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etogenic diet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2초

Pilocarpine으로 유발된 간질중첩증에서 케톤생성 식이요법에 의한 Nitric Oxide의 변화 (Effect of Ketogenic Diet on the Nitric Oxide of Pilocarpine-induced Status Epilepticus)

  • 김태우;김재문;박희동;정기영;김동욱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5권2호
    • /
    • pp.171-176
    • /
    • 2003
  • Backgrounds and Objectives: Despite of enormous clinical and laboratory researches focused on the useful markers in status epilepticus(SE), clinically applicable methods are not yet available. Although ketogenic diet (KD) is an old method of treating epilepsies, its outstanding antiepileptic effect in some epileptic patients needs re-evaluation of this method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KD on the change of nitric oxide(NO) during the SE. Methods: After the determination of critical EEG stages in the pilocarpine-induced SE model, serum NO levels were measured with Griess reaction. Open cardiac puncture was done immediately after the four different EEG stages of SE in the KD rats and regular diet (RD) rats. Cessation of SE was done with the 10~20 mg/Kg of diazepam i.p. injection in each stages of SE in KD and RD rats. Results: Pilocarpine-induced SE showed reliable EEG and behavioral patterns in all rats. Also, KD did not affect the SE induced by pilocarpine in terms of the SE induction time and SE severity. Serum NO was consistently higher in KD rats than RD rats in all SE stages. Conclusions: KD significantly increases NO during the pilocarpine-induced SE. These finding might contribute the neuroprotective effect of KD in the SE.

  • PDF

케톤음료를 보충한 저탄수화물·고지방식이 섭취가 치매고위험 노인의 인지기능 및 신체활동 능력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w-carbohydrate and High-fat Diet Supplemented with Ketogenic Drink on Cognitive Function and Physical Performance in the Elderly at High Risk for Dementia)

  • 김은지;박정식;최원선;박유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525-534
    • /
    • 2019
  • Objectives: Reduced glucose utilization in the main parts of the brain involved in memory is a major cause of Alzheimer's disease, in which ketone bodies are used as the only and effective alternative energy source of gluc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low-carbohydrate and high-fat (LCHF) diet supplemented with a ketogenic nutrition drink on cognitive function and physical activity in the elderly at high risk for dementia.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8 healthy elderly aged 60-91 years showing a high risk factor of dementia or whose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score was less than 24 points. Over 3 weeks, the case group was given an LCHF diet with nutrition drinks consisting of a ketone/non-ketone ratio of 1.73:1, whereas the control group consumed well-balanced nutrition drinks while maintaining a normal diet. After 3 weeks, K-MMSE, body composition, urine ketone bodies, and physical ability were all evaluated. Results: Urine ketone bodies of all case group subjects were positive, and K-MMSE score was significantly elevated in the case group only (p=0.021). Weight and BMI were elevated in the control group only (p<0.05). Grip strength was elevated in all subjects (p<0.01), and measurements of gait speed and one leg balance were improved only in the case group (p<0.05). Conclusions: We suggest that adherence to the LCHF diet supplemented with a ketogenic drink could possibly influence cognitive and physical function in the elderly with a high risk factor for dementia. Further, we confirmed the applicability of this dietary intervention in the elderly based on its lack of any side effects or changes in nutritional status.

Chloral hydrate에 저산소증 병력을 가진 Lennox-Gastaut syndrome 환아의 전신마취 하 치과 치료 (DENTAL TREATMENT OF A CHILD WITH LENNOX-GASTAUT SYNDROME UNDER GENERAL ANESTHESIA, SUFFERED FROM HYPOXIA CAUSED BY CHLORAL HYDRATE)

  • 장석훈;남옥형;김미선;이효설;김광철;최성철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8-32
    • /
    • 2017
  • 진정 약제에 저산소증 병력을 보였던 레녹스-가스토 증후군의 7세 4개월 여아를 전신마취 하에서 안정적으로 치과치료를 진행하였다. 레녹스-가스토 환자의 철저한 술전 평가와 의과와의 협진을 통해 전신마취 하 치과 치료가 매우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케톤 보충제가 운동수행능력, 운동 후 회복, 및 근육 단백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etone Body Supplementation on Exercise Performance, Post-exercise Recovery, and Muscle Protein Metabolism)

  • 주정선;곽이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36-444
    • /
    • 2023
  • 스포츠과학에서 좋은 기록을 달성하기 위해 과학적 훈련, 식단 및 운동수행증진 보조제가 널리 사용되어 왔다. 운동선수가 최고 수준의 경기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영양학적 전략이 중요하며, 그 중 지구력 운동 수행력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는 지방대사의 증가라고 할 수 있다. 장기간 운동하는 동안 지방산 대사를 최대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케톤 생성 식단(고지방, 저탄수화물)이 제안되었다. 현재까지의 연구들은 케톤 생성 식단의 에너지 생성 가치에 대해 상반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이유로 탄수화물 섭취를 제한하지 않고 영양적 케톤증(아세토아세테이트와 베타-하이드록시뷰티레이트의 급성/일시적 혈중 농도증가)을 얻기 위해 케톤 보충제(케톤 에스테르 및 케톤염)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일부 연구에서는 심장 및 골격근과 같은 말초 조직에 추가적인 연료 기질 제공, 탄수화물 절약/지방 산화 증가, 간/근육에서 글리코겐 재합성을 증가시켜 운동 후 회복에 케톤 보충제가 지구력 운동 수행에 유익한 효과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많은 연구에서 케톤 보충제가 운동수행능력 보조제로서의 유익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까지의 운동 수행 및 회복 그리고 골격근 단백질 대사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의 케톤 보충제의 증명된 효과와 운동수행능력 증진 보조제로서의 가능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간질아동의 삶의 질과 간호관리 (Children with Epilepsy: Quality of Life and Management)

  • 신영희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0권2호
    • /
    • pp.225-232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scribe the overview of current medical treatments of childhood epilepsy in Korea and to review several recent nursing researches related to quality of life problems, especially psychological functioning in children with epilepsy and the stress of the family. The prognosis of childhood epilepsy has been improved considerably and about 80% of patients can now be expected to achieve complete seizure control by the antiepileptic drug treatment. Even for the intractable epilepsy, with the combination of ketogenic diet program and antiepileptic drug therapy or surgical treatment, the prognosis became very much better than before. The majority of research has reported that children with epilepsy were experiencing quality of life problems. They are at risk for impaired functioning, compared to either general population controls or to other chronic illness groups such as asthma and diabetes. The ultimate goal of providing care to children with epilepsy is to control seizures while facilitating an optimal quality of life for the child as well as the family. Recommendations are included for future research and intervention programs for children, parents and our society.

  • PDF

생리, 약학적 관점에서 fibroblast growth factor 21 (FGF21)의 대사 효과 고찰 (The Metabolic Effects of FGF21: From Physiology to Pharmacology)

  • 송박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7호
    • /
    • pp.640-650
    • /
    • 2020
  • 간, 췌장 및 지방 조직에서 많은 수준으로 합성되는 섬유 아세포 성장 인자 21(FGF21)은 FGF19과 FGF23와 함께 FGF 패밀리의 비정형 구성원에 속해 있다. FGF21은 발현 조직에 따라 endo/paracrine특징을 보여주며, 포도당 대사 및 에너지 항상성을 포함하는 많은 종류의 대사 경로를 조절하고 있다. 생리학적 조건 하에서 많은 종류의 스트레스가 조직 별 FGF21의 합성을 유도한다고 알려져 있고, 이렇게 증가한 FGF21은 위와 같은 스트레스에 적응하거나 방어하기 위한 세포 내 기전을 활성화 시키게 된다. 이 과정에서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γ) 및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alpha (PPARα)가 지방 및 간 조직에서 FGF21의 발현을 조절하는 대표적인 전사 조절자로 알려져 있다. 지난 10년간의 연구를 통해 약리학적 FGF21 투여는 체중을 감소시키고 비만 마우스 및 2 형 당뇨병 환자에서 인슐린 감수성 및 지단백질 프로파일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FGF21은 제 2 형 당뇨병, 비만 및 비 알콜 성 지방간 질환(NAFLD)의 치료제로서 큰 주목을 받아 왔다. 그러나 조직 별 상이한 FGF21 발현의 역설적 조건 및 생리 약학적 기능의 차이로 인해 FGF21의 이해는 여전히 부족한 수준에 있다. 따라서 본 총설을 통해 FGF21의 조직 특정 기능 및 해당 동작 메커니즘을 포함한 이전 연구들에서 발생하였던 흥미로운 문제를 논의하고, FGF21 아날로그를 이용한 임상 시험의 현 상황을 요약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