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VM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6초

Banked Memory System에서 효율적일 전력관리를 위한 KVM의 힙 메모리 관리체계 설계 (A Design of KVM Heap Memory Management for Effective Power Management in Banked Memory System)

  • 최인범;강희성;정명조;이철훈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2 No.1 (A)
    • /
    • pp.868-870
    • /
    • 2005
  • 최근에는 자원이 제한적인 시스템을 위한 embedded JVM 환경에서 자바 응용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embedded JVM 의 성능에 따른 performance 뿐만 아니라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일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메모리에서 사용되는 에너지는 메모리에 접근할 때마다 소비되는 dynamic energy와 메모리에 파워가 들어와 있을 때 항상 소비되는 leakage energy 로 구분할 수 있다. embedded 환경을 고려하지 않았던 이전에는 leakage energy 가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되지 않았지만, 현재는 dynamic energy 못지 않게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Banked Memory System을 사용하는 임베디드 JVM의 환경하에서 leakage energy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KVM의 힙 메모리 관리체계를 설계하였다.

  • PDF

가상화 환경에서 NVMe SSD 성능 분석 및 직접 접근 엔진 개발 (Performance Analysis of NVMe SSDs and Design of Direct Access Engine on Virtualized Environment)

  • 김세욱;최종무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129-137
    • /
    • 2018
  • 낸드 플래시 메모리 기반의 NVMe(Non-Volatile Memory express) SSD(Solid State Drive)는 멀티 I/O 큐 환경을 제공하는 PCIe 인터페이스 기반에 NVMe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저장장치이다. NVMe SSD는 Multi-core 시스템에서 병렬 I/O 처리가 가능하고 SATA SSD에 비해 대역폭이 크며 대용량의 저장 공간을 제공하기 때문에 데이터 센터, 클라우드 컴퓨팅 등에 사용될 차세대 저장장치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가상화 시스템에서는 소프트웨어 I/O 스택의 병목으로 인하여 NVMe SSD의 성능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Xen과 KVM과 같이 호스트 시스템의 I/O 스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호스트 시스템과 가상머신의 중복된 I/O 스택을 통해서 입출력이 처리되기 때문에 성능 저하가 크게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NVMe SSD에 직접 접근하는 기술을 KVM 가상화 시스템에 적용함으로써 가상 머신 I/O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Direct-AIO (Direct-Asynchronous I/O)엔진을 제안한다. 그리고 QEMU 에뮬레이터에 제안한 엔진을 개발하고 기존의 I/O 엔진과의 성능 차이를 비교 및 분석한다.

파일 시스템이 지원되지 않는 실시간 운영체제에서의 KVM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KVM on Real-Time Operation System without File System)

  • 조희남;양희권;성영락;이철훈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 (1)
    • /
    • pp.253-255
    • /
    • 2003
  • 오늘날 많은 가전제품들은 다양화. 쌍방성, 효율성, 개방성등 정보화 시대의 주요 특징들과 접목되어 생산되고 있으며, 이중 모바일 제품군(Low End)은 각광받는 주류 제품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모바일 제품들은 그 특성상 파일 시스템을 지원하지 못하고 있기에, 본 논문에서 모바일 제품의 운영체제로서 파일 시스템이 지원되지 않는 실시간 운영체제(RTOS- Real Time Operation System)를 선택하여 가상머쉰(VM-Virtual Machine)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위의 지원을 위해 자바 클래스 파일을 C 언어 형태로 변환하여 VM 과 직접적으로 링크하는 방법인 프리링킹(Prelinking), 프리로딩(Preloading) 혹은 로마이징(ROMizing)이라고 알려져 있는 기법을 도입하였다.

  • PDF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소프트웨어 기반 키보드/마우스 공유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Keyboard/Mouse Sharing System Based on Software in Network Environment)

  • 이진수;정선일;이명오;이상호;노영주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3 No.1 (A)
    • /
    • pp.265-267
    • /
    • 2006
  • 개인용 컴퓨터의 급속한 보급으로 인해, 1인 1PC 시대에서 한사람이 2대 이상의 PC를 사용하는 시대로 변화하고 있다. 요즘에 많은 컴퓨터 사용자들은 여러 대의 컴퓨터를 사용하여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사용자에게 편리한 작업 환경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생산성 증가시키기 위해서 네트워크로 연결된 2대 이상의 PC 입력 컨트롤러(키보드, 마우스)를 통합하는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할 시스템은 기존 소프트웨어 혹은 KVM에서 제공하지 못하는 두 시스템간의 Clip board 및 파일의 공유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1대의 PC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작업 환경을 제공한다.

  • PDF

자바 바이트코드를 GVM 코드로 번역하기 위한 언어적 특성 처리 (Han fling the Language Dependent Features for Translating Java Bytecode to GVM Code)

  • 고영관;고석훈;오세만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 (B)
    • /
    • pp.337-339
    • /
    • 2002
  • 휴대용 무선기기의 성능 향상과 동적인 응용프로그램 실행의 필요성에 따라 모바일 응용프로그램은 기존의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제작 방법에서 가상기계(Virtual Machine)를 탑재하여 실행하는 가상기계애플리케이션 제작 방법으로 변환하였다. 가상기계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은 플랫폼 독립적인 실행이 가능하며 또한 효과적인 다운로드 솔루션을 통한 동적인 응용프로그램의 실행이 가능하다. 이러한 배경으로 KVM과 CVM(General Virtual Machine)등의 가상기계가 출현하였다. 그러나 각 플랫폼에서 맞는 애플리케이션은 서로 호환되지 않으므로 가상기계 언어간의 번역을 통해 목적 가상기계에서의 실행이 요구되며 자바 바이트코드를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된 GVM 코드로 번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논문에서는 KVM에서 실행가능한 자바 바이트코드를 CVM에서 실행하기 위해 바이트코드를 GVM코드인 SAL(Sinji Assembly Language)로 번역하는 번역기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이를 위해 자바의 언어 독립적 특성 외에 언어 의존적인 특성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며 언어 의존적인 특성을 배열과 문자열, 클래스와 객체, 예외, 스레드로 분류하여 처리한다.

  • PDF

CLDC에서 자바 가비지 콜렉션 (Java Garbage Collection in CLDC)

  • 권혜은;김상훈
    • 정보학연구
    • /
    • 제5권2호
    • /
    • pp.27-34
    • /
    • 2002
  • CLDC를 지원하는 자바가상머신인 KVM의 가비지 콜렉터는 일반적으로 단순한 마크-회수 알고리즘에 기반을 두고 있다. 그러나 이 알고리즘은 단편화 없이 다양한 크기의 객체를 다루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객체의 크기에 따라 자유 기억 공간의 할당 위치를 결정하는 메모리 할당 방법을 적용한 개선된 마크-회수 가비지 콜렉터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실험을 통해 단편화 문제가 감소되었고 실행시간의 개선이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 PDF

KVM기반의 모바일 XML 문서 전송 시스템 (Mobile XML Document Transmission System Based on KVM)

  • 김은수;전석훈;송정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중)
    • /
    • pp.1221-1224
    • /
    • 2002
  • 최근 인터넷과 무선통신기술의 융합으로 인한 Mobile서비스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해 무선 인터넷 시장이 도입 및 성장단계에 이르렀다. 그러나 현재 무선 인터넷 환경은 음성 서비스 위주의 개인사용자 시장이 한계에 도달하면서 이동통신의 무선 단말기를 통해 다양한 비즈니스를 벌일 수 있는 기입용 모바일 솔루션 시장이 크게 확대되고 있고 모바일 데이터서비스 시장의 비중이 크게 늘어가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서비스 교환에 XML문서를 사용한다면 데이터의 상호 처리 능력을 향상시키고 데이터의 공용성과 프로그램의 유연성을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비용과 노력을 훨씬 절감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시스템 설계를 통해 XML문서를 데이터 교환에 사용하여 무선 장치의 CPU, 메모리, 네트워크 대역폭의 부하를 줄임으로써 무선 인터넷에서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문서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 PDF

KVM 기반의 가상머신 자원 사용량 분석을 위한 VDI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설계 및 구현 (VDI Real-Time Monitoring System for KVM-Based Virtual Machine Resource Usage Analysis)

  • 김태훈;김현지;노재춘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2권1호
    • /
    • pp.69-78
    • /
    • 2015
  • 차세대 단말기 보급과 초고속 네트워크의 발전으로 클라우드 컴퓨팅이 등장하면서 VDI(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가 핵심 기술로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VDI는 하나의 물리적인 컴퓨터에 하이퍼바이저를 설치하여 다수의 가상머신을 운영하는 기술이다. 현재 VDI 분야의 핵심 이슈는 가상머신과 물리적머신 간의 성능 차이를 줄이는 것이며, 이와 관련된 여러 연구들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서버와 가상머신의 실시간 자원 사용량과 정보를 수집하는 SETMOV(Supervised Real Time Monitoring on VDI)를 설계하고 구현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VDI 성능 최적화를 위해 가상머신의 자원 사용량을 분석하여 서버의 자원을 재분배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웹 서버 구성을 통한 가상머신과 컨테이너 방식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the Virtual Machine and Containers Methods through the Web Server Configuration)

  • 배유미;정성재;소우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2670-2677
    • /
    • 2014
  • Xen, KVM 등과 같은 하이퍼바이저를 이용한 가상 머신 생성 기술이 클라우드 인프라 구성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 기술은 기존의 운영 방식에 비해 자원을 할당하고 관리하는 측면에서는 효율적이다. 그러나, 이 기술은 가상머신 생성시에 높은 자원의 사용량이 요구되고 할당된 자원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또 다른 자원의 낭비를 초래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컨테이너 기반의 Docker이다. 본 논문은 가상 머신 방식과 컨테이너 방식을 비교하여 웹 서버 구축 기술로 Docker와 같은 컨테이너 방식이 효율적임을 보여준다. 특히, 웹 서버나 프로그램 개발 환경과 같이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나 스토리지 등에 저장하는 경우에는 유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앞으로의 클라우드 환경에서 Docker와 같은 컨테이너 방식이 자원의 효율성과 관리의 편의성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