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nee surgery

검색결과 838건 처리시간 0.032초

비만환자에서 시행한 슬관절 관절경술 - 증례 보고 - (Knee Arthroscopy in the Obese: A Case Report)

  • 백승훈;김신근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9-32
    • /
    • 2010
  • 비만환자에서 유용한 수술적 술기와 증가된 술전 및 술후 위험성에 대한 보고들은 있으나, 비만이 관절경적 시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고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저자들은 체중 120kg의 17세 남자환자에서 반월상연골 부분절제술을 시행한 후, 현재까지 출간된 문헌들을 고찰하고 비만환자들에서 슬관절 관절경술 시행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과 수술적 술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Assessment of the Global Rating of Knee Function in Patients Following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 Ross, Michael D;Prall, Joshua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11권1호
    • /
    • pp.1-7
    • /
    • 2022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validity of the global rating of knee function as a measure of participation restrictions experienced dur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sports by patients with a history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ACLR). Design: Cross-sectional study. Methods: Forty-three subjects (33 males, 10 females, age=20.3 ± 1.3 years), at a mean of 31.2 ± 14.4 months following ACLR, participated in this study. During testing, subjects were first asked to provide a global rating of function by assessing their level of knee function on a 0 to 100 scale, with 0 points representing complete loss of function due to their knee injury and 100 points representing their level of function prior to their knee injury. After providing a global rating of function, subjects completed the Knee Outcome Survey (KOS)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ale (ADLS) and Sports Activity Scale (SAS), which served as the measure of participation restrictions in this study. Results: Pearson product correlations revealed moderate relationships between the global rating of function and the ADLS (r=0.66, p<0.0001) and SAS (r=0.69, p<0.0001). Conclusions: The global rating of knee function provides a valid measure of participation restrictions experienced dur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sports by patients with a history of ACLR.

연골결손에 대한 자가 골연골 이식 수술 후 이차 관절경 소견 (Second look Arthroscopic finding after Osteochondral Autogenous Graft Transfer for the Chondral defect of the Knee)

  • 최남홍;곽호윤;송백용;배상욱;이인묵;김우진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99-103
    • /
    • 2001
  • 목적 : 이번 전향적 연구의 목적은 슬관절의 연골 결손 환자의 치료로서 자가 골연골 이식술을 시행한 후 이차 관절경을 시행하여 관찰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 슬관절의 연골 결손의 치료로 자가 골연골 이식술이 시행된 40명의 환자 중 14면에서 이차 관절경이 시행되었다. 환자들의 연령은 $17\~59$세로, 평균 연령은 34세였다. 수술 전 14명 중 11명에게서 자기 공명영상을 시행하여 9면에서 연골 결손이 관찰되었으나 관절경술상 전례에서 연골결손을 확인하였다. 연골 결손의 부위는 대퇴골 내과가 7명, 활차 부위가 4명, 대퇴골 외과가 3명이었다. 연골 결손의 크기는 평균 $13\times10mm$, 최소 $5\times10mm$, 최대 $22\times20mm$이었다. 사용된 골연골의 갯수는 1개를 사용한 경우 8명, 2개가 3명, 3개가 2명, 5개가 1명이었다. 결과 : 수술 후 추적 관찰은 평균 21개월이었다. 대부분의 경우 수술 후 6개월에 이차 관절경을 시행하였다. 시행한 환자의 $86\%$에서 이식된 연골의 경도가 주변의 연골과 같았으며, $93\%$의 환자에서 주변 연골과 잘 융화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 : 자가 골연골 이식술을 자가 골연골 이식술은 슬관절의 연골결손의 치료의 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거대세포종의 치료시 관절 기능의 보존 (The Preservation of Joint Function in Treatment of Giant Cell Tumor of Bone)

  • 배대경;한정수;선승덕;백창희;이재훈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45-153
    • /
    • 1995
  • Giant cell tumor is most frequently found in juxtaarticular region, and difficult to treat because of local recurrence. Although primary resections reduce recurrence, the joint function will be markedly impaired. Techniques involving physical adjuncts(high speed burr and electric cauterization), acrylic cement or en bloc resection with VFG(vascularized fibular graft) have been employed to reduce local recurrence. From October 1984 to April 1994, twenty-nine patients diagnosed as giant cell tumor were treated at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There were eleven men and 18 women, ranging in age from 17 to 52 years(mean: 34 years).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four years and five months. The location of the lesion was around the knee in 15, distal radius in three, femoral head in three, and others in eight patients. Fifteen patients around the knee joint were treated with several modalities; curettage with bone graft in five, curettage with cement filling in three, curettage with bone graft and physical adjuncts in five, en bloc resection with VFG in one and en bloc resection with arthroplasty in one patient. The functional results, according to the Marshall's knee score, were excellent in one, good in two, and fair in two after the curettage with bone graft, good in three after the curettage with bone cement filling, excellent in one, good in four after the curettage with bone graft and physical adjuncts, and good in two after the en bloc resection with VFG or arthroplasty. Three patients had local recurrence among 15 patients with giant cell tumor around knee. Vascularized fibular graft around wrist joint provided good functional restoration without local recurrence in all three patients who had giant cell tumor in distal radius. Although there i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t seems that curettage with bone graft using physical adjuncts or acrylic cement reveals better results than simple curettage with bone graft. Excellent functional result were obtained without local recurrence by using vascularized fibular graft after en bloc resection.

  • PDF

신선 동결 아킬레스 동종건을 이용한 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보행분석 (Gait Analysis After Pos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Fresh-Frozen Achilles Allograft)

  • 전철홍;조재득;전근철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76-82
    • /
    • 2009
  • 목적: 아킬레스 동종건을 이용한 관절경적 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군에 대해 임상적 결과를 평가하고 보행분석을 시행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3월에서 2005년 3월 까지 후방십자인대 손상에 대해 신선 동결 아킬레스 동종건을 이용한 관절경적 재건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 중, 저자들이 지시한 재활 프로그램에 순응한 1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수술후 추시 36개월에 임상적 결과 평가와 보행분석을 시행하였다. 임상적 결과는 관절 운동 범위, Lysholm knee score, Tegner Activity Score, IKDC score, 후방 전위 검사, Telos stress arthrometer를 이용한 후방 전위를 측정하여 평가하였고 보행검사는 3차원적 보행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모든 임상적 결과 평가 항목에 있어서 술 전과 비교하여 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였다. 보행분석 결과 환측과 건측 슬관절에 굴곡각 및 내반각의 약간의 차이를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전반적으로 양쪽 슬관절의 유의한 보행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후방십자인대 손상 슬관절에서 관절경적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 중 재활프로그램에 순응한 환자를 대상으로 평가한 결과 술 전과 비교하여 의미있게 증가된 임상적 결과와 건측과 비교하여 차이를 보이지 않는 보행분석 결과를 얻은바 후방십자인대 재건시 체계적이고 엄격한 재활치료가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대퇴이두건 전환술(Clancy 변형 술식)을 이용한 후외측 회전 불안정성의 재건 (Biceps Rerouting Technique(Modification of Clancy) for Posterolateral Rotatory Instability)

  • 김성재;신상진;김진용;이동주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5-31
    • /
    • 2000
  • 후외측 회전 불안정성은 정확한 손상 기전에 대하여 논란이 많은 복잡한 손상으로 올바른 진단과 치료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Modified Clancy 술식으로 치료한 후외측 회전 불안정성 재건술의 임상결과를 후방십자인대 손상 여부에 따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 후외측 회전 불안정성 단독 손상 환자 (group I) 21예와 후방십자인대 손상을 동반한 후외측 회전불안정성 손상 환자 (group II) 25명을 대상으로 후방십자인대 손상은 일절개법을 이용하여 관절경적 재건을 하였으며, 후외측 회전 불안정성은 Clancy 변형 술식을 이용하였다. 이들의 임상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모든 예에서 수술 전 reverse pivot shift test 양성이었으나 수술 후 43례에서 음성으로 측정되었다. 수술 전 측정한 external rotation thigh foot angle test는 I군과 II군에서 모두 건측에 비해 증가되어 있었고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수술 후 양군 모두 $10^{\circ}$이하의 측정치를 나타내었다. 평균 40.3개월 (24-99개월) 추시 관찰 기간 중 평균 Lysholm knee score와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knee ligament score는 양군에서 모두 90점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두 군 사이의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의미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술 후 합병증으로 3예에서 전환 대퇴 이두건 파열이 발생하여 재수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 Clancy 변형 술식은 장경 인대의 손상을 줄이며 대퇴 이두건을 등척점으로 전환함으로 정상 운동범위 회복을 가능하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 결과 Clancy 변형 술식을 이용한 후외측 회전 불안정성 재건은 I군과 II군에서 모두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으며 대퇴 이두건 부착부의 유착이 없는 경우 Clancy 변형 술식은 단독 또는 동반 손상을 가진 후외측 회전 불안정성 재건술에 좋은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 PDF

관절경 수술시 슬관절내 온도변화 (Changes in Temperature during Arthroscopic Knee Surgery)

  • 이동주;김형수;박승림;강준순;염승훈;김신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9-53
    • /
    • 2002
  • 목적 : 관절경 수술 전,후에 발생되는 관절내 온도 변화를 측정하고, 이러한 온도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반월상 연골의 손상과 전방 십자 인대 손상으로 관절경 수술이 시행된 연속된 4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42예의 슬관절에서 온도 변화가 측정되었다. 슬관절 온도의 측정은 3차례에 걸쳐 실시되었는데, 술 전 지혈대 팽창 전, 지혈대를 팽창시킨 후 그리고 마지막 측정은 수술이 끝난 후에 실시하였다. 결과 : 지혈대 팽창 이전의 슬관절 평균 온도는 $35.1{\pm}1.0^{\circ}C$이었고, 술 후 슬관절 온도는 $24.6{\pm}1.5^{\circ}C$로 측정 되었으며 평균 $10.5^{\circ}C$의 온도 감소를 보였다. 관절 종창이 없는 군과 관절 종창이 경도(+1)인 군 관절 종창이 없는 군과 중등도(+2)인 군간에서의 술 전 슬관절의 온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단지 관주용액의 온도와 수술 시간을 술 후 슬관절 온도와 비교할 때, 관주용액의 온도가 낮을수록(p<0.01), 수술 시간이 길수록 술 후 슬관절 온도가 낮았다.(p<0.01). 결론 : 관주용액의 온도를 체온과 유사하게하고 관주용액을 사용하는 수술 시간을 가능한 줄이도록 노력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슬관절의 관절경적 시술 후 발생한 폐 색전증 - 2례 보고 - (Pulmonary Embolism Complications after Knee Arthroscopy - 2 Cases Report -)

  • 경희수;백승훈;김성중;손수민;양동렬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2-117
    • /
    • 2006
  • 심부 정맥 혈전증(deep vein thrombosis)과 폐색전증(pulmonary embolism)은 정형외과적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하고 치명적인 합병증이다. 대부분의 시술은 인공관절 치환술등 절개가 큰 시술 후에 발생한다. 반면 슬관절의 관절경적 시술 같은 최소 침습적 수술의 경우, 그 위험도 및 예방적 조치에 대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다. 슬관절의 관절경적 시술 후 발생한 폐색전증의 국외보고는 다소 있으나 국내보고는 아직 없어 2례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 PDF

하지 인공관절 치환술 환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Knee or Hip Arthroplasty Patients)

  • 강미경;김근진;김혜영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09-218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ho have had knee or hip arthroplasty. Factors included sleep disorders, pa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depression.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research were 97 patients within one year after receiving knee or hip arthroplasty surgery and who regularly visited a hospital outpatient department.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 program. Results: Sleep disorders, pa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depression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arthroplasty patients were the length of time since surgery, sleep disorder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depression. These factors explained 58% of the participant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various factors can affect patient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llowing joint replacement surgery. The findings indicate that sleep disorders and depression should receive continued attention after the arthroplasty.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appropriat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to lower depression and increase patient participation in daily living acti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