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nowledge Change Model

검색결과 377건 처리시간 0.028초

Toward An Understanding and Use of Cognitive Conflict in Science Instruction (I) : Definition and Model

  • Lee, Gyoung-Ho;Kwon, Jae-Sool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60-374
    • /
    • 2003
  • The idea that students must experience cognitive conflict before conceptual change can occur is not new. In light of this idea, many teaching strategies have been applied in educational practices. However, there is not much literature about how students are experiencing cognitive conflict, how this experience affects students learning processes, and how we use that knowledge to improve our science instruction. This study aimed to propose possible answers about these questions. In this paper, we conducted the first question as a first part of our research. To do this, we reviewed related literature and analyzed protocols that were produced in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a model of cognitive conflict was developed. This study's findings may lead to further understanding and use of students' cognitive conflict, which has a complex role in science instruction.

최적화기법에 의한 근육-건 모델 파라미터들의 추정 (Estimation of Muscle-tendon Model Parameters Based on a Numeric Optimization)

  • 남윤수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122-130
    • /
    • 2009
  • The analysis of human movement requires the knowledge of the Hill type muscle parameters, the muscle-tendon and moment arm length change as a function of joint angles. However, values of a subject's muscle parameters are very difficult to identify. It turns out from a sensitivity analysis that the tendon slack length and maximum muscle force are the two critical parameters among the Hill-type muscle model. Therefore, it could be claimed that the variation of the tendon slack length and maximum muscle force from the Delp's reference data will change the muscle characteristics of a subject remarkably. A numeric optimization method to search these tendon parameters specific to a subject is proposed, and the accuracy of the developed algorithm is evaluated through a numerical simulation.

Effects of Health Education Using Virtual Reality for Adolesc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Park, SoMi;Chung, ChaeWeon;Kim, Gaeun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77-190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health interventions using virtual reality (VR) on improving knowledge, attitudes, and skills; and inducing behavioral change among adolescents. Methods: This study 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following PRISMA guidelines. We searched Cochrane, MEDLINE, Embase, CINAHL, Scopus, Web of Science, and Korean databases between database inception and April 10, 2021. Based on heterogeneity, a random- or fixed-effects model was used, as appropriate, to calculate effect sizes in terms of the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SMD) and odds ratio (OR). Studies were selected if they verified the effects of health education using VR on adolescents; there was an appropriate control group; and if the effects of education were reported in terms of changes in knowledge, attitudes, skills, or behaviors. Results: This analysis included six studies (n = 1,086). The intervention groups showed greater responses in knowledge and attitudes (SMD = 0.57, 95% confidence interval (CI) [0.12 to 1.02]), skills related to health behavior (SMD = - 0.45, 95% CI [- 0.71 to - 0.19]), and behavioral change after 12 months (OR = 2.36, 95% CI [1.03 to 5.41]). Conclusion: The results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health interventions using virtual reality (VR). Although the analysis include a small number of studies, a case can be made for health interventions using VR to be utilized as educational methods and strategies to prevent risky behaviors among adolescents.

AHP와 BMC를 활용한 중소기업의 핵심 지식서비스 평가 및 비즈니스 모델 제안 (Evaluating and Suggesting Business Models for the Knowledge-intensive Services Using AHP and BMC)

  • 박선영;금영정
    • 기술혁신연구
    • /
    • 제24권3호
    • /
    • pp.53-79
    • /
    • 2016
  • 기술이 발달하고 기업환경이 급변하면서 중소기업의 기술혁신활동에 있어 지식서비스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현재 지식서비스의 형태로 중소기업에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의 경우 창업지원, 연구개발 기획, 연구개발 수행, 기타 지원서비스에 이르기까지 중소기업 현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기업 활동의 다양한 활동을 광범위하게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지식서비스의 제공 현황과 범위는 지식서비스를 지원하는 기관의 특성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대부분 핵심 서비스의 제공 측면에서는 유사한 성향을 보이며, 이는 각 지원기관의 특성에 따른 차별화가 부족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그러나 지식서비스 제공 기관이 기관 특성 및 역량에 맞는 효과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핵심 지식서비스를 발굴하고 이를 중점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중소기업 정책 및 지원사업을 제공하고 있는 KISTI 중소기업지식본부를 대상으로, 중소기업에 제공되어야 할 가장 적합한 지식서비스를 탐색하고, 핵심 지식서비스를 도출하며, 도출된 핵심 지식서비스에 대한 구체적인 서비스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하도특성량과 수치모형에 의한 하상변동 예측 (Prediction of River-bed Change Using River Channel Characteristics and A Numerical Model)

  • 윤여승;안경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51-61
    • /
    • 2007
  • 자연하천은 하천개수사업, 유역의 토지이용 변화, 댐 및 저수지 건설, 골재채취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하상이 변동하게 된다. 이러한 하상변동은 하천정비 및 다양한 습지계획, 안정하도 유지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본 연구에서는 골재채취로 인해 저하된 하상이 점차 안정화 되어가고 있는 금강 및 미호천 국가하천 구간을 대상으로 하천측량, 하상재료 채취 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하도 형성을 지배하는 하도특성량 분석과 수치모형에 의해 장래 하상변동을 예측하였다. 연구결과 하상경사 및 마찰속도 등 하도특성량을 통해 분석한 하상변동 잠재성 평가 결과와 수치모형을 이용한 하상변동 예측결과가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으며, 금강 및 미호천은 장래 하도가 안정화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이 장래 하상의 세굴 또는 퇴적경향 등을 예측하고 그 특성을 반영하면, 치수적인 대책 수립과 수리적으로 안전한 구간에서의 식생호안 설치 등 치수적으로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하천 및 습지계획이 가능할 것이다.

  • PDF

세계관을 바탕으로 통합과학 교육전략 제안: 기후변화를 중심으로 (Suggesting Strategies of Integrating Science Based on Worldview: Climate Change)

  • 오준영;손연아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2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세계관을 바탕으로 한 기후 변화내용에 대한 통합과학 교육전략을 제안하는데 있다. 어떤 개념이나 현상을 이해한다고 반드시 깨닫는 것이 아니다. 현재까지 대부분의 학교 교육의 정책 방향은 학생들의 결핍 모델에 기초하고 있다. 결핍 모델이란, 학습자는 늘 지식과 경험이 부족하여, 학습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고 단정하는 생각에 기초하고 있다. 그리고 학생들은 이슈가 되는 내용에 대해 깊이 있게 깨닫지 못하기 때문에 그에 대한 태도나 행동 변화가 어렵다. 예를 들면, 기후 변화의 세계관은 낙관적인 기계적인 세계관과 유기체적이고 엔트로피적 세계관이 공존한다. 이 연구는 기존의 결핍 모형의 관점에서 나아가 앎을 살아있는 충족성과 정합성을 확장하는 과정으로 의미화 하고자 한다. 서로 연결이 되지 않은 지식은 다양성을 갖기 어렵고, 지속가능하지도 않고 유연성도 없다. 따라서 이 연구의 주요 아이디어는 학문 간의 담을 없애는 것이 아니라, 서로 연결이 가능하도록 담을 낮추자는 것에 있다. 학습을 할 때, 어느 한 학문 영역에 대해 깊은 전문성을 가지고 다른 학문 영역으로 들어가지만, 연결을 위해서는 반드시 특정 목적을 가지고 있어야한다. 그러한 통합의 과정에서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의미 있게 찾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적으로 다른 영역간의 상호 피드백에 의하여 지식의 질과 양이 늘어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Knowledge-Based Dynamic Structuring of Process Control Systems

  • de Silba, Clarence W.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1993년도 Fifth International Fuzzy Systems Association World Congress 93
    • /
    • pp.1137-1140
    • /
    • 1993
  • A dynamic-structure system is one that has the flexibility to change the system configuration automatically so as to operate in an optimal manner. A conceptural model for a dynamic-structure system is presented in this paper. In this model, the interchangeable components of the overall system are grouped together. Their activity levels are evaluated by an intelligent preprocessor that is associated with the group. A knowledge-based task distribution system evaluates the activity levels and makes decisions as to how the components operating below capacity should be shared with workcells that have similar components that are overloaded. Associated decision making can be effected through fuzzy logic and particularly the compositional rule of inference. A simulation example is given to illustrate the application of dynamic structuring.

  • PDF

골밀도 검사를 받은 여성의 골량증진행위 변화단계 판별요인 (Discriminating Factors of Stages of Change in Bone Mass Promoting Behaviors after Bone Mineral Densitometry)

  • 이은남;손행미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89-400
    • /
    • 2007
  • Purpos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the stage distribution of subjects according to stage of change for calcium intake and for exercise,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could discriminate among subjects in various stages. Methods: The sample consisted of 142 subjects who had taken bone mineral densitometry tests.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Stage Placement Instrument for Calcium Intake and Exercise, the Osteoporosis Health Belief Scale and the Osteoporosis Knowledge Test, and the Osteoporosis Self Efficacy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chi square, ANOVA, and discriminant analysis by using the SPSS 12.0 program. Results: For calcium stages, economic level, calcium knowledge, positive social norms for calcium intake, & educational level showed high standardized canonical discriminant function coefficients. For exercise stages, exercise efficacy, susceptibility, exercise benefit, educational level, positive social norm to exercise, educational level, and exercise barrier showed high standardized canonical discriminant function coefficients. Conclusion: This study implies that bone mass promoting program incorporating a stages of change model can be applied as useful nursing intervention.

  • PDF

열린수학과 모델링 (Open mathematics education and Modelling)

  • 조완영;권성룡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8권2호
    • /
    • pp.663-677
    • /
    • 1998
  •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social change require new paradigm in Education. In a traditional paradigm, learners have been regarded as a passive being and knowledge could be transmitted to learner. But within this paradigm, it is difficult to confront the social change and to develop problem solving skills in various context. This results in a new, alternative perspective, Constructive paradigm. As an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settings, Constructive paradigm emphasizes the learner centered instruction. The reform movement in mathematics education including NCTM's standards revolves around this paradigm and the open education movement in our educational system is based on it. Open education values learner's interest, autonomy and internal motivation in learning. However, open education has been misunderstood by most of the teachers. It should be understood as the change of paradigm. In this study, as a way of helping students connect mathematics to their everyday lives and construct meaningful mathematical knowledge and concept, mathematical modelling is suggested. It consists of posing and specifying the real problem, formulation and constructing a mathematical model, analyzing and solving a mathematical problem. interpreting the solution and comparing with reality and communicating results. In this process, technology like computer can be a powerful tool. It can help students explore various problems more easily and concretely.

  • PDF

과학적 모델의 사회적 구성 수업에서 구현된 두 과학 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내용 (The Contents of Practical Knowledge Realized in Two Science Teachers' Classes on Social Construction of Scientific Models)

  • 김소정;맹승호;차현정;김찬종;최승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807-825
    • /
    • 2013
  • 이 연구는 과학적 모델의 사회적 구성 과정을 목적으로 설계된 수업을 실행한 두 과학 교사의 과학 수업에서 형성되었던 실천적 지식의 내용을 Elbaz가 제시한 실천적 지식의 5가지 내용 범주를 준거로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두 과학 교사의 과학 수업에 대한 참여 관찰 및 수업 촬영 비디오 자료를 바탕으로 행위 동안의 반성 과정 및 수업 후 면담에 반영된 교사들의 내러티브를 통한 행위에 대한 반성 과정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 두 과학 교사의 수업 실행 과정에서 학생들이 과학적인 모델을 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비계를 제공할 때 교과내용 지식에 대한 실천적 지식이 발현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2) 교육 과정에 대한 교사의 지식이 어려운 과학 개념의 이해와 전달에서 주어진 학습 목표에 적절한 모델 형성으로 수업의 목표를 변화하는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3) 참여 교사의 교수법 지식의 실행은 과학적 모델의 사회적 구성 수업의 의도에 맞추어 학생들의 모둠 활동과 모델 생성 활동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변화하였다. 4) 교사의 자아에 대한 실천적 지식은 학생들이 모둠 활동을 통해 과학적 모델을 구성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으려면, 교사는 조력자, 안내자, 그리고 격려자로서 자신의 역할을 인식하고 변화된 역할을 적절하게 수행하는 것이 중요함을 보여주었다. 5) 두 참여 교사의 학습 환경에 대한 실천적 지식은 수업을 진행하는 동안 각 모둠과 교사가 형성한 상호작용의 양상을 통해 발현되었으며, 두 교사는 함께 뛰는 운동 선수 또는 그라운드 옆의 코치와 같은 양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적 모델 구성에 대한 영역 특이적 실천적 지식의 특성에 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