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inematic GPS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21초

DGPS 개념을 이용한 저가형 이동식 정밀위치 서비스 시스템 (A Low-Cost Portable Precise Posi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Using the DGPS Mechanism)

  • 연효범;강영욱;이기동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3C권1호
    • /
    • pp.95-102
    • /
    • 2006
  • 오늘날 자동차 네비게이션이나 측량 장치 등 정밀한 위치 정보가 5필요한 곳에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가 널리 사용되고있다. 그러나 용도에 따라 사용되는 GPS 수신기의 종류와 가격, 그리고 GPS 수신기가 가지는 오차율은 천차만별이다. 일반적인 GPS수신기는 수신율과 기상상태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대략 최대 30m까지의 오차범위를 가진다. 그에 비해 RTK(Real-Time Kinematic)와 DGPS (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장비는 높은 정확성을 가지는 반면 가격 부담으로 인해 일반인이 쉽게 이용할 수가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장비들의 크기가 커서 휴대성도 떨어진다. 따라서 일반인들이 정밀 위치 정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낮은 가격, 휴대의 편리성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DGPS 방식을 응용하여 일반 GPS 수신기보다 높은 정확도를 가지는 위치 정보를 제공하면서 PDA와 같은 보편화된 휴대 장비에서 사용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하여 사용자 편리성을 증대시키는 방안을 제시한다.

Inverted RTK system and its applications in Japan

  • Kanzaki, Masayuki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GPS/GNSS Vol.1
    • /
    • pp.455-458
    • /
    • 2006
  • The Real Time Kinematic (RTK) technique is the most productive and accurate GPS positioning method today, as it can be determinate position within few centimeters instantly. This method is widely used for applications such as surveying, structure monitoring and machine guidance etc. In order to perform RTK processing for large scale systems (i.e. precise vehicle monitoring with many rovers), many expensive RTK receivers and same number of bidirectional communication units have to be installed to collect observation data communicate with the reference site and monitor its RTK solutions. Moreover, if applications require remote control or apply sensing instruments, we have to install computers at each rover. To limit expense and complexity of system management with a large number of rovers, we have developed server based RTK processing platform to share RTK function for all rovers. The system can be process many GPS stations with a single personal computer. we have also developed a specialized dual frequency GPS receiver unit without on-board RTK processing capability to reduce receiver cost in order to demonstrate the advantage of our server based RTK platform. This paper describes the concept of our server based RTK platform and specialized GPS receiver unit with existing applications in Japan.

  • PDF

RTK-GPS 기반 실외 군집 비행 시스템 개발 (Outdoor Swarm Flight System Based on RTK-GPS)

  • 문성태;최연주;김도윤;성명훈;공현철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3권12호
    • /
    • pp.1315-1324
    • /
    • 2016
  • 최근 드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드론을 활용한 다양한 기술들이 선보이고 있다. 특히, 다수의 드론을 통한 군집 비행의 기술은 협업을 통한 복잡한 임무 수행이 가능하여 빠른 시간안에 임무를 완수할 수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하지만 실외의 경우 GPS의 정밀도가 낮아 정밀 비행이 어렵기 때문에 고정밀 위치 인식이 필요한 임무에는 적합하지 않다. 뿐만 아니라, 실외에서 다수의 비행체를 좁은 공간에서 동시 정밀 제어하다보니, 정밀 위치 예측이 어려운 경우 충돌이 발생하는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RTK-GPS(Real-Time Kinematic-GPS)를 포함한 다수 센서를 활용하여 위치 정밀도를 증가시키고, 센서 오류로 인한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제안한 모드 스위칭 기법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개발한 실외 군집 비행 시스템에 대해서도 소개한다.

자연재난 관리를 위한 GPS 기반의 지진재해 분석 (Analysis about Seismic Displacements Based on GPS for Management of Natural Disaster)

  • 박준규;윤희천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11-318
    • /
    • 2011
  • 2011년 3월 11일 일본 동북부 해양에서 규모 9.0의 강진이 발생했다. 이 지진은 근대적인 지진관측이 시작된 이래 일본 최대 규모로 미야기 현 센다이 동쪽 179km 지점에서 발생했으며, 지진과 해일로 인해 2만 7천여 명에 이르는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 IGS 상시관측소의 GPS 관측자료를 기반으로 Mizusawa, Tsukuba 및 Usuda 상시관측소의 지진변위량을 산출하였다. 관측자료의 처리는 온라인 GPS 자료처리 서비스와 정밀과학기술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였으며 정밀절대측위 및 싱대측위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온라인 GPS 자료처리 서비스를 이용한 Kinematic 정밀절대측위를 통해 지진 전 후 IGS 상시관측소의 위치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정밀과학 기술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상대측위 방법으로 지진 전 후의 정밀한 지진변위량을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각 성분별로 최대 ${\pm}0.003m$의 RMSE를 가지는 정밀한 좌표성과를 산출할 수 있었으며, 지진으로 인해 Mizusawa 상시관측소가 남동쪽으로 약 2.6m 이동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다중기준국 방식을 이용한 GPS 반송파 상대측위 정확도 향상 (Improvement of Relative Positioning Accuracy with GPS Carrier Phase Using Multi-Base Station)

  • 이재원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17-624
    • /
    • 2008
  • 일반적으로 단일기준국을 이용하는 실시간 동적(Real Time Kinematic) GPS는 무선모뎀을 통해 반송파 오차보정량을 이동국으로 전송하여 현장에서 바로 고정밀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하지만 단일기준국 방식은 각 위성마다의 시간대별 반송파 측정값을 지속적으로 제공해야 하며, 전송장해와 모뎀간의 거리 따른 증가 등으로 위치정확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3대 이상의 다중기준국을 활용한 네트워크 기반의 GPS 반송파 상대측위기술을 구현하였으며, Visual C++로 제작된 실시간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RTK 네트워크를 구성하였다. 네트워크 구성에서 얻어지는 다중기준국의 오차보정량 가운데 최적의 값을 자동으로 선택하고, GPS buoy 이동국에 적용하여 해수면 관측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얻어진 해수면 변동량을 단일기준국과 비교,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Real-time DGPS/DGLONASS에 의한 차량의 동적위치결정에 관한 연구 (Kinematic Positioning of Vehicle with Real-time DGPS/DGLONASS)

  • 박운용;이인수;신상철;곽재하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01-308
    • /
    • 2001
  • 최근에 GPS가 차량항법시스템으로 큰 역할을 해왔지만, 가로수와 고층빌딩 등이 산재한 도심지에서는 가시위성의 수의 제한으로 연속적으로 정확하게 차량의 동적위치를 결정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런 GPS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1996년 완전히 가동된 러시아의 위성항법시스템인 GLONASS를 도입하여 GPS의 보조항법시스템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하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Real-time code differential positioning 기법으로 차량의 동적위치를 결정하여, Real-time DGG(DGPS/DGLONASS)가 차분측위해의 획득율과 수평위치 정밀도저하율(HDOP ; Horizontal Dilution of Precision)에서 Real-time DGPS보다 훨씬 우수한 값을 얻었으며, 이를 통해 GPS와 GLONASS의 결합이 정확한 차량의 동적위치결정에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GPS L1 반송파 위상을 이용한 실시각 정밀측위 알고리즘 구현 (DEVELOPMENT OF REAL-TIME PRECISE POSITIONING ALGORITHM USING GPS L1 CARRIER PHASE DATA)

  • 조정호;최병규;박종욱;박관동;임형철;박필호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9권4호
    • /
    • pp.377-384
    • /
    • 2002
  • GPS L1 반송파 위상을 이용한 실시각 정밀측위 알고리즘(Real-time Phase DAta Processor: RPDAP)을 개발하고, 이를 기존의 L1 RTK(Real Time Kinematic) 측위정밀도와 비교하였다. 기존의 L1 RTK 기법은 관측환경에 매우 민감한 반면, RPDAP은 공통관측위성의 검색에 있어서 고도각이 낮거나 신호세기가 약한 위성을 제외함으로써 안정적인 결과를 산출할 수 있었다. RPDAP은 저가의 수신기를 이용하여 GPS 위상자료 측위기법을 실시각 응용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것으로, 본 연구를 통한 L1 RTK기법과의 정밀도 비교·분석을 통해 RPDAP 알고리즘의 장·단점을 검토하고 향후 실용화를 위한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향후 RPDAP과 함께 이동체의 고정밀 항법이나 개인위치추적 등에 RPDAP을 활용할 계획이다.

Relative Positioning of Vehicles Carrying Hazardous Materials Using Real-Time Kinematic GPS

  • Kim, Hee Sung;Choi, Kwang Ho;Lee, Je Young;Lim, Joon Hoo;Chun, Se Bum;Lee, Hyung Keun
    • Journal of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 /
    • 제2권1호
    • /
    • pp.19-31
    • /
    • 2013
  • It is well known that the accident of vehicles carrying hazardous materials incurs huge losses economically and socially. To detect and respond rapidly against the accident of a vehicle carrying hazardous materials, it is essential to estimate the relative navig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forward tractor module and the backward trailer module of the vehicle reliably and accurately. In this paper, a precise relative positioning system based on GPS is designed, implemented, and evaluated as a prerequisite to design an effective relative navigation system for the vehicle carrying hazardous materials. An experiment using field-collected 10 Hz real GPS measurements showed that the designed relative positioning system achieves 22 cm accuracy within 15 epochs by float solutions. Also, it was found that cm-level integer solutions can be generated reliably after the quick convergence of float solutions.

GPS 실시간 동적측위법을 이용한 도로 편경사 추출 (Extraction of Highway′s Superelevation Using GPS Real Time Kinematic Surveying)

  • 서동주;장호식;이종출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83-190
    • /
    • 2002
  • 본 연구는 도로 유지관리차원에서 Data Base구축을 위한 경제적 방법인 GPS위성측량 방법중 실시간 동적 관측기법을 이용하여 도로 편경사를 추출하였다. 자체 개발한 차대를 이용하여 도로의 중심선과 양단 노견을 측정하고 분석한 결과 충분한 정확도를 얻을 수 있었다. 분석결과로는 완화곡선에서 약 1.3~2.0cm의 오차, 원곡선구간에서 약 0.8~1.2cm의 오차가 나타났으며, 이 오차는 시공상의 Lane Marking에 대한 오차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Mobile Mapping System에서 도로선형요소 추출에 기본자료로 활용되리라 기대된다.

Performance Analysis of Long Baseline Relative Positioning using Dual-frequency GPS/BDS Measurements

  • Choi, Byung-Kyu;Yoon, Ha Su;Lee, Sang Jeong
    • Journal of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 /
    • 제8권2호
    • /
    • pp.87-94
    • /
    • 2019
  • The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Real-Time Kinematic (RTK) positioning has been widely used in geodesy, surveying, and navigation fields. RTK can benefit enormously from the integration of multi-GNSS. In this study, we develop a GPS/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DS) RTK integration algorithm for long baselines ranging from 128 km to 335 km in South Korea. The positioning performance with GPS/BDS RTK, GPS-only RTK, and BDS-only RTK is compared in terms of the positioning accuracy. An improvement of positioning accuracy over long baselines can be found with GPS/BDS RTK compared with that of GPS-only RTK and that of BDS-only RTK. The positioning accuracy of GPS/BDS RTK is better than 2 cm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better than 5 cm in the vertical direction. A lower Relative Dilution of Precision (RDOP) value with GPS/BDS integration can obtain a better positional precision for long baseline RTK positio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