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ey Reuse Attack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7초

Meta-PKE 구조에 의한 SABER 알고리즘의 임시 키 재사용 공격 (Ephemeral Key Reuse Attack of the SABER Algorithm by Meta-PKE Structure)

  • 이창원;전찬호;김수리;홍석희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2권5호
    • /
    • pp.765-777
    • /
    • 2022
  • NIST PQC 표준화 Round 3에 제시된 PKE/KEM 알고리즘인 SABER 알고리즘은 격자 기반 문제 중 Module-LWR 문제를 기반으로 하는 알고리즘으로 Meta-PKE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암호화 과정에서 사용되는 비밀 정보를 임시 키라고 부를 것이며 본 논문에서는 Meta-PKE 구조를 활용한 임시 키 재사용 공격에 대해 설명한다. NIST에서 요구하는 보안 강도 5, 3, 1을 만족하는 각각의 파라미터에 대해 4, 6, 6번의 쿼리를 사용하여 공격한 선행 연구에 대해 자세한 분석과 함께 이를 향상하여 3, 4, 4번의 쿼리만 사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그리고 추가로 한 번의 쿼리를 통해 임시 키를 복원하는 계산 복잡도를 n차 격자 위에서 각각의 파라미터에 대해 전수조사 복잡도인 27.91×n, 210.51×n, 212.22×n에서 24.91×n, 26.5×n, 26.22×n으로 감소시키는 방법을 소개하며 그에 대한 결과 및 한계점을 제시한다.

충돌 전력 분석 공격에 높은 공격 복잡도를 갖는 RSA 알고리즘에 대한 취약점 분석 및 대응기법 (Analysis and Countermeasure on RSA Algorithm Having High Attack Complexity in Collision-Based Power Analysis Attack)

  • 김수리;김태원;조성민;김희석;홍석희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6권2호
    • /
    • pp.335-344
    • /
    • 2016
  • 부채널 분석 중 전력 분석 공격은 가장 실용적이며 강력한 기법으로 알려져 있다. 전력 분석 공격 중 단일 파형공격은 단 하나의 파형을 이용하여 공개키 암호 시스템의 비밀정보를 복원하는 강력한 분석기법으로 최근에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가장 최근에 Sim 등은 이러한 공격에 높은 안전성을 갖는 새로운 지수승 알고리즘을 소개하였다. 본 논문에서 Sim 등이 제안한 단일 파형 공격에 높은 공격 복잡도를 갖는 알고리즘의 취약점을 분석한다. 메시지 블라인딩과 지수 분할 기법에 윈도우 기법을 적용해 높은 공격 복잡도를 갖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지만 사전 연산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비밀정보를 복원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취약점을 보완하여 단일파형 공격에 높은 공격 복잡도를 갖는 지수승 알고리즘을 새롭게 제안하였다. 설계된 알고리즘은 사전 연산 과정에서 실제지수 연산에 사용되는 값들의 재사용을 최소화 하여 충돌 공격에 대해 높은 안전성를 보장한다.

WiMAX 환경에서 내부 공격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분산 키 관리 프로토콜 (A Distribution Key Management Protocol for improving Security of Inner Attack in WiMAX Environment)

  • 정윤수;김용태;박길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07-115
    • /
    • 2009
  • WiMAX 환경에서 사용되는 암호학적 키는 베이스 스테이션의 통신 범위안에 위치하는 이동 노드(노트북, PDA, 휴대폰 등)들에 의해 일정기간동안 사용되어지며, 이 때 이동 노드에 의해 사용되어지는 키는 이동 노드가 베이스 스테이션의 통신 범위를 벗어날 때까지 사용된다. 그러나 이동 노드가 베이스 스테이션의 통신 범위를 벗어나거나 이동 노드가 베이스 스테이션과 통신하기 위해 통신 범위 안에 진입하려고 할 때 이동 노드와 베이스 스테이션 사이의 통신구간은 무선으로 동작되기 때문에 man-in-the-middle 공격과 같은 내부 공격에 매우 취약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동 노드가 베이스 스테이션과 통신하려고 할 때 베이스 스테이션에서 발생되는 암호학적 보안 공격위험과 통신 오버 헤드를 줄이기 위해서 이동 노드들이 사용하는 키를 재 사용할 수 있는 분산키 설립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된 분산키 설립 프로토콜은 통신과정 중에 발생되는 키의 재사용을 통해 베이스스테이션과 이동 노드 사이에서 발생되는 오버 헤드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호 인증에 필요한 공유키를 노드자신이 생성한 난수 값을 통해 생성하여 IEEE 802.16 표준보다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AP 인증 및 동적 키 분배를 이용한 안전한 무선랜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a Secure Wireless LAU System using AP Authentication and Dynamic Key Exchange)

  • 이종후;이명선;류재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1C권4호
    • /
    • pp.497-508
    • /
    • 2004
  • 현재의 무선랜 표준인 IEEE802.11b가 많은 보안 취약성을 가지고 있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특히 IEEEE802.11b에서의 인증은 사용자 인증이 아닌 디바이스 인증에 머물고 있으며, 제공되는 인증 메커니즘들 역시 여러 가지 면에서 취약하다. 한편, IEEE802.1x는 IEEEB02.11b 인증의 취약한 부분을 보완하고 강력한 사용자 인증을 제공할 수 있는 메커니즘으로 개발되었으나 이 역시 AP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지 않는 등, 취약한 부분이 있다. 또한 WEP을 통해 제공되는 기밀성 및 무결성 역시 키 스트림 재사용 공격, W 재사용 공격 등에 취약하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무선랜 환경에 적합한 안전한 사용자 인증 메커니즘 및 기밀성을 제공하는 무선랜 보안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IEEE802.1x를 기반으로 하고 TLS를 통해 무선랜의 구성요소인 클라이언트, AP, 인증서버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모두 수행한다. 그리고 동적인 키 분배를 통해 암호통신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이용자 인증정보 재사용 방지를 위한 연구 : 전자서명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Prevention of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use : Focusing on Electronic-Signature)

  • 우기준;김동국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5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1호
    • /
    • pp.361-363
    • /
    • 2019
  • 인터넷환경에서 금융회사는 홈페이지 사용자의 신원확인, 부인방지 등의 목적으로 공개키 기반구조(PKI: Public Key Infrastructure) 환경의 공인인증서를 홈페이지 로그인, 전자금융거래 등의 업무에 적용하고 있다. 사용자의 공인인증서를 이용하여 생성된 전자서명이 악성코드 감염 등으로 인하여 유출 시 사용자가 과거에 서명했던 전자서명이 재사용(로그인, 전자금융거래 등)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하기에 인터넷 상에서의 전자서명 재사용에 대한 원인, 방지 절차 및 방법을 제안 하고자 한다.

  • PDF

IPsec과 연동되는 개선된 Anti-DoS IKE 프로토콜 엔진의 구현 및 평가 (A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Improved Anti-DoS IKE Protocol Engine for Interaction with IPsec System)

  • 김성찬;천준호;전문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11B호
    • /
    • pp.1005-1016
    • /
    • 2006
  • 인터넷 사용이 증가하면서 보안 시스템에 대한 중요성도 강조되고 있다. 기존의 보안 시스템에서 키 교환에 사용되어 왔던 인터넷 키 교환 프로토콜은 효율성 및 안정성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했으며, 새로 구현한 키 교환 프로토콜을 IPsec에 연동되도록 테스트 환경을 구현하여 성능평가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현한 키 교환 프로토콜은 RFC에서 제안하는 표준에 따라서 구현하였으며 키 교환 및 인증 과정에서 지적된 복잡성과 속도 문제를 해결하였고 서비스 거부 공격에 대응하도록 설계하였다. 복잡한 메시지 교환 단계를 줄여서 속도를 향상시켰으며, 재협상 시 기존 상태 값들을 재활용함으로써 효율성을 증가 시켰다.

USN 환경에서 ECDH 알고리즘을 이용한 KDPC(Key Distribution Protocol based on Cluster) 설계 (A Design of KDPC(Key Distributed Protocol based on Cluster) using ECDH Algorithm on USN Environment)

  • 정은희;이병관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856-858
    • /
    • 2013
  •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환경에서 센싱(sensing)된 데이터는 개인의 프라이버시 및 기업의 비밀 정보와 관련되어 있지만 일반 네트워크에 비해 보안에 취약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즉, USN은 센서 정보의 도청, 비정상적인 패킷의 유통, 메시지의 재사용, 데이터 위변조 공격, 서비스 거부 공격 등에 쉽게 노출되는 취약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USN 환경에서 센서 노드들의 사이의 안전한 통신을 위해서는 반드시 키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센서 네트워크의 특성을 고려한 ECDH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클러스터 기반 키 분배 프로토콜인 KDPC(Key Distributed Protocol based on Cluster)을 설계한다. 그 결과, 데이터 위변조 공격을 탐지하고, 센싱된 데이터의 노출을 방지함으로써 안전한 USN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