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idney bean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25초

건축물 일체형 도시농업에서 딸기와 강낭콩 공영식재에 따른 생육 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Strawberry and Kidney Bean Companion Planting in Building-integrated Urban Agriculture)

  • 이현아;이선영;윤용한;주진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2권12호
    • /
    • pp.955-964
    • /
    • 202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basic data on efficient and eco-friendly crop cultivation for urban residents who enjoy urban agriculture as a hobby or leisure activity. We planted strawberry(Fragaria x ananassa)(S) and kidney bean (Phaseolus vulgaris var. humilis)(K) in different ratio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soil environment, growth, physiology, and productivity,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Strawberry growth was optimal with S1K2 ratio, whereas the S1K1 ratio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levels of physiology and productivity. In terms of growth and physiology, kidney beans tended to perform best in S1K2 treatment. The average number of productive pods was two, with a highest average value of 2.3 being recorded in S2K1 treatment planted with a high percentage of strawberries. In terms of growth, physiology, and prodctivity our findings indicate that it would be desirable to plant starwberries and kidney bean in a 1:1 ratio. However, considering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walls and rooftops, it is necessary to effectively manage crops suitable for these conditions. Furthermore, additional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analyze the quality of fruits and seeds producted, both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in the future.

기주에 따른 팥바구미(Callosobruchus chinensis L.)의 산란 선호성 및 성장 (Host Dependent Oviposition and Development of Azuki Bean Weevil (Callosobruchus chinensis L.) in Different Leguminous Seeds)

  • 김슬기;이수미;박준홍;송국;신병식
    • 환경생물
    • /
    • 제34권4호
    • /
    • pp.346-352
    • /
    • 2016
  • 팥바구미(Callosobruchus chinensis L.)의 산란 선호성 및 성장 조사를 위해 6가지 콩과식물 종자인 팥, 흑태, 백태, 서리태, 서목태, 강낭콩을 선택, 실험을 하였다. 각 종자당 산란수는 팥 1.23개, 서목태 1.13개, 서리태 1.05개, 백태 0.69개, 흑태 0.61개로 나타났으며, 둘째 날(48 h) 최고 산란수, 넷째날(96 h) 최저 산란을 나타냈다. 유충 성장기간이 기주식물에 따라 2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화율은 팥, 서리태, 흑태, 백태, 서목태(83.33%, 28.23%, 27.87%, 20.44%, 11.59%) 순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종자에서 팥과 3배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성충 수명은 암컷보다 수컷이 대부분 길었고 암컷의 경우 팥 9.43일, 서리태 8.86일, 흑태 7.88일, 백태 7.17일, 서목태 6.80일로 나타났다. 각 성충의 무게는 암수 모두 팥에서 가장 무겁고, 수컷은 서목태, 암컷은 백태에서 최소 무게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팥바구미는 팥 이외의 기주에서는 산란, 우화율, 성충 수명, 성충 무게 감소가 나타났고 반면 우화시기도 지연되었다. 한편 강낭콩에서 산란과 우화는 전혀 없었는데 이것은 강낭콩 종피에 산란과 우화 억제물질이 있음을 시사하며, 이러한 물질의 활용으로 콩바구미과 피해를 조절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두류품종의 먹이조합에 따른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약충발육, 성충 수명 및 산란 (Effects of Food Combinations of Leguminous Seeds on Nymphal Development, Adult Longevity and Oviposition of Bean Bug, Riptortus clavatus Thunberg)

  • 배순도;김현주;박정규;정진교;조현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23-127
    • /
    • 2004
  • 두류품종의 먹이조합에 따른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약충발육, 성충수명 및 산란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약충기간은 20-28일로 장유콩(새알콩), 장유콩+강낭콩 및 장유콩+땅콩의 조합에서 가장 많았으며, 강낭콩에서 가장 길었다. 영기별 발육기간은 1령에서 2.4-2.5일, 2령에서 4.0-5.1일, 3령에서 4.2-6.0일, 4령에서 4.4-6.9일 그리고 5령에서 5.3-7.3일로 영기가 증가할수록 길어졌으며, 1령을 제외한 타령기에서 발육기간은 먹이조합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우화율은 3.5-65%로 먹이조합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었는데, 장유콩+땅콩에서 65%로 가장 높았으며, 강낭콩에서 3.5%로 가장 낮았다. 약충사망율은 먹이조합에 관계없이 1령에서 가장 높았다. 성충수명은 5.5-11.2일로 장유콩+땅콩에서 가장 길었으며, 강낭콩+땅콩에서 가장 짧았고, 장유콩, 강낭콩, 땅콩 및 장유콩+강낭콩에서 8.0-8.4일로 먹이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총 산란수는 1.0-20.0개로 전체적으로 산란수가 매우 낮았으나, 장유콩+땅콩>장유콩>딴콩>장유콩+강낭콩>강방콩>강낭콩+땅콩의 순으로 많았다. 따라서 두류품종의 종자를 이용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사육은 장유콩+땅콩 조합에서 가장 좋았으며, 다음은 장유콩이였다.

인삼에 대한 제초제 Quinclorac의 약해 경감 연구 (Studies on Reduction of Quinclorac Phytotoxicity in Ginseng Growth)

  • 이일호;김명수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0권1호
    • /
    • pp.101-105
    • /
    • 1996
  • Several attempts have been made to protect crops against injury from herbicide quinclorac residue in soil. In this experiment, a selection of suitable crops for bioassay of the residue and a reduction of phytotoxicity by treatment with active carbon were carried out to prevent or to counteract the phytotoxicity. Cucumber (Cuumts satims) and kidney bean (Phaseolus Mgaris) were the suitable indicator plant in points of a sensitivity to the herbicide residue and an easy cultivation. The phytotoxicity was able to be observed at 20 and 30 days after seeding on kidney bean and cucumber respectively. In pot trials, application of the active carbon at 50 kg/10a protected effectively the 2-year-old ginseng plant from the injury in a paddy soil where the herbicide had been treated at 3 g a. i./10a.

  • PDF

품종에 따른 강낭콩 앙금의 이화학적 성질 (Comparison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Kidney Bean Sediment According to Classification)

  • 조은자;박선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585-591
    • /
    • 1997
  • 앙금의 성질은 입자형태, 아밀로그램, 물결합능력, 팽윤력과 용해도, 고유점도, 광투과도, DSC등의 이화학적 성질을 측정하였다. 강낭콩 앙금의 성질에서 앙금입자는 타원형으로 표면은 매우 거칠었고 품종간에 차이는 없었다. 강낭콩 앙금과 팥 앙금의 아밀로그램에서 호화개시 온도는 농도(12~15%)가 증가함에 따라 높아졌고, 최고점도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92.5$^{\circ}C$에서의 점도대수값과 농도는 모두 직선적인 관계를 보였다. 물결합능력은 322.4355.0%, 70~9$0^{\circ}C$에서의 팽윤력과 용해도는 각각 5.93~6.68과 3.76~5.28%, 고유점도는 1.28~1.36 mlg$^{-1}$였고, 50~95$^{\circ}C$로 가열시 광투과도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패턴을 보였다. 시차주사열량기에 의한 호화양상에서 호화정점은 적색종이 높았고 호화온도범위는 백색종이 넓었으며, 호화엔탈피는 분홍색종과 백색종이 모두 0.18 cal/g이었고, 적색종은 호화피크를 보이지 않았다.

  • PDF

강남콩(Phaseolus vulgaris L.)의 Triglyceride 조성 (Triglyceride Composition of Kidney Bean (Phaseolus vulgaris L.))

  • 권용주;엄태붕;김충기;김상필;고석범;이태규;양희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33-536
    • /
    • 1987
  • 강남콩 지방질중 triglyceride를 TLC로 분리한 후 HPLC에 의하여 PN별로 분획하였다. 각 PN별 triglyceride 분획은 다시 GLC에 의하여 acyl 탄소수별 조성을 분석하고 PN별 획분의 지방산 조성도 분석하였다. 이들 결과를 종합하여 triglyceride의 조성을 추정한 결과, 강남콩의 triglyceride는 총 14종이었으며 C18:2 C18:3 C18:3, C18:2 C18:2 C18:3, C18:3 C18:3 C18:3이 주성분으로 각각 전체 triglyceride의 26.6%, 18.5%, 14.9%이었다.

  • PDF

강남콩의 저장에 따른 이화학적 성질 및 조리특성 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and Cook Properties of Kidney Beans During Storage)

  • 조은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5-22
    • /
    • 1991
  • 강남콩 3품종(A=자색, B=모자이크, C=엷은 노란색)을 폴리에틸렌비닐로 포장하고 4$^{\circ}$, 20$^{\circ}$$30^{\circ}C$에서 5개월간 저장하면서 수분흡수, 조리특성, 경도, 색도와 호화특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침지중 강남콩의 무게와 부피는 시료 A가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며 $4^{\circ}$$20^{\circ}C$에 저장한 강남콩은 저장 5개월까지 저장전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30^{\circ}C$에 저장한 강남콩은 저장 3개월후부터 침지중 무게와 부피 증가율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2. $100^{\circ}C$에서 40분간 조리한 강남콩의 무게 증가율은 시료 A가 가장 높았고 $4^{\circ}$$20^{\circ}C$에 저장한 강남콩은 저장기간에 관계없이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30^{\circ}C$에서 저장한 강남콩은 저장 3개월째부터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3. 조리한 강남콩의 고형분 손실량은 시료 C가 3.4%로서 가장 적었고 시료 A는 5.4%, 시료 B는 5.1%이었다. $30^{\circ}C$에서 5개월 저장했을때는 모든 시료가 저장전보다 약 1%정도 낮은 손실량을 보였다. 4. 조리한 강남콩의 경도는 시료 A가 가장 컸으며 시료 C가 가장 낮았다. $30^{\circ}C$에 저장된 강남콩의 경도는 저장 3개월째부터 감소하였으나 $4^{\circ}$$20^{\circ}C$에 저장한 강남콩의 경도는 변화가 없었다. 5. 강남콩의 가열에 의한 색소유출은 시료 A가 가장 높았고 다음은 시료 B이었으며 저장기간이나 저장온도에 의한 차이는 그리 크지 않았다. 6. 강남콩 전체가루 (13%, db)의 아밀로그래프에 의한 호화는 시료 모두 최고 점도를 보이지 않았고 가열중 점도는 계속 증가하였으며 시료 A가 가장 높은 점도를 보였고 시료 B와 C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 PDF

염화칼슘과 친환경 제설제가 식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lcium Chloride and Eco-Friendly Deicer on the Plant Growth)

  • 신승숙;박상덕;김호섭;이규송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87-498
    • /
    • 2010
  • 기존 제설제인 염화칼슘($CaCl_2$)과 유기산 제설제 EFD(Eco-Fridendly Deicer)가 식물의 생존과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도로주변의 주요 자생종인 소나무와 참싸리 그리고, 재배종인 열무와 강낭콩 유식물에 대하여 제설제의 농도 구배에 따른 생존과 생장반응을 분석하였다. 네 종중에서 참싸리는 제설제에 가장 민감한 생존반응을 보였다. 소나무의 생장은 제설제 종류와 농도변화에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참싸리와 강낭콩의 경우는 $CaCl_2$와 EFD1의 3%이상의 농도에 생장저해를 보였으나, EFD2에 대해서는 생장이 양호했다. $CaCl_2$에 대한 생존 및 생장반응으로 확인된 염에 대한 내성이 있는 식물은 열무와 소나무이었고, 민감한 식물은 참싸리와 강낭콩이었다. 화학약품으로 제조한 EFD1은 식물생장의 저해영향이 컸지만, 음식물쓰레기를 활용한 EFD2는 염에 내성이 약한 식물들에게도 생존 및 생장의 피해가 적음을 확인하였다.

White Kidney bean(Phaseolus vulgaris)로부터 ${\alpha}-Amylase$ 저해제의 분리.정제 (Purification of ${\alpha}-Amylase$ Inhibitor from White Kidney Bean(Phaseolus vulgaris))

  • 전승호;류일환;박승택;이갑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17-121
    • /
    • 2001
  • Phaseolus vulgaris을 분쇄한 후 ethanol 70% 및 80% 포화도에서 침전을 행하고 그 침전물을 다시 ammonium sulfate로 재침전한 후, DEAE-Sephadex ion exchange chromatography 및 Sephadex G-100 gel의 chromatography를 행하여 활성을 보인 fraction I-1-f와 I-2-f를 분획하였다. 그 결과 분리된 I-1-f의 총 단백질량은 12.0 mg/L, 총 활성은 2784 unit/L, 비활성은 232 unit/mg이였으며 정제도는 15.0배 증가하였고 수율은 5.56%이였다. 또한 I-2-f의 총 단백질량은 14.0 mg/L, 총 활성은 3210 units/L, 비활성은 229.28 units/mg protein이였으며, 정제도는 14.8배 증가하였으며 수율은 6.4%이였다. 또한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를 행한 결과 단백질 band가 각각 하나로 확인되어 각각 단일 성분으로 판단되었다. 정제 ${\alpha}-amylase$ 저해제 I-1-f와 I-2-f의 분자량은 gel filtration과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를 행한 결과 50,000과 45,000이었다. 또한 구성성분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각각 $17.6{\sim}17%$의 당과 $79{\sim}80%$의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당은 glucose : xylose : mannose : N-acetylglucosamine의 함량이 5 : 3 : 50 : 42의 구성성분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