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ing Sejong station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6초

Global Positioning System Total Electron Content Variation over King Sejong Station in Antarctic under the Solar Minimum Condition Between 2005 and 2009

  • Chung, Jong-Kyun;Jee, Geon-Hwa;Lee, Chi-Na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8권4호
    • /
    • pp.305-310
    • /
    • 2011
  • The total electron content (TEC) us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is analyzed to see the characteristics of ionosphere over King Sejong station (KSJ, geographic latitude $62^{\circ}13'S$, longitude $58^{\circ}47'W$, corrected geomagnetic latitude $48^{\circ}S$) in Antarctic. The GPS operational ratio during the observational period between 2005 and 2009 is 90.1%. The annual variation of the daily mean TEC decreases from January 2005 to February 2009, but increase from the June 2009. In summer (December-February), the seasonal mean TEC values have the maximum of 26.2 ${\pm}$ 2.4 TEC unit (TECU) in 2005 and the minimum of 16.5 ${\pm}$ 2.8 TECU in 2009, and the annual differences decrease from 3.0 TECU (2005-2006) to 1.4 TECU (2008-2009). However, on November 2010, it significantly increases to 22.3 ${\pm}$ 2.8 TECU which is up to 5.8 TECU compared with 2009 in summer. In winter (June-August), the seasonal mean TEC slightly decreases from 13.7 ${\pm}$ 4.5 TECU in 2005 to 8.9 ${\pm}$ 0.6 TECU in 2008, and the annual difference is constantly about 1.6 TECU, and increases to 10.3 ${\pm}$ 1.8 TECU in 2009. The annual variations of diurnal amplitude show the seasonal features that are scattered in summer and the enhancements near equinoxes are apparent in the whole years. In contrast, the semidiurnal amplitudes show the disturbed annual peaks in winter and its enhancements near equinoxes are unapparent. The diurnal phases are not constant in winter and show near 12 local time (LT). The semidiurnal phases have a seasonal pattern between 00 LT and 06 LT. Consequently, the KSJ GPS TEC variations show the significant semidiurnal variation in summer from December to February under the solar minimum between 2005 and 2009. The feature is considered as the Weddell Sea anomaly of larger nighttime electron density than a daytime electron density that has been observed around the Antarctica peninsula.

지표 자외선 복사 변화에 미치는 오존 전량, 구름 및 적설 효과 (Effects of Ozone, Cloud and Snow on Surface UV Irradiance)

  • 이윤곤;김준;이방용;조희구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6권3호
    • /
    • pp.439-451
    • /
    • 2004
  • Total solar irradiance (750), total UV irradiunce (TUV) and erythemal UV irradiance (EUV) measured at King Sejong station $(62.22^{\circ}S,\;58.78^{\circ}W)$ in west Antarctica have been used together with total ozone, cloud amount and snow cover to examine the effects of ozone, cloud and snow surface on these surface solar inadiunce over the period of 1998-2003. The data of three solar components for each scan were grouped by cloud amount, n in oktas $(0{\leq}n<3,\;3{\leq}n<4,\;4{\leq}n<5,\;5{\leq}n<6,\;6{\leq}n<7\;and\;7{\leq}n<8)$ and plotted against solar zenith angle (SZA) over the range of $45^{\circ}\;to\;75^{\circ}$. The radiation amplification factor (RAE) is used to quantify ozone effect on EUV. RAF of EUV decreases from 1.51 to 0.94 under clear skies but increases from 0.94 to 1.85 under cloudy skies as SZA increases, and decreases from 1.51 to 1.01 as cloud amount increases. The effects of cloud amount and snow surface on EUV are estimated as a function of SZA and cloud amount after normalization of the data to the reference total ozone of 300 DU. In order to analyse the transmission of solar radiation by cloud, regression analyses have been performed for the maximum values of solar irradiance on clear sky conditions $(0{\leq}n<3)$ and the mean values on cloudy conditions, respectively. The maximum regression values for the clear sky cases were taken to represent minimum aerosol conditions fur the site and thus appropriate for use as a normalization (reference) factor for the other regressions. The overall features for the transmission of the three solar components show a relatively high values around SZAs of $55^{\circ}\;and\;60^{\circ}$ under all sky conditions and cloud amounts $4{\leq}n<5$ and $5{\leq}n<6$. The transmission is, in general, the largest in TUV and the smallest in EUV among the three components of the solar irradiance. If the ground is covered with snow on partly cloudy days $(6{\leq}n<7)$, EUV increases by 20 to 26% compared to snow-free surface around SZA $60^{\circ}-65^{\circ}$, due to multiple reflections and scattering between the surface and the clouds. The relative difference between snow surface and snow-free surface slowly increases from 9% to 20% as total ozone increases from 100 DU to 400 DU under partly cloud conditions $(3{\leq}n<6)$ at SZA $60^{\circ}$. The snow effects on TUV and TSO are relatively high with 32% and 34%, respectively, under clear sky conditions, while the effects changes to 36% and 20% for TUV and TSO, respectively, as cloud amount increases.

남극 킹조지 섬의 바톤 및 위버 반도에서 번식하는 도둑갈매기류의 둥지 분포 (Nest Distribution of Skuas on Barton and Weaver Peninsulas of the King George Island, the Antarctic)

  • 김정훈;정호성;김지희;유정칠;안인영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7권4호
    • /
    • pp.443-450
    • /
    • 2005
  • The ratio of breeding pairs of brown skuas (Catharacta lonnbergi), south polar skuas (C. maccormicki) and mixed species pairs between Barton and Weaver peninsulas remained the same $(X^2-test,\;X^2=0,503,\;df=2,\;p=0.778)$. The nests of skuas were clustered on Barton, whereas they were distributed randomly on the Weaver peninsula. The distance between brown skua nests, and that of mixed species pair nests were longer than those of south polar skua nests. Brown skua nests were distributed along the coast. Whereas, the nests of mixed species pairs and south polar skuas were found more frequently inland (Kruskal-Wallis, $X^2=11.631$, df=2, p<0.005). There was no interspecific difference in the distances between skua nests and Penguin rookery at Barton (Kruskal-Wallis, $X^2=2.153$, df=2, p=0.341) or at King Sejong Station (ANOVA, F=1.483, df=2, p=0.229). In general, skuas prefer lower locales (<125m above sea level) for their nest building sites. Brown skua nests were distributed mainly on the beach, whereas south polar skua were distributed on the predominant periglacial landforms and till areas $(X^2-test,\;X^2=24.988,\;df=8,\;p<0.005)$.

파랑 효과에 따른 세종과학기지 방류수에 포함된 미세플라스틱 이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port of Microplastics Contained in the Wastewater of the King Sejong Station according to the Wave Effect)

  • 김보경;황진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245-245
    • /
    • 2021
  • 해양으로 유출된 5 mm 이하의 크기로 분해된 미세플라스틱이 해양 환경 오염의 주요 원인으로 자리잡았다. 최근에는 청정해역으로 알려진 남극해에서도 발견되고 있어 남극해에 잔류하는 미세플라스틱 오염 수준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파랑의 효과를 고려한 남극해의 해수 순환 구조와 미세플라스틱의 고유 특성을 반영한 미세플라스틱의 거동 및 공간적 분포에 대한 복합적 이해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남극해에서 발견된 미세플라스틱은 과학기지들의 방류수나, 조사선 등과 같은 인위적인 활동으로 인해 집적될 수 있으며, 특히 영구적으로 거주하는 과학기지에서 흘려보내는 방류수에 포함된 미세플라스틱은 과학기지 주변 해수 오염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파랑 효과에 따른 남극 킹조지 섬(King George Island)에 위치한 세종과학기지의 방류수에 포함된 미세플라스틱의 이송에 대해 모의하였다. 세종과학기지가 위치한 킹조지 섬과 넬슨 섬(Nelson Island) 사이의 멕스웰 만(Maxwell Bay)의 해수 흐름을 재현하기 위하여 해수 유동 모델(Delft3D-FLOW)이 사용되었다. 또한, 해수 유동 모델에 파랑 모델(Delft3D-WAVE)을 결합하여 파랑의 효과가 미세플라스틱의 이송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세종과학기지의 방류수가 흘러나가는 마리안 소만(Marian Cove)의 유속장을 바탕으로 이송, 확산, 입자의 침강 속도를 고려하여서, 세종과학기지에서 밀물 시 방출한 입자를 라그랑지안 입자 추적(Lagrangian Particle Tracking) 방법을 이용해 추적하였다. 해수의 밀도보다 가벼운 플라스틱의 경우 해수 표층의 흐름을 따라 소만 내부로 이송되어 해안선에 도달하고, 해수의 밀도보다 무거운 플라스틱의 경우 소만 내부로 이송되나 입자의 침강 속도로 인해 방출 위치 근처에서 집적된다. 파랑의 효과를 고려하게 되면, 고려하기 전보다 두 종류의 미세플라스틱 모두 소만 내부로 더 멀리 이송되는데, 이는 파랑으로 인한 힘(wave-induced force)이 해수 유동 모델의 운동방정식에 추가되며 파랑 에너지 분산으로 인해 해수 흐름에 변화를 준 것으로 보인다.

  • PDF

Efficient Registration Plan of Place Names for Reinforcement of Active Region in Antarctica

  • Yun, Hee Cheon;Park, Joon Kyu;Lee, Jong Sin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1권6_2호
    • /
    • pp.549-557
    • /
    • 2013
  • The Antarctica continent does not belong to any countries so that a place in the region has some different place names between countries. Korea gave Korean place names to the places around the King Sejong Station, and the names have since been used by Korean researchers on the Antarctic. However, they have yet to be registered officially at CGA(Composite Gazetteer of Antarctica) by November 2010. Therefore, to prepare for the possible disputes over territorial claims in Antarctica and to expand and specify activity areas, this research tries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 of advanced countries' committees on place names of Antarctica, their procedures of registering names and their registration criteria, and thereby suggest an efficient plan for registering place names of Antarctica. If the plan suggested in this research is actively reviewed and applied, it will be able to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advancing the place names of Antarctica and research on the Antarctic.

GPR을 이용한 리빙스톤섬 빙하층 탐사 (GPR investigation of glacier on Livingstone Island, Antarctica.)

  • 이주한;진영근;홍종국;홍성민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5년도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1-154
    • /
    • 2005
  • 전 지구적 환경 모니터링을 위한 빙하 시추의 예비 탐사로서 남극 리빙스톤섬에서 GPR (Ground Penetrating Radar) 탐사를 실시하였다. 탐사지역은 세종기지가 위치한 킹죠지섬으로부터 남서쪽으로 80 km 위치한 곳으로 해발 340 m의 Mt. Charra 부근에 위치한다. 총 5개의 측선을 탐사했으며 3개의 반사법과 2개의 CMP (Common Midpoint) 방법을 실시하였다. 탐사결과 연구지역에서 빙하층은 전자기파의 속도와 반사단면의 특징으로 3개로 나누었다. 빙하의 두께는 $80{\~}110\;m$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고 층에 따라 빙하 내부에 다량의 물과 화산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 PDF

GPR을 이용한 리빙스톤섬 빙하층 탐사 (GPR Investigation of Glacier on Livingstone Island, Antarctica)

  • 이주한;진영근;홍종국;홍성민;김예동
    • 지구물리
    • /
    • 제8권2호
    • /
    • pp.63-66
    • /
    • 2005
  • 전 지구적 환경 모니터링을 위한 빙하 시추의 예비 탐사로서 남극 리빙스톤섬에서 GPR (Ground Penetrating Radar) 탐사를 실시하였다. 탐사지역은 세종기지가 위치한 킹죠지섬으로부터 남서쪽으로 80 km 위치한 곳으로 해발 340 m의 Mt. Charra 부근에 위치한다. 총 5개의 측선을 탐사했으며 3개의 반사법과 2개의 CMP(Common Midpoint) 방법을 실시하였다. 탐사결과 연구지역에서 빙하층은 전자기파의 속도와 반사단면의 특징으로 3개로 나누었다. 빙하의 두께는 80∼110 m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고 층에 따라 빙하 내부에 다량의 물과 화산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 PDF

Multi-constellation Local-area Differential GNSS for Unmanned Explorations in the Polar Regions

  • Kim, Dongwoo;Kim, Minchan;Lee, Jinsil;Lee, Jiyun
    • Journal of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 /
    • 제8권2호
    • /
    • pp.79-85
    • /
    • 2019
  • The mission tasks of polar exploration utilizing unmanned systems such as glacier monitoring, ecosystem research, and inland exploration have been expanded. To facilitate unmanned exploration mission tasks, precise and robust navigation systems are required. However, limitations on the utilization of satellite navigation system are present due to satellite orbital characteristics at the polar region located in a high latitude. The orbital inclination of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which was developed to be utilized in mid-latitude sites, was designed at $55^{\circ}$. This means that as the user is located in higher latitudes, the satellite visibility and vertical precision become worse. In addition, the use of satellite-based wide-area augmentation system (SBAS) is also limited in higher latitude regions than the maximum latitude of signal reception by stationary satellites, which is $70^{\circ}$. This study proposes a local-area augmentation system that additionally utilize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LONASS) considering satellite navigation system environment in Polar Regions. The orbital inclination of GLONASS is $64.8^{\circ}$, which is suitable in order to ensure satellite visibility in high-latitude regions. In contrast, GLONASS has different system operation elements such as configuration elements of navigation message and update cycle and has a statistically different signal error level around 4 m, which is larger than that of GPS. Thus, such system characteristics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o ensure data integrity and monitor GLONASS signal fault. This study took GLONASS system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into consideration to improve previously developed fault detection algorithm in the local-area augmentation system based on GPS. In addition, real GNSS observation data were acquired from the receivers installed at the Antarctic King Sejong Station to analyze positioning accuracy and calculate test statistics of the fault monitors. Finally, this study analyzed the satellite visibility of GPS/GLONASS-based local-area augmentation system in Polar Regions and conducted performance evaluations through simulations.

콩 품종에 따른 고형분, 단백질, 색소의 추출 특성의 비교 (Comparison Study of Extraction Properties of Solids, Protein and Color Pigments of Several Soybean Varieties)

  • 김동희;김석동;김우정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3권1호
    • /
    • pp.8-13
    • /
    • 1990
  •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장려품종 중 팔달, 단엽, 장백, 백운, 장엽콩과 재래종 중 검정콩, 갈색아주까리콩 등 7품종을 대상으로 형태적 특성과 표피의 색, 고형분 및 단백질의 추출 수율, 콩의 색소용출속도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콩 개체의 무게는 갈색아주까리콩이 가장 높고 단엽, 장백이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표피의 색에서는 'L'값은 장백이 가장 높았으며 팔달, 백운, 장엽, 단엽 등도 비교적 높은 'L'값을 나타내었다. 'a', 'b'값에서는 장엽이 높았고 검정콩과 갈색아주까리콩이 비교적 낮은 'b'값을 보였다. 콩을 마쇄하여 물로 추출할 때 고형분과 단백질의 수율은 3회까지 대부분이 추출되었으며 이때 이들의 수율은 각각 73.2 %, 83.2 %이었다. 콩 표피의 색소의 용출은 추출온도와 시간에 따라 큰 영향을 받았다. 평형에 도달한 흡광도(A)와 추출온도(T)와의 관계는 A=aT+b의 관계로 표시할 수 있었으며, 색소용출 속도와 온도와의 관계는 $60^{\circ}C$를 중심으로 두개의 직선관계가 있었다. 이 관계에서 계산된 활성화에너지는 고온보다 저온이 더 높았고, Local 1과 Local 2가 가장 높은 활성화에너지 값을 보여 주었다.

  • PDF

국내 우주환경 자료 보유 현황: 전리권/고층대기 (Ionospheric and Upper Atmospheric Observations in Korea)

  • 이창섭;이우경;한국우주과학회 태양우주환경분과
    • 우주기술과 응용
    • /
    • 제1권2호
    • /
    • pp.199-216
    • /
    • 2021
  • 한국우주과학회 태양우주환경분과에서는 국내 우주환경 관측 자료 활용도를 높이고, 분야 간 융합 연구 기회를 모색하기 위해 국내 연구소와 대학에서 활용 중인 태양, 자기권, 전리권/고층대기 자료 현황을 조사하였다. 자료는 관측 방식에 따라 지상과 위성 자료로 분류하였고, 개발 또는 활용 중인 모델 정보도 포함한다. 이 논문에서는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극지연구소와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운영하는 전리권/고층대기관측기 현황과 자료 설명 및 활용 방법 등을 소개한다. 극지연구소에서는 남극 장보고과학기지와 세종과학기지, 그리고 북극 다산과학기지에 전천 카메라, 페브리-페로 간섭계, 이오노존데 등을 설치해 운영 중이다. 한국천문연구원은 보현산천문대 전천카메라와 충남 계룡대 VHF(Very High Frequency)/유성 레이더를 운영하고 있으며, 국내 40여 개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관측소에서 수집한 자료를 사용해 전리권 전자밀도 정보(total electron content)를 산출하고 있다. 또한 보현산천문대와 탐라 KVN천문대에 GNSS 신틸레이션 수신기를 설치해 전리권 교란을 관측하고 있다. 현재 관측 자료들은 웹 페이지나 FTP, 또는 요청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이 밖에 논문에 담지 않은 기타 전리권/고층대기 분야 자료 현황은 한국우주과학회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http://ksss.or.kr/). 이 논문을 통해 우주과학 연구자들이 우주과학 자료에 대한 장기적이고 연속적인 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내에서 생산 중인 자료의 활용도와 신뢰도를 높이는 데 이바지할 수 있길 기대한다. 더불어 국내 관측 자료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새로운 데이터 공유 체계에 관한 논의를 시작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