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imchi juice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33초

Inhibitory Effects of Kimchi Extracts on the Growth and DNA Synthesis of Human Cancer Cells

  • Hur, young-Mi;Kim, So-Hee;Park, Kun-Yo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4권2호
    • /
    • pp.107-112
    • /
    • 1999
  • Effect of solvent extracts and juice supernatants from kimchis on the growth of various human cancer cells was studied, comparing with the actions on the normal cells. Inhibitory effect of kimchi extracts on[3H] thymidine incorporation n cancer cells was also investigated. The methanol extract, hexane extract and methanol soluble fraction (MSF) of 3-week fermented kimchi did not have growth inhibitory effect on Ac2F rat normal liver cells at the concentrations of 0.5~2%. However, marked decrease in the growth of AGS human gastric cancer cells was shown by the treatment of those extacts. The juice from the kimchi samples also suppressed the growth of K-562 human leukemia cells and MG-63 human osteosarcoma cells. Especially, the juice of 3-week fermented kimchi exhibited the strong growth inhibitory effect in MG-63 human osteosarcoma cells. At the photomicrographs, growth inhibition and morphological change of the cells treated with kimchi juice were observed. And the solvent extracts of 3-week fermented kimchi suppressed the growth of cancer morethan the extracts or juices from fresh and 6-week fermented kimchi. When AGS human gastric cancer cels were treated with the extracts of 3-week fermented kimchi, [3H] thymidine incorporation in the cells also decreased. These results showed that kimchi extracts and juices had growth inhibitory effects on human osteosarcoma, leukemia and gastric cancer cells, but had no toxicity to the normal cells. We suggest that kimchi might have anticancer effect in part due to inhibition of the growth and DNA synthesis of cancer cells.

  • PDF

김치용 도마의 새로운 형태 (A new Type of the Doma (Cutting Board) for Kimchi)

  • 김중만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권3호
    • /
    • pp.211-218
    • /
    • 1986
  • 본 김치용 도마는 현재 널리 쓰이고 있는 일반 도마를 이용하여 김치와 같이 국물이 많은 식품을 절단 할 때 국물이 유출되므로써 야기되는 오염을 최소화 할 목적으로 제작된 도마이다. 이 도마의 기능적 특징은 절단시 유출된 국물이 사방으로 흐르지 않고 일차적으로 세로 경사면을 따라 흐른 다음 이차적으로 가로 경사골을 따라 국물이 김치 그릇에 흘러 내리게 되어 있어서 김치도마의 오염 넓이가 작게됨은 물론 작업테이블 및 작업장 바닥에 오염을 발생시키지 않고, 김치 그릇에 모아 떨어지게 하는 기능성을 갖인 2차원적 흐름기능을 발휘한다. 또한 본 김치용 도마는 일반적인 평면 도마에 비하여 모양이 둥근 식품이 둥굴어 떨어짐 방지기능이 있고, 사용 후 건조 속도가 빨라 위생적이며, 또한 계량적으로 식품을 절단 할 수 있음은 물론 절단시 손을 배는 위험을 적게하는 기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도마는 김치 문화의 세계화에서 김치의 바람직한 동반자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오미자가 나박김치의 발효 중 관능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on the Sensory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Nabak Kimchi during Fermentation)

  • 문성원;장명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822-831
    • /
    • 2000
  • Application of omija(Schizndra chinensis Baillon) to improve the quality and preservation of nabka kimchi was attempted and the optimal amount of omija level and its effect on the sensory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nab마 kimchi during fermentation were examined. Effects of omija juice which had been prepared by extracting omija seeds for 9 hr at room temperature (22.5$\pm$0.5$^{\circ}C$) with different ratios (0.5, 1.0, 1.5, 2.0%;w/v) of water were examined against control (kimchi prepared without omija). Organoleptic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nabak kimchi were measured up to 25 days at 1$0^{\circ}C$ after preparation. Sensory properties were evaluated in the aspects of both acceptability and intensity characteristics. In whole, 0.5 and 1.0% treatments showed higher values of evaluation, compared to control, 1.5, and 2.0% treatments throughout the fermentation period. As fermentation progresses, however, sample of 1.0% treatment ranked first between day 4 to 7 and also so did sample of 0.5% treatment along with 1.0% treatment from behind day 10. As for color, control, 0.5% treatment, and 1.0% treatment were more favored than rest of the samples. In texture, 2.0%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values, whereas control was rated the lowest. In the intensity of characteristics 1.5% and 2.0% treatments showed higher values except sweet taste in which 1.0% treatment ranked top during the initial 7 days and then 0.5% treatment took the first place at behind day 10. total cell counts and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were gradually increased and then decreased showing the maximum levels of microbial counts on different days, to say, day 2 for control and 0.5% treatment nd day 7 for 1.0, 1.5 and 2.0% treatments. The application of omija juice in nabak kimchi enhanced eating qualities of the fermented product and the fermentation-retarding effect of omija juice was clearly shown during the initial seven days of fermentation. The optimum levels of omija juice in nabak kimchi obtained through experiments were between 0.5 to 1.0% for color, fermentation-retarding effects, and savory taste of the product.

  • PDF

연근 즙을 첨가한 백김치의 숙성 중 품질 변화 (Quality Changes in Baik-Kimchi (Pickled Cabbage) Added Lotus Root Juice during Fermentation)

  • 박복희;최선희;조희숙;김성두;전은례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20-327
    • /
    • 2010
  • 연근즙 첨가수준에 따라 백김치를 제조한 후 $5^{\circ}C$에서 4주간 저장하면서 숙성 중의 이화학적,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연근즙의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pH는 감소, 산도는 반대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숙성기간 중에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탁도는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증가함을 볼 수 있었으며, 숙성 2주까지는 대조군의 비해 첨가군의 경우 탁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숙성 3주, 4주에서는 약간 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색도 L 값과 a 값은 연근즙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b 값은 증가하였다. 환원당은 연근즙 3%와 6% 첨가군의 경우 증가하였다가 연근즙 9%와 12% 첨가군의 경우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숙성기간에 따라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비타민 C함량은 대조군보다 연근즙 첨가군의 경우 모든 숙성기간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경도는 대조군보다는 모든 첨가군의 경우 약간 높은 값을 보였지만 첨가수준에 따른 일정한 경향은 보이지 않았다. 숙성기간에 따른 변화로는 숙성기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검사결과에서는 연근즙 6% 첨가군의 경우 색, 냄새, 아삭아삭한 정도 및 전체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 백김치에 연근즙의 첨가수준이 6%정도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Inhibitory Effect of Korean Fermented Vegetable (Kimchi) on the Growth and Aflatoxin Production of Aspergillus parasicitus-Part 1.

  • Kim, Jong-Gyu;Lee, Kyung-Min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90-194
    • /
    • 2007
  • Aflatoxin $B_1$ is a mycotoxin produced by Aspergillus flavus and A. parasiticus and is a human carcinoge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reduction of growth and aflatoxin production of A. parasiticus by kimchi. A. parasiticus was grown in a modified APT broth with the juice of kimchi (at a concentration of 7%) at $28^{\circ}C$ for 9 days. Aflatoxin $B_1$ was determined by use of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The addition of the juice of kimchi significantly reduced mycelial growth and aflatoxin production during the incubation period (p<0.05). Reduction of mycelial growth of A. parasiticus as the result of addition of the juice of kimchi was observed to range between 64.8 to 83.4% while reduction of aflatoxin production ranged from 62.2 to 73.0%. This study indicates that kimchi could be an effective inhibitor of aflatoxin production although mycelial growth may be permitted. More research is needed to study the inhibitory effects of the metabolites of kimchi.

김치즙액의 발효에 미치는 유기게르마늄, 올리고당 및 Starter의 영향 (Effect of Organic Gemanium, Oligosaccharide and Starters on Fermentation of Fresh Kimchi Juice)

  • Park, Seok-Kyu;Seo, Kwon-Il;Shon, Mi-Yae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514-520
    • /
    • 1999
  • 김치의 저장성과 기증성 향상을 위한 기초 연구로 서, 유기게르마늄(Ge-132)과 올리고당(프럭토)을 함유하는 배추김치의 생즙액에 3가지 젖산균으로 조합한 스타트를 첨가하여 3$0^{\circ}C$에서 발효시키면서, pH, 산도, $CO_2$생성량, 환원당 및 젖산균수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게르마늄 첨가구는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SNF-13 분리 젖산균주와 E. faecium의 혼합배양(I)에서 유기산과 $CO_2$생성량이 가장 적었으며, 스타트유래의 짖산균수 증식을 촉진시켰고, 환원당 소비량은 가장 많았다. 올리고당 첨가구는 4가지의 혼합배양에서 모두 각각의 대조구 및 게르마늄 첨가구보다 훨씬 유기산 및 $CO_2$생성량이 많았으며, 김치유래의 젖산균수 증식을 촉진시켰다. 유기게르마늄은 박테리오신을 생산하거나 게르마늄 저농도에서 생육이 촉진되는 내산성의 유산균과 혼합병용하면, 김치의 기능성 증진(저장성, 생리활성)의 미네랄로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ti-adipogenic Effects of Dongchimi Nano Juice in Mouse 3T3-L1 Adipocytes

  • Kong, Chang-Suk;Lee, Sun-Hyun;Seo, Jung-Ok;Park, Kun-Young;Rhee, Sook-He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1권4호
    • /
    • pp.285-288
    • /
    • 2006
  • The anti-adipogenic effect of dongchimi nano juice prepared using a nano-filtering process was investigated by measuring leptin and glycerol levels and the expression of a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gamma\;(PPAR\gamma)$ gene as indicators of lipid accumulation or lipolysis. Red pepper powder, seeds of red pepper, garlic, and ginger were added in the preparation of dongchimi. Dongchimi was fermented to reach the optimal fermentation period, followed by nano-filtration in the range of $0.0005\sim0.1\;{\mu}m$. The lactic acid bacteria of dongchimi nano juice were removed completely by a nano-filtering process. Treatment of dongchimi nano juice induced glycerol release in the 3T3-L1 adipocytes and decreased the mRNA expression level of $PPAR\gamma$.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dongchimi nano juice may enhance lipolysis and modulate adipogenesis in 3T3-L1 cells.

저온발효 배추김치의 품질평가를 위한 김치액의 색상 측정 (Color Measurement of Kimchi Juice for Quality Evaluation of Korean Cabbage Kimchi during Fermentation at Low Temperature)

  • 이명희;전혜경;노홍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677-680
    • /
    • 1992
  • 저온발효 배추김치의 숙성도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4^{\circ}C$에서 숙성과정중 자연적으로 유출되는 김치액의 색상변화를 색차계를 이용해서 측정하고, 성분분석에 의해 적숙기를 예측하였다. 김치액의 성분분석결과 숙성 30일째 김치의 숙성 적기 PH인 4.2, 산도 0.63%에 달하였으며 이때 비타민 C 함량도 최고치에 달하였다. 김치액의 양은 숙성 30일까지는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이후 변화가 없이 동일하였다. 김치액의 $L^*$, $a^*$, $b^*$ 색상값은 모두 숙성과 더불어 증가하여 적숙기인 숙성 30일째 최고치를 나타내고 이후 감소하였다. 김치액 색의 $a^*$/$b^*$ 비값은 담금 초기 0.82에서 적숙기시 0.98를 나타내고 과숙기로 접어들면서 다소 감소하여 0.94를 나타냈다. 따라서, 적숙기시 김치액의 $L^*$, $a^*$, $b^*$ 값 또는 $a^*$/ $b^*$ 비값을 단독 혹은 김치액의 양과 병용하여 이용함으로써 색차계에 의한 김치, 특히 포장김치의 품질을 간접적으로 평가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 PDF

김치숙성과정 중의 Enzyme System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nzyme System during Kimchi Fermentation)

  • 박희옥;김유경;윤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7
    • /
    • 1991
  • 본 연구는 숙성과정에 관여하는 enzyme system을 밝힘으로써 이들이 김치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시도되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김치국물에서의 pectinestlrase (PE)활성은 담금 초기에 약간의 증가를 보이다가 이후 점차 감소하여 적숙기 이후에는 활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김치고형분내의 PE활성은 김치제조 후 첫날에 최고 활성을 보인 후 점차 감소하였다. 2. 김치국물의 polygalacturonase (PG)활성은 김치 제조 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감소하여 활성이 거의 없어진 후(pH 4.0이하) 김치숙성 말기에 다시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김치고형분의 경우, 담금 초기부터 감소하여 활성이 없어진 후 김치국물과 같이 다시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3. 김치국물내 peroxidase (POD)활성은 김치제조 후 증가하여 제 5일째에 가장 높은 활성을 보인 후 감소하였으며, 김치고형분의 경우엔 지속적인 감소현상을 보여주었다. 4. 김치에 ascorbic acid oxidase (AAO)가 존재하였으며, 김치국물내 AAO의 활성은 약간 감소한 이후 상승하였다가 다시 감소하였고, 김치고형분은 AAO활성이 계속적으로 감소하였다. 김치국물내 효소들의 활성이 김치제조후 약간의 상승을 보이는 이유는 김치 고형분에서의 유출효과로 생각된다. 각 효소들이 김치숙성후기에 소멸되는 현상은 pH감소와 제조일 증가에 따른 불활성화 때문으로 생각되며, 김치숙성후기에 PG활성이 증가하는 현상은 호기성 미생물의 번식 때문일 것이다.

  • PDF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인공위액과 담즙에서의 생존특성과 항균성

  • 이신호;노명자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17-622
    • /
    • 1997
  • This studie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related to kimchi fermentation. 157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 were isolated from home-made kimchi of Taegu district. 144 strains of isolated lactic bacteria showed resistance to artifical gastric juice and bile. Among isolated strains, fifteen strain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growth characteristics. The selected strains survived for 24 hours in artifical bile after incubation for 3 hours in artificial gastric jucie (pH 2.5). Especially, three strains such as B-10, K-2, and F-3, showed little viable cell change for 3 hrs incubation in artifical gastric juice. The selected strains showed low viability in artificial gastric juice but high in artifical bile. The selected strains also showed significantly antimicrobial activities to pathogens such as Listeria monocytogenes, Escherichia coli, Bacillus subtili, Staphylococcus aureus and Vibrio parahaemolyticus. The fifteen selected strains were identified as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sake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