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nee surgery

검색결과 838건 처리시간 0.053초

경도의 슬관절 십자 인대 손상환자에 대하여 시행한 열 위축술 (Radiofrequency Shrinkage Method for Minor Degree of Cruciate Ligament Injury of knee joint)

  • 문영래;하상호;유재원;주정용;주평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7-42
    • /
    • 2002
  • 목적: 재건술의적응이되지않는전,후방십자인대손상환자에서radiofrequency 방식을이용한열위축술을시행하여술기및단기추시결과를보고하고자한다. 대상및방법 : 재건술의적응이되지않는전방십자인대9예, 후방십자인대5예를대상으로하였으며평균추시기간은6개월이었다. 결과 : 일상생활에서느꼈던불안정성은감소됐으며파행이나통증등이현저하게호전되었다. 다만후방십자인대에서시행한경우시간이지남에따라다시슬관절이완이증가하는소견을관찰할수있었다. 결론 : Radiofrequency를이용한열위축술은많은활동을요하는젊은사람의슬관절십자인대손상에서, 특히경도의부분파열및수술의적응이되지않는이완환자에서증상을보일경우시도해볼수있는술식중의하나로추천할만하다. 그러나본결과는단기추시이므로장기추시와대조군연구가요할것으로사료된다.

  • PDF

슬관절 연골 결손에 대한 fibrin matrix 자가 연골 세포 이식술 후 이차 관절경 소견 - 예비보고 - (Second Look Arthroscopic Finding after Fibrin Matrix Autologous Chondrocyte Implantation for the Treatment of Articular Cartilage Defect of the Knee - Preliminary Report -)

  • 최성욱;오인석;김려섭;박선원;이종민;이문;김명구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6
    • /
    • 2007
  • 목적: 슬관절 연골 결손 환자 치료로 진보적으로 변형된 gel 형태의 fibrin matrix 자가 연골 세포 이식술을 시행한 후 이차 관절경을 통하여 그 단기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슬관절 연골 결손 환자 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결손 크기는 평균 $5.13\;cm^2$ 이었다. 1차 관절경 시술시 연골 전층을 채취하여 $4{\sim}6$주간 배양하여 연골 세포를 증식한 후, 2차로 fibrin을 matrix로 하는 gel 형태의 자가 연골 세포 이식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수술 후 Modified Cincinnati Knee Score는 6명중 4예에서 양호 이상, Lysholm function score는 수술 전 평균 59.5점에서 수술 후 평균 75.25점으로 증상이 호전되었다. ICRS grade 측정에서 6명중 4예에서 거의 정상의 결과를 보였다. 결론: Gel 형태의 fibrin matrix 자가 연골 세포 이식술은 기존의 고식적인 방법에 비해 수술시간이 짧고, 최소 절개 또는 관절경적 시술이 가능한 유용한 방법으로 사료되나, 추후 더 많은 증례 및 지속적인 장기 추시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의 관절경적 치료 - 기졔적 증상이 있는 군과 없는 군과의 비교 - (Arthroscopic Treatment of Osteoarthritis of the Knee(Comparison of the groups with and without mechanical symptom))

  • 김철호;임창균;조성우;김기형;문진웅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49-152
    • /
    • 2003
  • 목적: 관절경 술식으로 치료한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에서 기계적 증상의 유무에 따른 임상 결과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0월부터 2002년 1월까지 슬관절의 퇴행성 관절염 으로 관절경 수술을 받은 60명 60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추시 기간은 평균 15개월(12$\~$30개월)이었다. 수술전 단순 방사선 소견과 문진 그리고 이학적 검사로 기계적 증상의 유무를 판단 하였다. 치료 결과는 Baumgaertner의 평가 방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술전 Baumgaertner score는 기계적 증상이 있는 군에서 평균 3.1점에서 술후 8.1점이었으며 기계적 증상이 없었던 군에서는 술전 3.5점에서 술후 5.4점으로 기계적 증상이 있었던 환자군에서 더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결론: 퇴행성 관절염에서 기계적 증상이 있는 경우 관절경적 치료는 의미 있는 치료방법이라고 사료되나 보다 많은 증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혈우병성 슬관절염의 관절경적 활액막 제거술 (Arthroscopic Synovectomy of the Knee in Hemophilic Patients)

  • 배대경;윤경호;김희선;김승환;정선택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77-182
    • /
    • 2002
  • 목적 : 혈우병성 슬관절염 환자에 대해서 관절경적 활액막제거술을 시행한 후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6년 1월부터 2001년 1월까지 혈우병성 슬관절염으로 관절경적 활액막 제거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1년 6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26명 28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17.8세 ($8\~37$세), 추시 기간은 평균 3년 11개월 (1년 7개월$\~$6년 7개월)이었다. 수술은 전 례에서 6부위의 portal (two anterior, two suprapatellar and two posterior)과 posterior trans-septal porta 을 사용하였다. 결과 : 출혈의 빈도는 수술 전 평균 1개월에 4회에서 최종 추시 시 2회로 감소하였고, 항혈우병 인자의 투여량은 수술 전 평균 1개월에 4,633 units에서 최종 추시 시 1,505 units로 감소하였다. 운동범위는 수술 전 평균 112도, 최종 추시 시 평균 107도였다. 방사선학적으로는 최종 추시 3례에서 수술 전에 비해 혈우병성 관절염이 진행하였다. 환자의 주관적 평가는 significant 혹은 moderate improvement 19례 $(68\%)$, no improvement 혹은 deterioration 9례 $(32\%)$였다. 결론 : 혈우병성 슬관절염 환자에서 관절경적 활액막 제거술은 합병증이 적고, 출혈의 빈도와 동통을 감소시키고 관절 운동 범위를 유지 할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 PDF

동종 이식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Reconstruction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with Human Allograft)

  • 서정탁;천상진;이정섭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7-12
    • /
    • 2000
  • 목적 : 동종 이식건을 이용하여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후 추시하여 임상 결과 및 방사선학적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1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동종 이식건을 이용하여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 중에서 1년이상 추시가 가능한 22례를 대상으로 전방 전위 검사, Lachman 검사, Pivot shift 검사, 방사선 촬영, 건측과 환측의 슬관절 운동 범위의 차이 및 CA-4000 knee motion analyzer를 이용하여 양측 슬관절의 전위 정도를 측정하였고, Lysholm knee score 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 Lysholm knee score는 술전 평균 54점에서 술후 평균 81점으로 평균 27점 증가하였고, CA-4000 knee motion analyzer를 이용하여 전방 전위력을 가하여 정상측과 비교한 양측 차이가 3 mm 미만인 경우가 16례$(73\%)$, 3 - 5 mm인 경우가 4례$(18\%)$, 6 mm 이상인 경우가 2례 $(9\%)$였다. 12례에서 평균 1.5 mm의 경골 터널 크기의 증가를 보였지만, 골융해나 낭종 형성의 소견은 없었고 터널 크기의 증가와 임상 결과와는 무관하였다. 결론 : 제한적 증례이지만 동종 이식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임상적 결과는 문헌에서 보고된 자가 이식건을 이용한 경우에서의 임상적 결과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고, 이 같은 결과로 미루어보아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시 동종 이식건은 훌륭한 자가 이식건의 대체물이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

원판형 연골 낭포 - 3예 보고 - (Discoid Meniscal Cyst -Report of 3 Cases-)

  • 조성도;고상훈;황수연;이주용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20-225
    • /
    • 2003
  • 슬관절의 반월상 연골 낭포는 비교적 드문 질환이며, 특히 원판형 연골 낭포는 최근에 국내에서 보고된 바가 없다. 저자들은 자기 공명 영상 및 관절경을 이용하여 원판형 연골 낭포로 진단 하였던 3예의 환자를 보고하고자 한다. 주 증상으로 전례에서 간헐적 슬관절 동통을 호소하였고, 1예에서 외상의 병력이 있었다. 이학적 검사상 전례에서 관절선 압통이 있었고, 1예에서는 촉진시 종물이 의심되었으며 다른 1예에서는 10도 굴곡 구축의 관절 운동 제한을 보였고, McMurray 검사상 내측 원판형 반월상 연골 1예에서 외회전시 양성 소견을 보였다. 원판형 반월상 연골 분류는 전례에서 완전형이었으며, 내측 원판형 반월상 연골이 1예, 외측이 2예였고, 자기 공명 영상 소견상 전례에서 수평 파열의 양상을 보였으며 낭포의 발생 위치는 전각부가 1예, 중간부가 2예였다. 치료는 3예 모두 반월상 연골 낭포의 치료와 동일하게 관절경하 부분 절제술 및 낭포 감압술을 시행하였다. Glasgow의 임상 평가 기준에 의한 술후 결과는 3예 모두 우수였으며 , 관절 운동 범위도 정상으로 회복되어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슬관절 인공관절 전치환술 환자에서 부프레노르핀 경피 패치의 적용부위에 따른 수술 후 통증 조절 효과 비교: 후향적 환자-대조군 연구 (Comparison of the Postoperative Pain Control Effects of a Buprenorphine Transdermal Patch on Total Knee Arthroplasty Surgery Patients according to Its Applied Sites: Retrospective Case-Control Study)

  • 김옥걸;이상욱;김현민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6호
    • /
    • pp.527-533
    • /
    • 2020
  • 목적: 슬관절 인공관절 전치환술(total knee arthroplasty, TKA) 후 통증 조절을 위한 부프레노르핀 경피 패치(buprenorphine transdermal patch, BTDP)의 흉부 적용 및 무릎 적용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8년 8월부터 2019년 8월까지 TKA를 시행한 231명 중에서 나이, 성별, 체질량 지수(body mass index) 등을 고려한 환자-대조군 연구를 통해 선별된 200예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BTDP를 적용하기 전후에 Numeric Rating Scale (NRS), 부작용 및 순응도를 측정하였으며 흉부 적용군(A군=100명)과 무릎 적용군(B군=100명) 사이의 모든 측정치를 비교하였다. 결과: 술 후 BTDP 적용군 간의 휴식 시 NRS는 전반적으로 비슷하였으나 B군의 술 후 2, 3일째 오후, 5일, 6일, 7일째 휴식 시 NRS는 A군의 NRS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BTDP 적용 후 중추신경계, 위장관계 부작용은 B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심혈 관계, 피부의 부작용은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증 조절을 위한 지속적인 BTDP 유지에서도 B군이 A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결론: TKA 후 BTDP를 통증이 있는 무릎 관절에 직접 적용하는 것은 술 후 초기 통증 조절에 있어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기존의 흉부 적용 방법보다 부작용 빈도를 줄여 환자의 순응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방법으로 판단된다.

무릎관절 재활 운동기기의 운동범위 분석 (Analysis of Range-of-Motion in Continuous Passive Motion Rehabilitation)

  • 박원만;김윤혁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A
    • /
    • pp.1515-1517
    • /
    • 2008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measure the ranges of motion in knee joint and during continuous passive motion(CPM) treatment and to computationally calculate joint angles at the knee joint dependent on the CPM machine design and its application. Four CPM machines and eleven candidate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ies have been peformed to calculate the range-of-motion of CPM machines. From the experimental measurements, the average range of motions at the knee joint for the CPM machine #1, #2, #3, and #4 were lower than the manufactures suggested values due to improper alignments of the hip and knee joints to the CPM machines. Different design of CPM machine generated different outcomes of the ROM at the knee joints during CPM. The experiments and kinematic simulation in this study could be used to provide useful guidance in the treatment of CPM after joint surger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