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lebsiella sp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3초

음식물쓰레기의 생물학적 수소생산 및 미생물의 군집특성 (Characteristics of Microbial Community and Bio-hydrogen Production from Food Waste)

  • 최문수;이태진
    • 유기물자원화
    • /
    • 제20권4호
    • /
    • pp.86-96
    • /
    • 2012
  • 탄소원으로 자당을 공급한 합성폐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발생수소량은 (7.56 mg $H_2/g$ COD) 적었지만 음식물쓰레기를 기질로 이용한 혐기적 발효공정에서 발생된 가스는 3.47 mg $H_2/g$ COD의 수소생성율을 나타내었다. 자당 합성폐수와 음식물쓰레기의 경우, 각각 8.01, 3.73의 B/A비를 보였으며 수소생성이 많은 경우 주요 유기산 중 Butyric acid가 많이 검출되었다. 동정분석 결과 주요 미생물 군집은 Escherichia 속, Klebsiella 속, Clostridium 속, Bacterium 속, 그리고 Enterobacter 속으로 분석되었다. Clostridium 속은 자당 합성폐수와 음식물 쓰레기 모두에서 관찰되었고 Klebsiella 속은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과정에서 더욱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생물의 분류학적 관계를 확인한 결과로 60%가 ${\gamma}-proteobacteria$이였으며 Firmicute와 Bacteria가 각각 20%를 차지하였다.

제당폐수를 이용한 수소생산과 미생물의 군집해석 (Biohydrogen Production from Sugar Manufacturing Wastewater and Analysis of Microbial Diversity)

  • 이희수;이태진
    • 유기물자원화
    • /
    • 제20권3호
    • /
    • pp.41-51
    • /
    • 2012
  • 생물학적 혐기발효를 이용하여 제당폐수로부터 바이오 수소가스의 생산 수율을 알아보고, 이 반응에 관여하는 미생물의 군집양상을 살펴보았다. 제당폐수 내 영양염류($N{\cdot}P$)의 공급함에 따라 수소발생량이 9.53 에서 $26.67m{\ell}$ $H_2/g$ COD로 증가하였다. 혐기발효과정에서 butyric acid, acetic acid, lacticacid, 그리고 propionic acid이 검출되었다. Butyric acid/acetic acid(B/A)비는 제당폐수에 영양염류가 공급됨에 따라 0.50에서 0.92로 증가 하였으며, B/A비가 높을수록 수소생산량이 증가하였다. 제당폐수의 발효과정에서 나타나는 미생물 군집은 Firmicutes문에는 Clostridium 속으로 나타났으며 $\gamma$-Proteobacteria 강에는 Klebsiella 속, Erwinia 속, 그리고 Eenterobacter 속이 검출되었다. 또한 수소 생성이 활성화 되면서 Erwinia 속은 위축되고 Klebsiella 속이 많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Lipase gene의 도입에 의한 유류분해세균 Klebsiella sp. KCL-1의 표면활성과 유화력 향상 (The Improvement of surface activity and Emulsification Activity by Transformation of Lipase Gene in Klebsiella sp. KCL-1, Oil-Degrading Bacterium.)

  • 정수열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834-839
    • /
    • 2004
  • 원유 분해능이 강력한 해양균주 Klebsiella sp. KCL-1의 표면활성 능력과 유화활성의 향상을 위하여 An et. al.이 보고한 Pseudomouas sp. SW-3균주로부터 cloning된 pET-Lip을 KCL-1에 도입하였다. KCL-1/pET-Lip은 2% glucose, 4% soybean oil, 4% kerosene 각각의 탄소원에 대하여 야생형균주 KCL-1과 비교하여 우수한 표면장력 저하 능력을 가지게 된 것을 알 수 있다. KCL-1/pET-Lip은 4% soybean oil를 유일한 탄소원으로 배지에 첨가한 경우 표면장력이 55 dyne/cm에서 32 dyne/cm로 줄어들었다. 세포의 성장은 2% glucose가 탄소원으로 사용된 경우 성장이 최대로 확인되었다. 0.2% glucose와 2% soybean oil을 복합적으로 첨가한 경우 2% glucose를 탄소원으로 사용한 경우에 비해 균의 생육도는 별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표면 장력에는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4% soybean oil을 사용한 경우와 비교할 경우 균의 생육도는 월등히 높으며, 표면장력의 저하능은 96시간째에 차이가 2 dyne/cm로 비슷해진다. 따라서 탄소원으로서 glucose는 세포의 성장과 관련이 있고, soybean oil 경우는 표면 장력 저하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유화활성의 경우 사용된 모든 기질에 대하여 유화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대두유를 기질로 사웅한 경우 유화활성이 가장 높았다 대두유를 탄소원으로 사용하여 KCL-1/pET-Lip 을 48, 72, 96시간 배양한 세포 추출물에서 42 kDa의 lipase로 추정되는 단백질이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lipase를 도입한 KCL-1/pET-Lip의 표면활성 변화 능력이 월등히 향상된 것으로 추정된다.

Klebsiella sp. DA71-1/pLYJ의 난용성 인산염 가용화 특성 (Characteristics of Insoluble Phosphates Solubilizing by Klebsiella sp. DA71-1/pLYJ)

  • 류아름;이진우;이용석;이상철;정수열;최용락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676-682
    • /
    • 2006
  • 친환경형 미생물제제의 난용성 인산염 가용화능의 향상을 위하여 Staphylococcus sp. LJ2로부터 분리된 ldh gene을 Klebsiella sp. DA71-1에 도입하였고, 이를 DA71-1/pLYJ라고 명명하였다. 배지에 glucose를 3% 첨가했을 때 다른 탄소원을 첨가했을 때보다 DA71-1/pLYJ 균주의 난용성 인산염 가용화능이 월등히 우수하였다. 각기 다른 난용성 인산염 tri-calcium phosphate, hydroxyapatite, 그리고 aluminium phosphate에 대하여 그 가용화능이 DA71-1 균주보다 적게는 1.2배, 많게는 2.3배 이상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DA71-1/pLYJ 균주는 DA71-1 균주에 비해 배양 온도에 비교적 관계없이 높은 인산가용화능을 나타낸 것이 특징적이었고, 배양초기 pH가 5.0일 때 그 능력이 가장 뛰어났다. 이러한 모든 결과들을 종합해볼 때 DA71-1/pLYJ 균주는 여러면에서 DA71-1 균주보다 난용성 인산염 가용화능이 월등히 뛰어나며 따라서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인 미생물제제의 개발에 큰 역할을 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할 수 있다.

Purification and Phys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Melanin Pigment from Klebsiella sp. GSK

  • Sajjan, Shrishailnath;Kulkarni, Guruprasad;Yaligara, Veeranagouda;Lee, Kyoung;Karegoudar, T.B.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11호
    • /
    • pp.1513-1520
    • /
    • 2010
  • A bacterium capable of producing melanin pigment in the presence of L-tyrosine was isolated from a crop field soil sample and identified as Klebsiella sp. GSK based on morphological, biochemical, and 16S rDNA sequencing. The polymerization of this pigment occurs outside the cell wall, which has a granular structure as melanin ghosts.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the pigment particles showed then to be acid resistant, alkali soluble, and insoluble in most of the organic solvents and water. The pigment got bleached when subjected to the action of oxidants as well as reductants. This pigment was precipitated with $FeCl_3$, ammoniacal silver nitrate, and potassium ferricynide. The pigment showed high absorbance in the UV region and decreased absorbance when shifted towards the visible region. The melanin pigment was further charecterized by FT-IR and EPR spectroscopies. A key enzyme, 4-hydroxyphenylacetic acid hydroxylase, that catalyzes the formation of melanin pigment by hydroxylation of L-tyrosine was detected in this bacterium. Inhibition studies with specific inhibitors, kojic acid and KCN, proved that melanin is synthesized by the DOPA-melanin pathway.

아미노산액 처리에 의한 인산가용화균주의 생육 및 가용화 효과 (Effect of Amino Acid Solution for Cell Growth and MPS Activity of Mineral Phosphate Microorganisms.)

  • 이진우;정연주;최시림;김재훈;유주순;김영길;최용락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490-495
    • /
    • 2004
  • 인산가용화능이 우수한 균주인 Burkholderia sp. DA23과 Klebsiella sp. DA7l-1 두 균주를 사용하여 농도별 아미노산 첨가에 따른 성장 양상과 유리인산 방출량을 조사한 결과, 두 균주의 생육과 인산가용화에 있어 아미노산이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DA23과 DA7l-1 모두 0.05%와 0.1%의 아미노산을 SM배지에 첨가하여 성장 양상을 확인한 결과 아미노산을 첨가한 배지의 균주가 아미노산을 처리하지 않은 배지의 균주에 비해 높은 세포 밀도 성장을 보여주었다. 인산가용화 균주의 아미노산 첨가의 경우 무처리보다 높은 pH 저하를 보였으며, 또한 아미노산 첨가가 아미노산 무처리구에 비해 2배이상 높은 인산가용화 효과를 보였다. DA7l-1의 아미노산 첨가의 경우는 DA23의 아미노산 첨가보다 아미노산 첨가에 의한 인산가용화 효과가 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hydroxyapatite와 tri-calcium phosphate 의 인산염 차이에 따른 아미노산 처리 효과는 없었으며, 0.05%의 미량의 농도에서도 인산가용화로의 세포밀도 성장 및 가용화능에 효과를 나타내었다.

축산유래 식중독 세균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제1보 : 일부 농촌지역 젖소 유방염의 발생양상 및 그 원인균이 항균요법제에 관한 감수성 (Ecological Studies on the Causative Agents of Food Poisoning from Food Animals - 1. Patterns on the Outbreaks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Causative Agents Isolated from Bovine Mastiffs in a Rural Area)

  • 정희곤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90-98
    • /
    • 1994
  • 전남지역에서 사육하고 있는 젖소 767두 중 유방염으로 의심되는 405두에서 원인균을 분리하여 유병률, 계절별 분리균의 분포, 항균 요법제에 대한 감수성 검사 등을 실시하였다. 유방염의 유병률을 살펴보면, 총 767두 중애서 259두(33.8%)이었고, 분방별로는 총 3,068분방 중에서 568분방(18.5%)이었으며, 계절별로는 8원(17.6%), 9월(12.7%), 4월(11.2%) 등의 순으로 나타났고 체세포 숫자별로는 평균 105.9X10$^4$ $\pm$ 79.5X10$^4$이었다. 원인균의 월별 분리빈도분포를 살펴보면, 1월에는 Staphylococcus sp. & Escherichia coli(33.3%), 2월 Staphylococcus sp.(71.4%), 3월 Streptococcus sp.(31.6%), 4월 Streptococcus sp.(41.4%), 5월 Escherichia coli(35.7%), 6월 Staphylococcus aureus(26.9%), 7월 Salmonella sp.(25.9%), 8월 Escherichia coli(20.5%), 9월 Escherichia coli & Pseudomonas sp.(21.2%), 10월 Klebsiella sp.(29.6%), 11월 Salmonella sp.(31.6%), 12월 Streptococcus sp.(37.5%) 등이 가장 높았다. 체세포 숫자별 원인균의 분리빈도분포를 살펴보면, Staphylococcus sp.(251 X 10$^4$ $\pm$ 300X10$^4$ 35.7%)을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50 X 10$^4$ $\pm$ 100X10$^4$이 가장 높았다. 항균요법제에 대한 감수성은 일반적으로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은 Streptococcus Sp,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sp., Klebsiella sp.에 높았으며 gentamycin은 Staphylococcus sp., Escherichia coli, Klebsiella Sp, Proteus sp., Pseudomonas sp., Salmonella sp.에 높았다.

  • PDF

DGGE 방법과 Pyrosequencing 방법을 이용한 지렁이 장내미생물의 다양성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Bacterial Diversity in the Intestinal Tract of Earthworm (Eisenia fetida) using DGGE and Pyrosequencing)

  • 김은성;홍성욱;정건섭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74-381
    • /
    • 2011
  • 미생물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토양의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 지렁이 Eisenia fetida의 장내미생물 군집을 조사하기 위하여, 배양방법과 비배양방법인 DGGE와 pyrosequencing을 이용하여 8주와 16주 사육 지렁이의 장내미생물 군집을 분석하였다. 배양방법에서는 L. fusiformis(51%), B. cereus(30%), E. aerogenes(21%), 그리고 L. sphaericus (15%) 등이 우점미생물로 확인되었다. DGGE 분석에서는 B. cereus(15.1%), Enterobacter sp.(13.6%), uncultured bacterium (13.1%), 그리고 B. stearothermophilus(7.8%)가 우점미생물로 확인되었다. Pyrosequencing 분석에서는 Microbacterium soli(26%), B. cereus(10%), M. esteraromaticum(6%), 그리고 Frigoribacterium sp.(6%)가 우점미생물로 확인되었다. 그외에도 Aeromonas sp., Pseudomonas sp., Borrelia sp., Cellulosimicrobium sp., Klebsiella sp., and Leifsonia sp. 등의 미생물도 확인이 되었으며, 비배양 방법을 이용한 장내 미생물 군집 조사는 배양이 불가능한 미생물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다양한 미생물 군집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올라이트와 Klebsiella pneumonia sp.을 이용한 화학-생물학적 액상 암모니아의 제거 효율 연구 (Investigation of Liquid Phase Ammonia Removal Efficiency by Chemo-biological Process of Zeolites and Klebsiella pneumonia sp.)

  • 박민섭;최권영
    • 공업화학
    • /
    • 제28권6호
    • /
    • pp.685-690
    • /
    • 2017
  • 암모니아는 현대 산업에서 빠질 수 없는 유용한 물질이다. 일반적으로 농업용 폐기물의 분해과정을 통해 배출되며 인체에 매우 해로운 독극물로 알려져 있다. 산업에서 흔하게 쓰이는 물질이기에 직접 누출이나 간접 누출로 인한 수질오염의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암모늄이온을 빠르게 제거하는 데는 제올라이트의 흡착능을 이용하는 것이 좋지만 흡착만으로는 충분히 제거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상용 제올라이트의 흡착능을 통한 암모늄이온의 제거 효율과 미생물의 생물학적 메커니즘을 통한 제거효율을 비교하였다. 추가적으로 제올라이트에 미생물을 고정하여 화학적 흡착 및 생물학적 전환 기술을 병합하여 그 효율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100 ppm 기준 상용 제올라이트의 경우 2-4 h 사이에 67-81%의 제거효율을 보이는데 반해 선정 미생물인 Klebsiella pneumoniae subsp. Pneumoniae를 이용한 경우 8 h 내에 최대 97%의 제거 효율을 나타냈었다. 그리고 미생물을 제올라이트에 고정시켰을 때 8 h 이내에 98.5%로 제거 효율 및 속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Microbial Amelioration of Acid Mine Drainage Impaired Soil using the Bacterial Consortia of Klebsiella sp. and Raoultella sp.

  • Park, Seon Yeong;Lee, Gi Won;Kim, Chang Gyun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6권1호
    • /
    • pp.34-44
    • /
    • 2021
  • Acid mine drainage (AMD) resulting from pyrite oxidation in mining areas, subsequently leads to soil acidification accompanied by lowering pH and high concentration of metals and metalloids in its surrounding environment. Regarding to this, the microbial amelioration has been considered as a promising option for a more cost-effective and eco-friendlier countermeasure, compared to the use of alkaline chemicals.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influencing factors in microbially-mediated amelioration of acidic soil spiked by simulated AMD. For this, microcosm experiments were conducted by acid-neutralizing bacterial consortium (dominated by Klebsiella sp. and Raoultella sp.) under the various conditions of AMD spikes (0-2,500 mg SO42-/L), together with acidic mine soil (0-100 g) or sphagnum peat (0-5 g) in the 200 mL of nutrient medium. The employed bacterial consortium, capable of resisting to high level of sulfate concentration (up to 1,500 mg SO42-/L) in low pH, generated the ammonium while concomitantly reduced the sulfate, subsequently contributing to the effective soil stabilization with an evolution of soil pH up to neutral. Furthermore, it demonstrates that suitable condition has to be tuned for successful microbial metabolism to facilitate with neutralization during practical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