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SIS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9초

주제목록을 위한 한국용어열색인 시스템의 기능 (Function of the Korean String Indexing System for the Subject Catalog)

  • 윤구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5권
    • /
    • pp.225-266
    • /
    • 1988
  • Various theories and techniques for the subject catalog have been developed since Charles Ammi Cutter first tried to formulate rules for the construction of subject headings in 1876. However, they do not seem to be appropriate to Korean language because the syntax and semantics of Korean language are different from those of English and other European languages. This study therefore attempts to develop a new Korean subject indexing system, namely Korean String Indexing System(KOSIS), in order to increase the use of subject catalogs. For this purpos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between the classed subject catalog nd the alphabetical subject catalog, which are typical subject ca-alogs in libraries, are investigated, and most of remarkable subject indexing systems, in particular the PRECIS developed by the British National Bibliography, are reviewed and analysed. KOSIS is a string indexing based on purely the syntax and semantics of Korean language, even though considerable principles of PRECIS are applied to it. The outlines of KOSIS are as follows: 1) KOSIS is based on the fundamentals of natural language and an ingenious conjunction of human indexing skills and computer capabilities. 2) KOSIS is. 3 string indexing based on the 'principle of context-dependency.' A string of terms organized accoding to his principle shows remarkable affinity with certain patterns of words in ordinary discourse. From that point onward, natural language rather than classificatory terms become the basic model for indexing schemes. 3) KOSIS uses 24 role operators. One or more operators should be allocated to the index string, which is organized manually by the indexer's intellectual work, in order to establish the most explicit syntactic relationship of index terms. 4) Traditionally, a single -line entry format is used in which a subject heading or index entry is presented as a single sequence of words, consisting of the entry terms, plus, in some cases, an extra qualifying term or phrase. But KOSIS employs a two-line entry format which contains three basic positions for the production of index entries. The 'lead' serves as the user's access point, the 'display' contains those terms which are themselves context dependent on the lead, 'qualifier' sets the lead term into its wider context. 5) Each of the KOSIS entries is co-extensive with the initial subject statement prepared by the indexer, since it displays all the subject specificities. Compound terms are always presented in their natural language order. Inverted headings are not produced in KOSIS. Consequently, the precision ratio of information retrieval can be increased. 6) KOSIS uses 5 relational codes for the system of references among semantically related terms. Semantically related terms are handled by a different set of routines, leading to the production of 'See' and 'See also' references. 7) KOSIS was riginally developed for a classified catalog system which requires a subject index, that is an index -which 'trans-lates' subject index, that is, an index which 'translates' subjects expressed in natural language into the appropriate classification numbers. However, KOSIS can also be us d for a dictionary catalog system. Accordingly, KOSIS strings can be manipulated to produce either appropriate subject indexes for a classified catalog system, or acceptable subject headings for a dictionary catalog system. 8) KOSIS is able to maintain a constistency of index entries and cross references by means of a routine identification of the established index strings and reference system. For this purpose, an individual Subject Indicator Number and Reference Indicator Number is allocated to each new index strings and new index terms, respectively. can produce all the index entries, cross references, and authority cards by means of either manual or mechanical methods. Thus, detailed algorithms for the machine-production of various outputs are provided for the institutions which can use computer facilities.

  • PDF

국가통계포털(KOSIS)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동향 분석 (Analysis of Trends of 'An Investigation on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at the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KOSIS))

  • 채은희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11-20
    • /
    • 2018
  • 본 연구는 국가통계포털(KOSIS)사이트에서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를 검색했을 때 나타난 1,062건에 달하는 조사 내용을 분류·정리하였다. 해당 년도는 2009, 2012, 2015년도이다. 본 연구의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자료에서 '자녀'를 이주민과 정주민 집단 간 비교 하는 것이다. 정주자와 이민자 가정의 상대적 위치를 확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다른 범주의 정주민과 이주민 집단 간 그룹 비교도 '자녀' 범주에 대한 비교만큼 중요할 수 있다. 둘째, '의료' 범주에서 나타난 내용보다 더 깊이 있는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해 보인다. 예를 들어, 암 진단에 대한 세부 사항을 포함함은 결혼이민자들의 발병률을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노력은 결혼이주자 가정을 지원하는데 있어 실질적인 도움의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가통계포털(통계청)은 우리에게 많은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 중 하나다. 이러한 유용한 사이트의 활용을 통해 이주자 집단에 대한 정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다룰 수 있음은 지속가능한 미래사회의 시작이 될 수 있다.

지역통계 데이타베이스 구축및 활용방안 (A Study on Database of Region Statistic and Application)

  • 이희춘;김승구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19권38호
    • /
    • pp.199-205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refore, was to construct the region statistical information to present methods of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construction of region statistical data is much in need of utilizing the server of regional information center, or the database to the server of public institutions, Second, there are some difficulties to receive the region statistical data because of only depending on the main source of KOSIS provided by national units from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ird, as there is another problem which is text searching system served by KOSIS, GU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user's satisfaction served by easier accessing screen. Fourth, there should be a standard software production to suit for the accessing software of the region statistical data.

  • PDF

공식통계의 과거${\cdot}$현재${\cdot}$미래

  • 송문섭
    • 한국통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통계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3-17
    • /
    • 2001
  • 우리나라의 공식통계 발전 과정을 제도적 측면과 내용의 측면에서 살펴보고, 공식 통계가 작성되는 현황을 알아본다. 또한 앞으로 공식통계가 발전되기 위한 조건들을 살펴본다.

  • PDF

울산광역시의 여가산업 분석 (Analysis of Leisure Industries in Ulsan Metropolitan City)

  • 최성훈;송강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391-398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울산광역시의 여가산업의 규모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서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제공하는 2008여가백서의 여가산업분류표를 기준으로 여가산업을 크게 여가용품산업, 여가공간산업, 여가서비스산업으로 구분하였고, 통계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국가통계포털사이트(http://www.kosis.kr)의 9차 개정(2007년 기준)을 이용하여 사업체수, 종사자수, 종사자의 성별, 매출액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울산광역시의 여가산업과 관련된 사업체수 10,292개, 종사자수 23,357명, 종사자의 남성 8,699명, 여성 14,631명 이었고, 매출액 규모는 1조 1,675억 원이었다. 구체적으로 살며보면, 여가용품산업의 사업체수는 1,041개, 종사자수는 1,867명, 매출액은 1,227억 원이었고, 여가공간산업의 사업체수는 6,534개, 종사자수는 15,752명, 매출액은 6,940억 원이었으며, 마지막으로 여가서비스산업의 사업체수는 2,717, 종사자수는 5,738명, 매출액은 3,507억 원이었다. 울산의 여가산업 중에서 여가용품산업은 여가용품제조업의 비중이 거의 없고, 여가공간산업에서 유흥업소의 비중이 높으며, 여가서비스산업은 여가교육서비스업이 많았다.

시계열 이용기간에 따른 사망률 예측 비교 (A comparison of mortality projection by different time period in time series)

  • 김순영;오진호;김기환
    • 응용통계연구
    • /
    • 제31권1호
    • /
    • pp.41-65
    • /
    • 2018
  • 우리나라의 경우 선진국에 비해 짧은 기간 동안 사망률 개선이 급속히 이루어짐에 따라 사망률 예측에 있어 모형의 선택뿐만 아니라 시계열 이용기간의 선정 또한 중요한 고려사항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계열 이용기간의 선택 관점에서 회귀모형을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Lee-Carter (LC) 모형, LC류 (Lee-Miller (LM), Booth-Maindonald-Smith (BMS)) 그리고 비모수 모형(functional data model (FDM), Coherent FDM)을 토대로 시계열 이용기간을 다르게 적용할 경우 어떠한 문제가 발생되며, 연령별 사망률과 기대수명 예측력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5개의 모형별 2030년까지 남녀의 연령별 사망률과 예측기대수명을 작성하고 통계청(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에서 제공하는 장래 연령별 사망률과 기대수명과 비교하였다.

COVID-19 팬데믹 직전과 직후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환경 요인의 변화 연구 (The Change in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Factors on Depression by the COVID-19 Pandemic)

  • 김은지;정수영;전희정
    • 지역연구
    • /
    • 제40권1호
    • /
    • pp.19-35
    • /
    • 2024
  • 본 연구는 COVID-19 발생 전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지역환경 요인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질문은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환경 요인은 COVID-19 팬데믹 발생 직전과 직후 시기에 차이가 있는가?"로 설정하였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COVID-19 발생 직전 시기인 2019년과 코로나-19 발생 이후 시기인 2020년을 연구의 시간적 범위로 고려하였다. 이에 각 년도의 지역사회건강조사와 국가통계포털(KOSIS)을 활용하여 다수준 로지스틱 분석을 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COVID-19 직전 시기에 비해 COVID-19 직후 시기의 경우 우울감에 대하여 물리적 환경 변수들이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다. 특히, 인구 천명당 공원 면적이 증가할수록, 보행자 전용도로 면적 비율이 증가할수록 우울감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COVID-19와 같은 재난 상황 속에서 지역사회의 정신건강 문제를 예방하고, 효과적인 방어 기제로써 지역의 물리적 환경의 개선과 구축에 대한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개인 및 지역사회 특성이 우울감 경험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Individual and Community Characteristics on the Experience of Depression)

  • 김소형;김민경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521-527
    • /
    • 2024
  • COVID-19 대유행을 겪으며 국내외적으로 정신건강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자살률이 높아서 이에 대한 원인을 파악하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사회적 요구가 강력하다. 본 연구에서는 정신 건강을 대표하는 지표인 우울감 경험에 주요하게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 확인했다. 2021년 지역사회건강조사와 KOSIS 공표 자료를 활용하여 개인과 지역 단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스트레스 수준, 주관적 건강 수준, 기초생활수급 여부 등이 주요하게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지방 보건 당국은 스트레스 완화와 생활 습관 개선을 위한 보건교육 및 홍보 활동을 확대하고, 기초생활수급자 등 특정 집단에 대한 집중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 지역 주민의 정신 건강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 더불어, 중앙 정부와의 협력을 통한 포괄적 건강 관리에 힘쓰고, 인구 및 가족 영역과 조화하여 효과적인 정신 건강 정책을 구현해야 한다.

신약도입과 기대여명의 증가 (The Effect of Pharmaceutical Innovation on Longevity)

  • 권혜영
    • 약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66-69
    • /
    • 2012
  •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aggregate contribution of new drugs to the increase in life expectancy. We constructed a panel data combining mortality data in KOSIS and a drug dataset generated by assigning new drugs listed in 2000~2009 to their respective ICD codes. We found that 10% increase in stock of new drug led to 0.13~0.27% increase in the probability of survival to age 65. Due to lack of disease-specific life table, we used indirect approach to estimate the effect of new drugs on longevity. Using ordinary least squares, the estimate of the probability of survival to age 65 (logarithm) on life expectancy for all ages was 24.92. In conclusion, the increase in life expectancy of the entire population in Korea between 2000 and 2009 resulting from NMEs is 1.95 years, which explains 46.6% of real increase in life expecta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