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hroscopic Synovectomy of the Knee in Hemophilic Patients

혈우병성 슬관절염의 관절경적 활액막 제거술

  • Bae, Dae-Kyung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Yoon, Kyoung-Ho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Kim, Hee-Seo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Kim, Seung-Hwa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Chung, Sun-Teak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배대경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윤경호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김희선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김승환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정선택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2.12.01

Abstract

Purpose : To validate the arthroscopic synovectomy for the treatment of hemophilic knee.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1996 to January 2001, 28 arthroscopic synovectolny were performed in 26 patients with hemophilic arthropathy of the knee. The mean age was 17.8 year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3 years 11 months. We used six portals (two anterior, two suprapatellar and two posterior) and posterior trans-septal portal in all cases. Result : The mean frequency of hemarthrosis was 4 times per month preoperatively and 2 postoperatively. The mean amount of factor replacement was 4,633 units preoperatively and 1,505 postoperatively. The mean range of motion was $112^{\circ}$ preoperatively and $107^{\circ}$ postoperatively. On radiographic evaluation, three cases were progressed at the latest follow-up. On the subjective evaluation, significant or moderate improvement were in 19 cases $(68\%)$, and no improvement or deterioration in 9 cases $(32\%)$. Conclusion : With complete synovectomy through the appropriate arthroscopic portals, arthroscopic synovectomy of the knee in hemophilic patients is the successful method in decreasing bleeding episodes, amount of factor replacement, knee pain and preventing or delaying onset of end-stage hemophilic arthropathy.

목적 : 혈우병성 슬관절염 환자에 대해서 관절경적 활액막제거술을 시행한 후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6년 1월부터 2001년 1월까지 혈우병성 슬관절염으로 관절경적 활액막 제거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1년 6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26명 28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17.8세 ($8\~37$세), 추시 기간은 평균 3년 11개월 (1년 7개월$\~$6년 7개월)이었다. 수술은 전 례에서 6부위의 portal (two anterior, two suprapatellar and two posterior)과 posterior trans-septal porta 을 사용하였다. 결과 : 출혈의 빈도는 수술 전 평균 1개월에 4회에서 최종 추시 시 2회로 감소하였고, 항혈우병 인자의 투여량은 수술 전 평균 1개월에 4,633 units에서 최종 추시 시 1,505 units로 감소하였다. 운동범위는 수술 전 평균 112도, 최종 추시 시 평균 107도였다. 방사선학적으로는 최종 추시 3례에서 수술 전에 비해 혈우병성 관절염이 진행하였다. 환자의 주관적 평가는 significant 혹은 moderate improvement 19례 $(68\%)$, no improvement 혹은 deterioration 9례 $(32\%)$였다. 결론 : 혈우병성 슬관절염 환자에서 관절경적 활액막 제거술은 합병증이 적고, 출혈의 빈도와 동통을 감소시키고 관절 운동 범위를 유지 할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