희섭;안홍섭;김명원
    • 인지과학
    • /
    • 제10권4호
    • /
    • pp.71-83
    • /
    • 1999
  • 기존의 기호주의 적 추론 시스템은 경직성 문제로 인하여 유연성을 결여하고 있다. 이는 기호주의 적 지식표현 체계가 지식의 유연한 의미구조를 충분히 반영하고 있지 못할 뿐 아니라 추론 방법도 논리를 바탕으로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우리는 최근 인공 신경 망에 기반 한 유연한 지식표현과 추론을 위한 연결주의 적 의미 망(CSN)을 제안한 바 있다. CSN은 인간의 유사성과 연관성에 기반 하여 근사 추론과 상식추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CSN 모델에서는 상위개념간의 관계를 표현하는 데 있어서 단순한 전향 신경 망을 이용함으로써 상위개념간의 일반적이고 구조화된 관계를 표현하거나 변수의 표현 및 바인딩의 어려움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CSN모델의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상위개념간의 일반적이고 구조화된 지식표현을 가능하게 하고 추론이 용이한 기호주의 표현 체계와 이 표현 체계 안에서 의미구조를 표현하고 학습할 수 있는 연결주의 학습 모델인 CSN을 결합한 기호-연결주의 통합 시스템 SymCSN(Symbolic CSN)을 제안하고,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시스템이 인간과 유사한 유연한 지식표현과 추론을 위한 모델임을 보인다.

  • PDF

지능형 공작기계 설계 지원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Intellingent Design Support System for Machine Tools)

  • 차주헌;김종호;박면웅;박지형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199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22-1027
    • /
    • 1995
  • We present a framework of an intelligent design support system for embodiment design of machine tools which can support efficiently and systematically the machine design by utilizing design knowledge such as objects(part), know-how, public, evaluation, and procedures. The design knowledge of machining center has been accumulated through interview with design experts of machine tool companies. The processes of embodiment design of machining center are established. We also introduce a hybrid knowledge representation so that the systm can easily deal with various and complicated design knowledge. The intelligent design system is being developed on the basis of object-oriented programming, and all parts of a design object, machining center, are also classified by the object-oriented modeling. For the demonstration of effectiveness of the suggested system, a structural design system for machine tools is implemented.

  • PDF

TDX-1A 고장진단 전문가 시스팀을 위한 효율적인 지식획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 Knowledge Acquisition in the TDX-1A Fault Diagnosis Expert System)

  • 김승희;이태원;임영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88년도 전기.전자공학 학술대회 논문집
    • /
    • pp.506-509
    • /
    • 1988
  • This paper describes an effective knowledge acquisition method in the fault diagnosis expert system for the electronic switching system TDX-1A. The knowledge acquisition procedure consists of the knowledge collection, the fault diagnosis modeling and the knowledge representation. Furthermor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knowledge bases with rule and frame representation, we showed the knowledge base checking methodlogy by using redundancy and inconsistency check algorithm.

  • PDF

Knowledge Representation Using Decision Trees Constructed Based on Binary Splits

  • Azad, Mohammad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4권10호
    • /
    • pp.4007-4024
    • /
    • 2020
  • It is tremendously important to construct decision trees to use as a tool for knowledge representation from a given decision table. However, the usual algorithms may split the decision table based on each value, which is not efficient for numerical attributes. The methodology of this paper is to split the given decision table into binary groups as like the CART algorithm, that uses binary split to work for both categorical and numerical attributes. The difference is that it uses split for each attribute established by the directed acyclic graph in a dynamic programming fashion whereas, the CART uses binary split among all considered attributes in a greedy fashion.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effect of binary splits in comparison with each value splits when building the decision trees. Such effect can be studied by comparing the number of nodes, local and global misclassification rate among the constructed decision trees based on three proposed algorithms.

컴퓨터를 이용한 디자인 프로세스에 있어서 형태패턴의 스키마적 표현을 이용한 건축형태의 유사성 판단에 관한 연구 (Recognition of Shape Similarity using Shape Pattern Representation for Design Computation)

  • 차명열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4호
    • /
    • pp.337-346
    • /
    • 2002
  • 디자인 지식의 습득, 저장, 검색 및 응용과 같은 컴퓨터를 이용한 디자인 과정에 있어서, 창조적이며 디자인 요구에 적당한 결과물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디자인 지식을 인지하고 습득하는 과정은 매우 중요하다 하겠다. 특히 인간의 인지능력과 유사한 기능을 같고 중요한 형태 디자인 지식을 습득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형태의 물리적인 속성에 의하여 인지되는 1차원적인 형태 지식이 아닌, 이들로부터 형성되는 2차원 또는 그 이상의 차원에서 인지되는 형태 디자인 지식을 인지해야만 한다. 지식의 인지 및 습득은 기억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지식과 인지되는 지식을 비교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경우 그 디자인 지식이 습득된다. 이때 1차원적인 디자인 지식은 형판 매칭과 속성 매칭에 의하여 그 유사성이 쉽게 인지되지만, 2차원 이상의 디자인 지식에 대해서는 인간은 쉽게 인지하나 컴퓨터를 이용한 인지에는 어려움이 많다. 본 연구는 컴퓨터에 이러한 능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형태패턴 표현을 이용한 형태의 유사성을 판별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 PDF

개념그래프 도구의 기능 및 특성 조사 (A Survey on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Conceptual Graph Tools)

  • 양기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285-292
    • /
    • 2014
  • 지능형 시스템은 자료나 정보보다 지식을 주로 이용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지식표현은 지능형 시스템 구축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개념그래프는 지식을 효율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그래프 형태의 논리적 지식표현 언어이다. 하지만 개념그래프를 직접 프로그래밍에 활용하기는 쉽지 않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도구들이 개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개념그래프를 이용한 지능형 시스템 구축에 활용할 수 있는 도구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조사하고 그들의 기능과 특성을 비교 분석한다. 조사결과는 지능형 시스템 구축을 위한 개념그래프 활용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컴퓨터기반 협력학습에서 공유지식 형성을 위한 표상도구설계 (The design of representation tool for constructing shared knowledge in CSCL)

  • 신윤희;김동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73-85
    • /
    • 2016
  • 컴퓨터기반 협력학습도구를 사용하여 한 공간에서 다양한 관점을 가진 사람들이 토의하고자 할 때, 작성된 글이 과제내용 중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 것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어렵고 서로의 지식과 의견을 공유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기반 협력학습에서 공유지식 형성을 방해하는 요인을 문헌연구를 통해 분석하고 도출된 원리를 기반으로 협력표상도구를 설계하였다. 설계된 도구는 평가 준거에 따른 체크리스트와 F.G.I를 통해 교수자, 설계자, 학습자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함으로써 반복 조정되었다. 최종 조정된 도구는 복합 과제를 해결해야하는 컴퓨터 기반 협력학습상황에서 학습자 간 지식 및 의견을 공유하는 데 방해요소를 최소화하여 협의를 촉진하고 고차원의 해결책을 도출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 기대한다.

메커니즘 공간 배치의 정성적 표현과 부호 대수를 이용한 공간 거동 추론 (Qualitative Representation of Spatial Configuration of Mechanisms and Spatial Behavior Reasoning Using Sign Algebra)

  • 한영현;이건우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5권4호
    • /
    • pp.380-392
    • /
    • 2000
  • This paper proposes a qualitative reasoning approach for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mechanisms that could be applied in the early phase of the conceptual design. The spatial configuration problem addressed in this paper involves the relative direction and position between the input and output motion, and the orientation of the constituent primitive mechanisms of a mechanism. The knowledge of spatial configuration of a primitive mechanism is represented in a matrix form called spatial configuration matrix. This matrix provides a compact and convenient representation scheme for the spatial knowledge, and facilitates the manipulation of the relevant spatial knowledge. Using this spatial knowledge of the constituent primitive mechanism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mechanism is described and identified by a spatial configuration state matrix. This matrix is obtained by using a qualitative reasoning method based on sign algebra and is used to represent the qualitative behavior of the mechanism. The matrix-based representation scheme allows handling the involved spatial knowledge simultaneously and the proposed reasoning method enables the designer to predict the spatial behavior of a mechanism without knowing specific dimension of the components of the mechanism.

  • PDF

대규모 인지 시스템을 위한 정성적 지식 모델의 개발 (A Qualitative Knowledge Model for Large Scale Cognitive System)

  • 김현경
    • 인지과학
    • /
    • 제15권4호
    • /
    • pp.15-20
    • /
    • 2004
  • 유연성과 광범위성을 갖는 대규모 인지 시스템의 구축을 위해서는 전문적인 지식 뿐 아니라 상식 수준의 지식을 포함한 대용량 지시베이스의 구축이 필수 불가결하다. 이를 위해서는 효율적인 지식 표현 및 추론 기법이 핵심적 열할을 하게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정성적 지식 표현 및 추론 기법을 이미 구축된 범용의 대용량 Cyc 지식베이스와 접목하여, 일상의 상식적인 추론을 제공할 수 있는 인지 시스템을 소개한다. 본 시스템은 구현되어 여러 예제에 적용되어 그 실효성을 입증한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