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RS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36초

철도용 전자기기의 온도환경(내한성, 내열성)에 대한 시험검사 절차에 대한 분석연구 (A Study of Testing Procedure Temperature of Electronic Equipment for Railway Environments (Cold and Heat))

  • 김진환;양도철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1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48-753
    • /
    • 2011
  • 철도용 전자기기의 온도 환경시험을 함에 있어 일반적으로 내한성과 내열성에 관한 시험을 수행한다. KRS 규격의 온도환경시험에서 성능확인은 양부판단의 규정이 "이상이 없어야 한다"로 대부분 되어있다. 이 문구에 대하여 시험자들은 규격 내에서 제시하는 기능시험이나 성능시험을 온도쳄버 장치를 사용하여 시험절차 중에서 수행하기 용이한 몇 가지 시험으로 성능 확인시험을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는 저온 및 고온에서 정상 동작하는지 확인이 안 되는 부품이나 회로가 생길 수 밖에 없다. 이 문제는 성능시험이나 기능시험의 종류를 늘린다고 해서 문제가 해결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고 여겨진다. 본 논문에서는 철도용품에 대한 내한성 및 내열성에 대한 KS 및 KRS 규격 검토와 온도시험의 한계를 검토하여 그에 대한 대안으로 데이터쉬트(DataSheet)의 활용으로 장착된 부품의 사용온도가 기준에 적합한지 확인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실제 현장적용 사례를 들어 국내의 주요 지방의 최저온도와 최고온도 데이터를 활용한 방법으로서 일반적인 IC 부품의 온도 규격과 비교하여 온도시험 범위를 산정하는 방안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실시간 철도 안전관제를 위한 DDS 기반의 일반철도 신호 데이터 규격 설계 연구 (Research on Design of DDS-based Conventional Railway Signal Data Specification for Real-time Railway Safety Monitoring and Control)

  • 박윤정;임담섭;민덕기;김상암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739-746
    • /
    • 2016
  • 철도 안전사고 예방을 목표로 하는 실시간 철도 안전관제 시스템에서는 DDS (Data Distribution Service) 표준 기술 기반의 데이터 전송 방안을 적용함으로 기존 현장의 안전검지장치로부터 발생한 데이터를 통합 및 관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많은 현장 데이터 중 일반철도 현장에서 발생한 신호설비 데이터 규격 설계를 소개하고 있다. 신호설비 데이터의 DDS 전송을 위하여 기존 표준 규격인 KRS SG 0062를 모델링하고, DDS 데이터 전송 단위인 Topic 설계 및 데이터 변환 방안을 제시하고, 데이터 성격 별로 네트워크 제어 QoS 정책 설계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실제 현장 데이터를 분석하여 설계된 규격이 현장에 적용 가능한지를 확인해 보았다.

레일패드 정적 수직강성 시험방법의 적합성 평가 (Conformity Assessment of Vertical Static Stiffness Test Method for Rail Pad)

  • 배영훈;김만철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33-42
    • /
    • 2015
  • 궤도 안전을 위한 핵심 용품인 레일체결장치의 구성품 중 레일패드 또는 베이스플레이트 패드의 정적 수직강성은 궤도 전체의 강성 결정 시 중요 인자이며, 패드 제품의 제조과정에서 품질관리 기준이 된다. 패드의 정적 수직강성 확인은 시험을 통해 가능하며, 시험방법으로는 철도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EN 13146-9 및 이를 부합화한 KRS TR 0014 규격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기 규격의 정적 수직강성 시험방법 중 예비하중 단계, 하중 제거 수준 및 하중 유지시간 관련 문제점 개선을 위해, 패드 관련 국내외 시험규격을 분석한 후 시험방법 안을 제시하였고, 철도현장에 사용되고 있는 패드 4종을 이용하여 시험방법 안을 적용한 정적 수직강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시험방법 안의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시험결과에 대한 유효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A-KRS 수직 처분공 접촉 조건 및 처분공 간의 거리에 따른 열전달 해석 (Heat Transfer Modeling by the Contact Condition and the Hole Distance for A-KRS Vertical Disposal)

  • 김대영;김승현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13-319
    • /
    • 2019
  • A-KRS는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개발한 파이로프로세싱 처리된 폐기물을 처분하는 개념이다.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은 파이로프로세싱에 의하여 최소화되며, 최종 발생된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은 모나자이트 세라믹 폐기물 형태로 제조된다. 모나자이트 세라믹 폐기물은 처분공에 영구 처분되어 열을 발생시킨다. 발생된 열은 폐기물을 보호하는 캐니스터 및 완충재의 온도를 상승시켜 설계 기준을 초과 시킬 수 있다. 온도는 처분공 간의 거리로 조절 가능하며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해석한 바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해석한 경계조건은 완벽 접촉을 가정한 것이기 때문에, 최초 처분 시에 발생하는 간격에 의해 발생하는 열 저항에 의한 온도 분포는 알 수 없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최초 처분 시 존재하는 간격에 의한 열 전달 해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발열체와 캐니스터 간의 공극을 추가하여 온도 분포 해석을 수행하였다. COMSOL 전산해석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열전달 해석을 수행하였다.

수치해석을 활용한 향상된 한국형 기준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시스템의 열-수리-역학적 복합거동 성능평가 (A Numerical Study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of Coupled Thermo-Hydro-Mechanical (THM) Processes in Improved Korean Reference Disposal System (KRS+) for High-Level Radioactive Waste)

  • 김광일;이창수;김진섭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31권4호
    • /
    • pp.221-242
    • /
    • 2021
  • 기존의 한국형 기준 처분시스템의 처분 효율을 높인 향상된 한국형 기준 처분시스템(Improved Korean Reference Disposal System, KRS+)의 열-수리-역학적 복합거동 성능평가를 위해 TOUGH2-MP/FLAC3D를 이용한 수치모델링 연구가 수행되었다. 사용후핵연료 처분 이후 방사성 붕괴열에 의해 처분시스템의 온도가 상승하고, 방사성 붕괴열이 빠르게 감소함에 따라 온도가 감소하여 최대 온도가 설계기준 온도인 100℃를 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완충재의 초기 포화도는 온도 상승으로 인한 공극수의 증발로 인해 감소하였다가 주변 암반으로부터 지하수가 유입되어 처분 약 250년 후 포화 상태에 이르렀다. 암반에서는 완충재와 암반의 흡입력의 차이로 인해 암반에서 완충재로 지하수가 유입되어 처분 직후 포화도가 감소하다가 이후 원계 암반으로부터 지하수가 유입되어 포화 상태에 도달했다. 처분시스템 내 열응력과 팽윤압 발생에 의한 주변 암반의 파괴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모어-쿨롱 파괴기준식과 스폴링 강도를 사용하였다. KRS+ 처분시스템의 처분공의 간격을 감소시키면서 처분시스템의 열적 거동 변화를 확인하였는데, 처분공 간격이 5.5 m 이하에서는 완충재의 설계 기준 온도를 초과하게 된다. 다만, 벤토나이트 완충재 부피의 56.1%의 온도는 90℃ 이하로 유지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수치해석 기법은 향후 응력 모델, 지온 경사 및 입력 물성을 변화시킨 다양한 조건에서의 처분시스템의 THM 복합거동 성능평가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