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appa

검색결과 3,475건 처리시간 0.033초

Bee Venom이 NF-${\kappa}$B의 불활성화를 통해 DU-145 전립선 암세포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Bee Venom Inhibits DU-145 Human Prostate Cancer Cell Growth Through Inactivation of NF-${\kappa}$B)

  • 신정미;송호섭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8권3호
    • /
    • pp.101-110
    • /
    • 2011
  • 목적 : 이 연구는 봉독이 NF-${\kappa}$B의 활성억제를 통하여 전립선 암세포주인 DU-145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 는지를 확인하고 그 기전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봉독을 처리한 후 DU-145의 성장억제를 관찰하기 위해 WST-1 assay를 시행하였고, 세포자멸사의 관찰에는 DAPI staining assay를 통한 세포형태관찰을 시행하였으며, 염증관련유전자 발현 관찰에는 west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고, 세포자멸사와 연관된 NF-${\kappa}$B의 활성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EMSA와 luciferase assay를 시행하였으며, DU-145에서 봉독과 NF-${\kappa}$B의 상호작용을 관찰하기 위해 transient transfection assay를 시행하여 세포생존율과 NF-${\kappa}$B의 활성 변동을 측정하였다. 결과 : DU-145 세포에서 봉독을 처리한 후 세포성장이 억제되었으며, 염증관련유전자 발현 및 NF-${\kappa}$B의 활성의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DU-145 세포에서 NF-${\kappa}$B의 p50와 IKK들을 치환하여 작용기를 없애고 봉독을 처리하였을 경우에도 세포활성 및 NF-${\kappa}$B의 활성의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봉독이 NF-${\kappa}$B의 활성 억제를 통하여 인간 전립선암세포주인 DU-145의 세포자멸사를 유발함으로써 증식억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것으로 전립선암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그 기전에서 봉독은 기존연구와 같은 NF-${\kappa}$B p50 및 IKK들의 작용기와 상호작용 이외에 다른 기전이 관여되는 것으로 심화 연구를 요한다.

Role of Protein Kinases on NE-$_{\kappa}B$ Activation and Cell Death in Bovine Cerebral Endothelial Cells

  • Ahn, Young-Soo;Kim, Chul-Hoon;Kim, Joo-Hee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3권1호
    • /
    • pp.11-18
    • /
    • 1999
  • Nuclear factor $_{\kappa}B\;(NF-_{\kappa}B)$ activation is modulated by various protein kinases. Activation of $NF-_{\kappa}B$ is known to be important in the regulation of cell viability.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inhibitors of protein tyrosine kinase (PTK), protein kinase C (PKC) and protein kinase A (PKA) on $NF-_{\kappa}B$ activity and the viability of bovine cerebral endothelial cells (BCECs). In serum-deprivation-induced BCEC death, low doses of $TNF{\alpha}$ showed a protective effect. $TNF{\alpha}$ induced $NF-_{\kappa}B$ activation within 4 h in serum-deprivation. PTK inhibitors (herbimycin A and genistein) and PKC inhibitor (calphostin C) prevented $NF-_{\kappa}B$ activation stimulated by $TNF{\alpha}.$ Likewise, these inhibitors prevented the protective effect of $TNF{\alpha}.$ In contrast to $TNF{\alpha}-stimulated\;NF-_{\kappa}B$ activity, basal $NF-_{\kappa}B$ activity of BCECs in media containing serum was suppressed only by calphostin C, but not by herbimycin A. As well BCEC death was also induced only by calphostin C in serum-condition. H 89, a PKA inhibitor, did not affect the basal and $TNF{\alpha}-stimulated\;NF-_{\kappa}B$ activities and the protective effect of $TNF{\alpha}$ on cell death. These data suggest that modulation of $NF-_{\kappa}B$ activation could be a possible mechanism for regulating cell viability by protein kinases in BCECs.

  • PDF

고농도의 당에 노출된 RAW 264.7 세포에서 conjugated linoleic acid의 TNF-${\alpha}$ 생산과 NF-${\kappa}B$의 활성 효과 (Effect of Conjugated Linoleic Acid on Nuclear Factor-${\kappa}B$ Activation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Production in RAW 264.7 Cells Exposed to High Concentration of Glucose)

  • 이민지;강병택;강지훈;양만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361-367
    • /
    • 2012
  • 고혈당으로 야기된 염증은 당뇨병에서 합병증을 일으키는 주된 요인이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면역세포에서 TNF-${\alpha}$ 같은 염증성 cytokine의 과도한 생성은 인슐린 저항성을 야기시킨다고 한다. Conjugated linoleic acid (CLA)는 TNF-${\alpha}$ 생산에 관여하여 면역반응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고농도의 당으로 처리한 RAW 264.7 세포에서 TNF-${\alpha}$ 생산, NF-${\kappa}B$의 활성과 $I{\kappa}B-{\alpha}$ 분해에 대한 CLA 효과를 검토하였다. 고농도의 당에 노출된 RAW세포는 저농도의 당에 노출된 RAW 세포보다 NF-${\kappa}B$의 활성과 $I{\kappa}B-{\alpha}$ 분해가 증가되었으며 RAW 세포의 배양 상층액 중에 TNF-${\alpha}$ 생산을 증가시켰다. CLA와 고농도 또는 저농도의 당을 같이 처리한 군은 당만 단일 처리한 군보다 TNF-${\alpha}$ 생산, NF-${\kappa}B$의 활성 및 $I{\kappa}B-{\alpha}$ 분해가 증가되었다. 그리고 고농도의 당과 CLA를 처리한 군에서 저농도의 당과 CLA 처리군에 비해 NF-${\kappa}B$의 활성과 $I{\kappa}B-{\alpha}$ 분해가 증가되었으며 이와 더불어 TNF-${\alpha}$의 양이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CLA는 고농도의 당에 노출된 RAW 세포에서 NF-${\kappa}B$의 활성을 높이고 TNF-${\alpha}$ 생산을 증가시키며 이는 고혈당으로 유발되는 염증반응을 촉진하는 인자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폐암 세포에서 기저 상태와 TNF-${\alpha}$ 자극 시 NF-${\kappa}B$의 활성화 (Activation of NF-${\kappa}B$ in Lung Cancer Cell Lines in Basal and TNF-${\alpha}$ Stimulated States)

  • 황보빈;이승희;유철규;이춘택;한성구;심영수;김영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2권5호
    • /
    • pp.485-496
    • /
    • 2002
  • 연구배경 : Nuclear factor ${\kappa}B$ (NF-${\kappa}B$)는 면역기능, 급성기 반응, 세포주기 조절 등 다양한 세포활동을 조절하는 전사인자로서 외부 자극에 의해 세포질에 존재하던 NF-${\kappa}B$가 핵 속으로 이동되어 여러 유전자의 ${\kappa}B$ element에 결합하여 그 유전자의 전사를 가져온다. 최근 들어 암의 발생과 증식 및 전이에 있어 NF-${\kappa}B$의 역할이 주목받고 있다. 즉, 여러 종류의 암세포에서 NF-${\kappa}B$의 과발현 및 지속적인 활성화가 알려져 NF-${\kappa}B$와 암의 발생 및 증식과의 관련성이 제시되고 있고, NF-${\kappa}B$의 항 아포프토시스 기능은 암세포의 생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또한 ICAM-l, VCAM-l 등 세포 부착물질의 발현에 영향을 끼쳐 암 전이와의 관련성도 제시되고 있다. 폐암에서 NF-${\kappa}B$의 역할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은 상태로 폐암 조직 및 폐암 세포주에서 p50과 c-Rel의 과발현이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NF-${\kappa}B$의 과발현이 NF-${\kappa}B$의 활성화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현재까지 폐암 세포에서 NF-${\kappa}B$의 활성화 유무에 관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방 법 : 본 연구에서는 정상 기관지 세포주와 폐암 세포주에서 기저 상태와 외부 자극에 의한 NF-${\kappa}B$의 활성화를 비교하여 폐암 세포에서 NF-${\kappa}B$의 활성도를 평가하였다. 정상 기관지 상피세포로는 BEAS-2B 세포주를 사용하였고 폐암 세포주로는 A549, NCI-H358, NCI-H441, NCI-H522, NCI-H2009, NCI-H460, NCI-H1229, NCI-H1703, NCI-H157, NCI-H187, NCI-H417, NCI-H526 등 12종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NF-${\kappa}B$의 활성화는 p65와 p50의 핵내 발현과 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 (EMSA)를 이용한 NF-${\kappa}B$ DNA binding activity로 평가하였다. 결 과 : NCI-H358과 NCI-H460 세포를 제외한 모든 폐암 세포주와 BEAS-2B 세포의 기저상태에서 핵 단백질내에 p65와 p50의 발현이 관찰되었다. TNF-$\alpha$로 자극하고 30분이 경과한 후에는 핵 내 p65와 p50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NCI-H358과 NCI-H460 세포에서는 기저 상태와 TNF-${\alpha}$ 자극 시 핵 단백질 내의 p65의 발현이 관찰되지 않았고 TNF-${\alpha}$ 자극했을 때에도 p65의 발현은 증가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 두 세포주에서는 TNF-${\alpha}$로 자극 시 p50보다 분자량이 작은 두 종의 단백질의 발현이 증가되어 p50의 변형된 형태로 생각되었다. 기저 상태에서의 NF-${\kappa}B$의 DNA 결합능은 실험에 사용한 모든 세포주에서 거의 관찰되지 않았고 TNF-${\alpha}$ 자극 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TNF-${\alpha}$ 자극으로 활성화된 NF-${\kappa}B$ complex는 NCI-H358 과 NCI-H460을 제외한 모든 세포주에서는 p50/p65 heterodimer로 확인되었고 NCI-H358과 NCI-H460에서는 변형된 p50/p50 homodimer가 활성화되었다. 결 론 : 이상의 결과로 일부 폐암 세포주에서 외부 자극으로 활성화된 NF-${\kappa}B$ complex의 구성에 차이를 보였지만 전체적으로는 정상 기관지 세포주와 비교해 폐암 세포해서 NF-${\kappa}B$ 활성화에 있어 큰 차이가 없었다.

LPS에 의해 활성화된 미세아교세포에서 미역쇠 추출물의 신경염증 보호 효과 (Inhibitory effect of Petalonia binghamiae on neuroinflammation in LPS-stimulated microglial cells)

  • 박재현;김성훈;이선령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0권1호
    • /
    • pp.25-31
    • /
    • 2017
  •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진 미세아교세포의 과도한 활성화에 의한 신경염증반응에 미치는 미역쇠의 보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LPS를 처리한 BV2 세포에서 미역쇠에서 얻은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미세아교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LPS의 처리는 신경염증반응의 지표인 NO의 생성량과 이들을 조절하는 iNOS, COX-2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미역쇠 추출물의 처리는 LPS가 유도하는 NO의 생성량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고 iNOS와 COX-2의 발현을 억제하여 NO 생성량 저해와 유사한 양상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미역쇠 추출물의 신경 염증반응 저해 효과가 $NF-{\kappa}B$의 활성화 조절을 통해 일어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NF-{\kappa}B$의 핵으로의 전이, $I{\kappa}B$의 인산화, $NF-{\kappa}B$ 억제제인 PDTC를 이용한 NO의 생성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미역쇠 추출물 처리에 의해 핵분획물에서의 $NF-{\kappa}B$ 발현은 현저히 감소하였고 $I{\kappa}B$의 인산화를 억제하였으며 PDTC의 처리로 NO의 생성량은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미세아교세포의 활성화로 인해 발생되는 신경염증반응에 미역쇠 추출물이 $NF-{\kappa}B$의 활성 억제를 통해 NO의 생성을 저해함으로써 항신경염증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미역쇠 추출물이 신경염증 관련 뇌신경 질환의 제어하는데 있어서 치료효과를 가지는 소재로서 이용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폐암세포주의 TNF-$\alpha$ 유발 apoptosis에서 NF-${\kappa}B$의 역할 (The Role of NF-${\kappa}B$ in the TNF-$\alpha$-induced Apoptosis of Lung Cancer Cell Line)

  • 김재열;이승희;황보빈;이춘택;김영환;한성구;심영수;유철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8권2호
    • /
    • pp.166-179
    • /
    • 2000
  • 연구배경: 현재 사용되고 있는 많은 항암제는 암세포의 apoptosis를 유도함으로서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것이 주된 작용 기전이다. 항암제에 의한 치료 실패의 주된 원인은 암세포의 apoptosis에 대한 내성 획득에 의한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최근의 보고에 의하면 많은 암세포주에서 apoptosis에 대한 내성 획득에 NF-${\kappa}B$의 활성화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일부 세포에서는 상반된 결과를 보이고 있어 apoptosis에 대한 내성 획득과 NF-${\kappa}B$의 활성화와의 관련성은 세포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소세포폐암 세포주가 TNF-$\alpha$ 유발 apoptosis에 저항을 나타내는 기전에서 NF-${\kappa}B$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 법: 비소세포폐암세포주인 NCI-H157 세포에 TNF-$\alpha$ cycloheximide(CHX), TNF-$\alpha$와 CHX를 각각 투여하고 24시간 후 MTT assay로 세포생존율을 평가하였고 apoptosis의 발생 유무는 PARP에 대한 Westrn 분석으로 평가하였다. Ad5LacZ와 $Ad5I{\kappa}B{\alpha}SR$를 20시간 동안 감염시킨 각각의 세포를 1, 5, 10, 20, 50 ng/ml의 TNF-$\alpha$로 24, 48시간 자극 후 MTT assay를 시행하였고, 같은 농도의 TNF-$\alpha$로 24, 48시간 자극 후 PARP에 대한 Western 분석을 시행하였다. $I{\kappa}B{\alpha}$의 분해를 억제하는 proteasome inhibitor 인 MG132를 전처치하고 TNF-$\alpha$로 24, 48 시간 자극 후 MTT assay와 PARP에 대한 Westrn 분석을 시행하였다. $Ad5I{\kappa}B{\alpha}SR$를 감염시킨 세포를 TNF-$\alpha$로 자극한 후 NF-${\kappa}B$의 활성화를 EMSA로 평가하였다. 결 과: 1. TNF-$\alpha$ 단독 투여로는 세포 생존율의 감소와 apoptosis가 관찰되지 않았고 TNF-$\alpha$와 CHX를 같이 투여하였을 때는 세포 생존율의 감소와 함께 apoptosis가 유도되었다. 2. $Ad5I{\kappa}B{\alpha}SR$의 감염으로 $I{\kappa}B{\alpha}$가 과발현된 세포와 MG132를 전처치한 세포에서 TNF-$\alpha$ 자극에 의한 NF-${\kappa}B$의 활성화가 억제되었다. 3. $Ad5I{\kappa}B{\alpha}$ SR를 감염시킨 세포와 MG132를 전처치하여 NF-${\kappa}B$의 활성을 억제한 세포에서 TNF-$\alpha$ 자극 후 세포 생존율이 감소하고 apoptosis가 유도되었다. 결 론: 비소세포폐암 세포주의 TNF-$\alpha$ 유발 apoptosis에 대한 내성은 NF-${\kappa}B$의 활성화에 의해 생성되는 새로운 단백의 발현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며, NF-${\kappa}B$ 활성화의 억제로 이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PTPN21 acts as a negative regulator of ICAM-1 by dephosphorylating IKKβ in TNF-α-stimulated human keratinocytes

  • Cho, Young-Chang;Kim, Ba Reum;Cho, Sayeon
    • BMB Reports
    • /
    • 제50권11호
    • /
    • pp.584-589
    • /
    • 2017
  •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1 (ICAM-1), which is induced by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contributes to the entry of immune cells into the site of inflammation in the skin. Here, we show that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non-receptor type 21 (PTPN21) negatively regulates ICAM-1 expression in human keratinocytes. PTPN21 expression was transiently induced after stimulation with TNF-${\alpha}$. When overexpressed, PTPN21 inhibited the expression of ICAM-1 in HaCaT cells but PTPN21 C1108S, a phosphatase activity-inactive mutant, failed to inhibit ICAM-1 expression. Nuclear factor-${\kappa}B$ (NF-${\kappa}B$), a key transcription factor of ICAM-1 gene expression, was inhibited by PTPN21, but not by PTPN21 C1108S. PTPN21 directly dephosphorylated phospho-inhibitor of ${\kappa}B$ ($I{\kappa}B$)-kinase ${\beta}$ ($IKK{\beta}$) at Ser177/181. This dephosphorylation led to the stabilization of $I{\kappa}B{\alpha}$ and inhibition of NF-${\kappa}B$ activity. Taken together, our results suggest that PTPN21 could be a valuable molecular target for regulation of inflammation in the skin by dephosphorylating p-$IKK{\beta}$ and inhibiting NF-${\kappa}B$ signaling.

청간해주탕(淸肝解酒湯)이 kupffer cell의 $NF{\kappa}B$ 활성화 및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ungganhaeju-tang(Qingganjiejiu-tang) on $NF{\kappa}B$ Activation and Apoptosis of Kupffer Cells)

  • 한창우;김영철;우홍정;이장훈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9-70
    • /
    • 2004
  • Objectives :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treatment with Chungganhaeju-tang prevents hepatic inflammation and apoptosis in alcoholic liver disease. The purpose of our study is to determine if any relations exsists between the transcription factor $NF{\kappa}B$, an orchestrating expression of a large number of genes and inhibitory effects of Chungganhaeju-tang on ethanol induced apoptosis. Materials and Methods : To assess the role of $NF{\kappa}B$, we blocked NFkB activation by delivering to the kupffer cells $I{\kappa}B{\Delta}N$, a dominant negative $NF{\kappa}B$ inhibitor, and investigated if Chungganhaeju-tang still prevented apoptosis. Results : When $NF{\kappa}B$ activation was blocked, there was no inhibitory effect of Chungganhaeju-tang on ethanol induced apoptosis of kupffer cells. Conclusion : This result suggests that Chungganhaeju-tang protects the liver from ethanol induced apoptosis by activating the $NF{\kappa}B$ that plays a key role in porotecting mechanism and reducing inflammatory cytokine gene expression.

  • PDF

저산소증과 NF-${\kappa}B$의 항암제내성과의 연관성 고찰 (Hypoxia and NF-${\kappa}B$; The Relation to Chemoresistance)

  • 윤성우
    • 대한암한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19-128
    • /
    • 2010
  • 항암치료는 현재 암환자의 주요한 치료임에도 불구하고 항암제내성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약물내성은 다양한 기전에 의해 발생하는데 수송단백질의 과발현, 비독성화발현, 손상유전자의 복구, 세포사멸신호의 변화, STAT-3와 NF-${\kappa}B$의 발현 등이 포함된다. 암세포는 저산소환경에서 발생하며 일반세포에 비해 무산소해당에 상대적 의존도가 높고 이는 암세포의 성장과 전이를 촉진하는 인자가 된다. 항암제가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산소가 필요한데 저산소환경은 이를 방해하며 또한 유전자의 불안정화로 인해 약물내성이 유도된다. NF-${\kappa}B$는 주요 전사인자 중 하나로서 각종 염증과 암에서 지속적으로 활성화되며 암세포의 변화, 증식, 침윤, 전이에 관여한다. 환경적 스트레스 등과 대부분의 항암약제들이 NF-${\kappa}B$를 활성화시키며 임상적으로도 암환자의 생존과 연관된 중요한 예후인자이다. NF-${\kappa}B$의 발현은 항암제로 인한 암세포의 자멸을 회피하게 만들고 수송단백질을 활성화시켜 항암제내성을 유도한다. 강황, 적포도, 고추, 건칠 등 다양한 천연물에서 NF-${\kappa}B$를 억제시키는 효능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항암제내성을 억제시키고 항암제의 효과를 증대시킨다. 저산소환경의 개선과 NF-${\kappa}B$의 억제는 상호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항암제내성의 개선뿐만 아니라 암치료제 개발의 새로운 연구목표가 될 수 있다.

  • PDF

Role of PI3-Kinase/Akt Pathway in the Activation of Etoposide-Induced $NF-{\kappa}B$ Transcription Factor

  • Choi Yong-Seok;Park Heon-Yong;Jeong Sun-J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3호
    • /
    • pp.391-398
    • /
    • 2006
  • $NF-{\kappa}B$ is a transcription factor involved in the innate immunity against bacterial infection and inflammation. It is also known to render cells resistant to the apoptosis caused by some anticancer drugs. Such a chemoresistance of cancer cells may be related to the activation of $NF-{\kappa}B$ transcription factor; however, the mechanism of activation is not well understood. Here, we demonstrate that a chemotherapeutic agent, etoposide, independently stimulates the $I{\kappa}B{\alpha}$ degradation pathway and PI3-kinase/Akt signaling pathway: The classical $I{\kappa}B{\alpha}$ degradation pathway leads to the nuclear translocation and DNA binding of p65 subunit through $IKK{\beta}$ kinase, whereas the PI3-kinase/Akt pathway plays a distinct role in activating this transcription factor. The PI3-kinase/Akt pathway acts on the p50 subunit of the $NF-{\kappa}B$ transcription factor and enhances the DNA binding affinity of the p50 protein. It may also explain the role of the PI3-kinase/Akt pathway in the anti-apoptotic function of $NF-{\kappa}B$ during chemoresistance of cancer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