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Study of Extraction Properties of Solids, Protein and Color Pigments of Several Soybean Varieties

콩 품종에 따른 고형분, 단백질, 색소의 추출 특성의 비교

  • Kim, Dong-Hee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Sook Myung Women's University) ;
  • Kim, Seok-Dong (Upland Crop Research Div., Crop Experiment Station, RDA) ;
  • Kim, Woo-Jung (Department of Food Science, King Sejong University)
  • 김동희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김석동 (농촌진흥청 작물시험장 전작1과) ;
  • 김우정 (세종대학교 식품과학과)
  • Published : 1990.03.31

Abstract

The solid and protein yields and extraction properties of color pigments were compared for 7 varieties of soybeans during soaking in water at $4-100^{\circ}C$. The varieties investigated were Paldal, Danyeob, Jangbaek, Baegun, Jangyeob and 2 cultivars of Local 1 and Local 2. The Hunter values showed that Jangbaek was the highest in 'L' value while other varieties except Local 1 and Local 2 were comparatively high in 'L' value. Local 1 and Local 2 were low in 'b' value. The yields of solid and protein during water extraction showed that most of solids and proteins were recovered with three consecutive extractions. The cumulated yields were 73.2 % for solid and 83.2 % for protein. Extraction of color pigments of seed coats in $4-100^{\circ}C$ water showed that the extraction rate was very much dependent on extraction time and temperature. A linear relationship of A=aT+b was obtained for equilibrated absorbance(A) and extraction temperature(T). The activation energy calculated from initial extraction rate of cole. pigments and temperature had two different values of low($4-60^{\circ}C$) and high($60-100^{\circ}C$) temperature range.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장려품종 중 팔달, 단엽, 장백, 백운, 장엽콩과 재래종 중 검정콩, 갈색아주까리콩 등 7품종을 대상으로 형태적 특성과 표피의 색, 고형분 및 단백질의 추출 수율, 콩의 색소용출속도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콩 개체의 무게는 갈색아주까리콩이 가장 높고 단엽, 장백이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표피의 색에서는 'L'값은 장백이 가장 높았으며 팔달, 백운, 장엽, 단엽 등도 비교적 높은 'L'값을 나타내었다. 'a', 'b'값에서는 장엽이 높았고 검정콩과 갈색아주까리콩이 비교적 낮은 'b'값을 보였다. 콩을 마쇄하여 물로 추출할 때 고형분과 단백질의 수율은 3회까지 대부분이 추출되었으며 이때 이들의 수율은 각각 73.2 %, 83.2 %이었다. 콩 표피의 색소의 용출은 추출온도와 시간에 따라 큰 영향을 받았다. 평형에 도달한 흡광도(A)와 추출온도(T)와의 관계는 A=aT+b의 관계로 표시할 수 있었으며, 색소용출 속도와 온도와의 관계는 $60^{\circ}C$를 중심으로 두개의 직선관계가 있었다. 이 관계에서 계산된 활성화에너지는 고온보다 저온이 더 높았고, Local 1과 Local 2가 가장 높은 활성화에너지 값을 보여 주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