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a대역

검색결과 238건 처리시간 0.024초

Engineering Model 급 Ka 대역 입력 Demultiplexer 용의 진폭 및 군지연 등화된 협대역 여파기의 개발 (Development of an Externally Amplitude-and-Delay Equalized Narrow-Bandpass Filter for the Engineering Model Level Ka-band Input Demultiplexer)

  • 강승택;엄만석;이주섭;염인복;이성팔
    • 한국전자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파학회 2002년도 종합학술발표회 논문집 Vol.12 No.1
    • /
    • pp.347-351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위성 중계기 Engineering Model(EM)급 Ka 대역 입력 Demultiplexer (IMUX)의 진폭 및 군지연 등화된 채널 협대역 여파기의 개발/결과가 제시된다. 여파기는 큰 선택성(selectivity)과 작은 대역내 손실로써 동작하기 위해, 8차의 타원적분형 응답특성의 이중모드 결합구조의 특성을 가진다. 그리고 여파기 출력이 가지는 급한 변화의 군지연과 대역내 진폭은 2극(Pole) 등화기에 의해 평탄하게 된다. 튜닝 및 측정 결과는 요구규격사항을 잘 만족함을 보여준다.

  • PDF

정지궤도 복합위성 주파수 및 궤도 확보를 위한 국제등록 현황 분석

  • 백명진
    • 천문학회보
    • /
    • 제37권2호
    • /
    • pp.181.1-181.1
    • /
    • 2012
  • 정지궤도 복합위성은 기상관측용 기상위성과 해양 및 환경관측용 해양/환경위성으로 계획되어있다. 기상위성은 2017년 발사, 해양/환경위성은 2018년 발사를 목표로 연구개발이 수행되고 있다. 정지궤도위성은 주파수 및 궤도 자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 국제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것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위성의 궤도위치와 주파수 자원에 대한 선행연구가 필수적이며, 이러한 연구는 기상위성업무용 및 지구탐사위성 업무용 주파수 자원에 대한 관련 전파규칙 분석 작업 등의 업무가 함께 수행되어야 한다. 정지궤도 복합위성은 관제용 주파수 대역으로 L 대역 또는 S 대역이 가용 주파수 대역이고, 기상, 해양 및 환경 원시 데이터 전송용 주파수 대역은 X 또는 Ka 대역이 가용 주파수 대역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기상위성업무용 및 지구탐사위성업무용으로 가용한 L, S, X 및 Ka 주파수 대역을 검토하였고, 동 대역을 이용하여 국제등록 중인 위성망과 주요 위성망들의 전송제원 등에 대한 국제등록 현황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을 통하여 작성된 자료들은 향후 우리나라 정지궤도 위성망 궤도 및 주파수 자원 확보를 위한 국제등록에 활용될 수 있도록 분석하였다.

  • PDF

위성탑재체 RF 기술동향 (RF Technology for Satellite Payload)

  • 정진철;염인복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1권4호통권100호
    • /
    • pp.107-117
    • /
    • 2006
  • 위성 탑재체 제조 산업은 기초 과학이 뒷받침된 초정밀 기계 공학, 첨단 전자 기술, 극한 환경 기술 및 신소재 공학 등과 같은 첨단 산업의 집합체라 할 수 있다. 현재 미국을 비롯한 서구 선진국에서 진행중인 탑재체 기술동향을 보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위성수에 따라 위성 궤도가 부족하고 주파수 자원이 고갈되고 있는 상황에서 통신 위성의 효율성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호처리 탑재(OBP) 위성과 통신기능을 포함한 다양한 기능을 가진 복합위성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주파수 대역의 포화와 광대역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등을 위해 보다 높은 주파수의 준 밀리미터파 대역(Ka 대역) 위성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현재, 2008년 발사를 목표로 마이크로스위치 매트릭스(MSM)가 탑재되어 빔간 스위칭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통신해양기상위성(COMS)용 통신 탑재체(SACOM) 개발이 진행중이다. 국내의 위성탑재용 RF 부품분야는 1990년부터 위성 중계기 시스템의 기본적인 설계, 조립, 종합화, 시험기술을 바탕으로 통신위성 탑재체용 초고주파 부품을 개발하여 왔으며, 2000년대에는 Ku 대역(12/14GHz) 및 Ka 대역(20/30GHz) 기술인증모델(EQM) RF 부품을 성공적으로 개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통신해양기상위성 통신탑재체용 Ka 대역 RF 부품이 현재 우주인증 모델(QM)의 개발이 완료되었으며 비행 모델(FM) 개발이 진행중이다.

Ka 대역 초고속 위성통신 시스템에 대한 군지연 및 비선형 특성의 영향 (Effects of Group Delay and Non-linear Characteristics in Ka-Band High Data Rate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 김영완;박동철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600-610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초고속 위성통신 시스템의 채널 특성에 대한 성능 분석을 하였다. 고속 데이터 전송의 열화요인으로 작용하는 군지연과 비선형 분석을 통하여 다양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Ka 대역의 초고속 전송 시스템의 채널 성능 영향을 고찰하였다. 전송 데이터가 증가할수록 군지연과 비선형에 의한 영향은 증가하며, 군지연 선형 성분과 비선형의 AM-AM 성분이 시스템 성능 열화에 지배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고속 데이터에 따른 광대역 전송 대역폭으로 낮은 군지연과 이득 평탄도를 얻기가 어려우므로 주요 열화 요소를 등화하여 수십 Mbps에서부터 수백 Mbps 의 넓은 범위의 서비스를 동일 시스템에서 효과적으로 제공하여야 한다. 분석된 결과는 최적의 동작점을 갖는 초고속 위성통신 시스템을 설계하고 운용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 PDF

프로브 구조를 이용한 Ka 대역 도파관-마이크로스트립 트랜지션의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Fabrication of the Ka-band Waveguide to Microstrip Transition using Probe structure)

  • 권혁자;이성주;장호준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5권7호
    • /
    • pp.67-71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Ka 대역에서 동작하는 송수신기에 쉽게 집적화 할 수 있는 프로브 구조를 이용한 도파관-마이크로스트립 트랜지션을 설계 및 제작하였다. 도파관-마이크로스트립 트랜지션은 프로브, 인덕턴스 선로, ${\lambda}/4$ 임피던스 변환기, 그리고 $50{\Omega}$ 마이크로스트립 선로로 구성되어있으며, 각 구성 요소들의 특성 임피던스 및 길이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최적화하였다. 제작된 트랜지션의 측정결과, $30{\sim}40GHz$ 대역 내에서 평균 1.3 dB의 삽입손실 특성, 14 dB이하의 입출력 반사 손실특성을 나타내었다. 마이크로스트립 선로 및 입출력 도파관의 손실을 고려하여 하나의 변환 구조 당 삽입 손실은 $0.5{\sim}0.6dB$ 정도이다.

Ka 대역을 공유하는 정지궤도 위성망과 지상망간 주파수 간섭 평가 연구 (A Study on Assessing the Interference between GSO Satellite Network and Terrestrial Network in Ka Band)

  • 오대섭;김수영;안도섭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3권3A호
    • /
    • pp.296-303
    • /
    • 2008
  • 오늘날의 다양한 무선 시스템을 통한 서비스의 공존은 간섭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으며, 제한된 주파수 대역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보다 정확하고 효과적인 주파수 공유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위성시스템이 가지는 광역성으로 인하여 지상시스템과의 주파수 공유는 필수적이다. Ka 대역 주파수를 사용하는 위성 시스템은 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하게 되므로 위성의 방위각을 고려한 주파수 공유 결과에 대한 분석은 주파수 효율성을 높이는데 매우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성망과 지상망과의 간섭을 안테나의 방위각을 고려하여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고, 주파수 공유 시 요구되는 망간 최소 이격 거리를 분석한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분석 결과가 실제 시스템 설계 및 구현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소형화된 Ka-대역 주파수 합성기 모듈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Fabrication of a Compact Ka-Band Synthesizer Module)

  • 김현미;양승식;이만희;염경환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511-521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복합 소형화된 Ka-대역 주파수 합성기 모듈을 제작하였다. 본 논문을 통하여 소형화 구성시 배치 방법과 체계적인 검증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작된 주파수 합성기는 X-대역 전압 제어 발진기(VCO: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의 주파수를 3체배하여 구성하였으며, 제작된 모듈은 500 MHz 주파수 가변 범위와 약 14 dBm의 출력 전력, 그리고 100 kHz 오프셋 주파수에서 -96.17 dBc/Hz의 위상 잡음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근접전계 시험 기법을 활용한 Ka-대역 배열안테나 성능 검증 (Performance verification of Ka-Band Array Antenna using Near-Field Test Method)

  • 김영완;권준범;강연덕;박종국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05-111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근접전계 시험을 수행하여 Ka 대역 밀리미터파 탐색기용 도파관 광벽 슬롯 배열 안테나의 성능 검증을 수행하였다. 슬롯 배열 안테나의 측정은 원전계, 근접전계 시험을 모두 수행하고 비교하여 밀리미터파 대역의 근접전계 시험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검증을 수행한 슬롯 배열 안테나의 빔폭 및 부엽 준위를 포함한 빔 패턴 특성이 동일함을 확인하였다. 방위각, 고각 빔패턴의 부엽준위 차이는 1dB 이내로 검증되었다. 추가로 back-projection 기법을 활용하여 근접전계 데이터를 가공한 후 안테나 개구면의 분포를 새롭게 추출하여 배열 안테나 성능 분석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밀리미터파 탐색기용 Ka 대역 능동 PIN 다이오드 리미터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Fabrication of Ka-Band Active PIN Diode Limiter for a Millimeter Wave Seeker)

  • 양승식;임주현;나영진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220-228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밀리미터파 탐색기의 수신기 보호용으로 사용할 낮은 누설 전력을 가지는 Ka 대역 능동 리미터 설계 및 제작 기법을 설명하였다. 낮은 누설 전력을 구현하기 위해서 송신 펄스 주기 신호와 입력 전력의 크기에 따라 리미터를 제어할 수 있는 능동 리미터 제어 회로를 제안하였다. 능동 리미터는 전형적인 2단 수동 리미터에 방향성 결합기, 검파기, 연산 증폭기 및 과전류 보호용 저항으로 구성된 궤환 회로로 구성되어진다. 제작된 Ka 대역 능동 리미터 측정 결과, 주파수 대역은 1 GHz, 약 신호 시 삽입 손실은 3.5 dB 이하, 능동 제어시 최대 감쇄량 46 dB, 4 W RF 입력 시 정상 누설 전력은 -7.5 dBm을 보였다.

서울 지역의 강우로 인한 Ka대역 위성신호의 감쇠량 추정 (Estimation of Rain Fading for Ka band Satellite Signals in Seoul Area)

  • 윤기창;김승철;손원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65-168
    • /
    • 2008
  • 이 연구는 HDTV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새로이 주목받고 있는 Ka대역에서의 강우로 인한 위성신호의 감쇠량을 추정하였다. 강우 자료는 서비스 가입자 수를 고려하여 최대 인구 밀집 지역인 서울지역을 기준으로 서울대학교 AWS에서 측정한 2003년부터 2007년까지의 최근 5년간의 10분 강우강도를 ITU-R 기준인 분 강우강도로 변환하였고, 이를 ITU-RP. 618-9의 강우 추정 모델에 적용하여 감쇠 량을 도출하였다. 또한 도출된 감쇠 값을 최근 우리나라 기후변화의 추이를 반영하여 기상청에서 획득한 자료로부터 도출된 1990년부터 1999년의 서울지역의 감쇠 량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전 지역을 하나의 강우 단위로 일괄 적용하는 ITU-R P.837-5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으며, 강우의 지역적 편이가 매우 높은 우리나라의 강수 특성을 유연하게 반영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