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MPSAT-2/3

검색결과 288건 처리시간 0.023초

GENERATION OF GEO-SPATIAL INFORMATION USING KOMPSAT-2 IMAGERY

  • Lee, Hyun-Jik;Ru, Ji-Ho;Yu, Young-Geol;Lee, Kyu-Ma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8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14-17
    • /
    • 2008
  • KOMPSAT-2 is the seventh high-resolution satellite in the world that provides both 1m panchromatic images and 4m multispectral images of the GSD. It is expected to be used across many different fields including digital mapping, territorial and environmental monitoring. However, due to the complexity and security concern involved with the use of the MSC, the use of KOMPSAT-2 images are limited in terms of geometric data, such as satellite orbits and detailed mapping information. This study aims to generate the DEM and orthoimage by using the stereo images of KOMPSAT-2 and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geo-spatial information with KOMPSAT-2. In order to ensure generation of DEMs of optimal accuracy, the RPCs data and a suitable number of GCPs were used. The accuracy of DEM generated in this research compared with DEM generated from 1:5,000 digital map. The mean differences between horizontal position of the orthoimage and the digital map data are found to be ${\pm}$3.1m, which is in the range of ${\pm}$3.5m, within the permitted limit of a 1:5,000 digital map. The results suggest that DEM can be adequately used to produce digital maps under 1:5,000 scale.

  • PDF

다중위성 운영을 위한 통합 자료처리 시스템의 개념적 설계 (A Conceptual Design of Integrated Receiving end for Multi-Satellite Mission Data Processing)

  • 배희진;채태병;오승엽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7-22
    • /
    • 2010
  • 다목적실용위성 2호 (KOMPSAT-2)의 상용화로 인한 국내외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고품질 위성자료의 처리를 위한 수신과 제품을 생성하기 위한 처리시스템의 기술적인 진보와 해외 위성 직수신 시스템과 연계된 운용을 위해 체계화된 플랫폼의 구성이 요구되고 있다. 더불어 다목적실용위성 3호 및 5호 등 기 개발 중이거나 개발될 시스템의 유사기능의 중복개발 방지와 원활한 시스템 운영을 위해 통합 자료처리 시스템의 필요성이 절실한 때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미 운용중인 다목적실용위성 2호의 자료처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여 향후 다목적실용위성 시리즈의 상용화를 고려해 통합자료처리 시스템의 개념적 설계를 수행해 보았다.

오픈소스 기반 다목적실용위성 3A호 영상자료의 지표면 반사도 영상 제작 실험 (An Experiment for Surface Reflectance Image Generation of KOMPSAT 3A Image Data by Open Source Implementation)

  • 이기원;김광섭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5권6_4호
    • /
    • pp.1327-1339
    • /
    • 2019
  • 지구 관측 위성에 의한 광학 영상정보를 육상 분야에 활용하는 경우 지표면 반사도를 나타내는 영상은 중요한 기초 정보가 된다. 지표면 반사도는 광학 영상정보에 대하여 절대 대기 보정 처리 과정을 수행하여 얻어지는 성과물이다. Landsat이나 Sentinel-2의 경우 여러 가지 단계의 대기 보정 처리 방법이 개발되어 있고, 이미 많은 상업적 소프트웨어나 오픈소스 들이 이러한 처리 알고리즘을 지원한다. 그러나 현재 KOMPSAT 3/3A호 고해상도 분광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지표면 반사도 영상 제작 기능을 제공하는 도구는 거의 없고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는 오픈소스가 개발되거나 발표된 경우도 없다. 이 연구에서 우분투(Ubuntu) 운영체제에서 Orfeo ToolBox(OTB) 원격탐사 오픈소스에 포함된 광학 보정(Optical Calibration) 모듈과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여 KOMPSAT 3A호 영상에 대한 절대 대기 보정을 처리할 수 있는 모듈을 새로 구현하였다. 이 모듈은 KOMPSAT 영상의 센서 모델 변수와 분광 자료들을 포함하기 때문에 대기 보정 작업에 필요한 입력 변수의 자동 입력과 일괄처리가 가능하다. 이 모듈을 이용하여 상층대기(Top of Atmosphere: TOA)반사도와 지표면(Top of Canopy: TOC) 반사도를 구할 수 있다. 한편 TOC 반사도 산출과정에서는 AERONET 자료와 같은 대기 에어로졸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이 연구에서 구현된 오픈소스 성과를 이용하여 KOMPSAT 영상을 적용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앞으로 이 오픈소스 모듈의 적용성과 무결성 검사를 수행하게 되면, 그동안 축적된 KOMPSAT 영상정보를 대상으로 하는 분석 대기 자료(Analysis Ready Data)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직접 적용될 수 있다.

A Test Result on the Positional Accuracy of Kompsat-3A Beta Test Images

  • Oh, Jae Hong;Seo, Doo Chun;Lee, Chang No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33-142
    • /
    • 2016
  • KOMPSAT-3A (KOrea Multi-Purpose SATellite-3A) was launched in March 25 2015 with specification of 0.5 meters resolution panchromatic and four 2.2 meters resolution multi spectral sensors in 12km swath width at nadir. To better understand KOMPSAT-3A positional accuracy, this paper reports a test result on the accuracy of recently released KOMPSAT-3A beta test images. A number of ground points were acquired from 1:1,000 digital topographic maps over the target area for the accuracy validation. First, the original RPCs (Rational Polynomial Coefficients) were validated without any GCPs (Ground Control Points). Then we continued the test by modeling the errors in the image space using shift-only, shift and drift, and the affine model. Ground restitution accuracy was also analyzed even though the across track image pairs do not have optimal convergence angl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shift and drift-based RPCs correction was optimal showing comparable accuracy of less than 1.5 pixels with less GCPs compared to the affine model.

기계학습 기법에 따른 KOMPSAT-3A 시가화 영상 분류 - 서울시 양재 지역을 중심으로 - (KOMPSAT-3A Urban Classification Us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 - Focusing on Yang-jae in Seoul -)

  • 윤형진;정종철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6권6_2호
    • /
    • pp.1567-1577
    • /
    • 2020
  • 시가화 지역 토지피복분류는 도시계획 및 관리에 활용된다. 따라서, 시가화 지역에 대한 분류 정확도 향상 연구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위성영상인 KOMPSAT-3A을 기계학습 중 Support Vector Machine(SVM)과 Artificial Neural Network(ANN)을 기반으로 시가화지역 분류를 진행하였다. 훈련 데이터 구축과정에서 25 m 격자를 기반으로 훈련 지역을 구분하여 영상을 학습하였으며, 학습된 모델을 활용하여 테스트 지역을 분류하였다. 검증과정에서 250개의 GTP를 활용하여 오차 행렬을 통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SVM 4가지 기법과 ANN 2가지 기법 중 SVM Polynomial Model이 가장 높은 정확도인 86%를 나타냈다. Ground Truth Points(GTP)를 활용하여 두 개의 모델을 비교하는 과정에서, SVM 모델은 전체적으로 ANN 모델보다 효과적으로 KOMPSAT-3A 영상을 분류하였다. 건물, 도로, 식생, 나대지 4가지 클래스 분류 중 건물이 가장 낮은 분류정확도를 보여주었으며, 이는 고층건물에 따른 건물 그림자에 의한 오분류가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KOMPSAT-3와 Landsat-8의 시계열 융합활용을 위한 교차검보정 (Radiometric Cross Calibration of KOMPSAT-3 and Lnadsat-8 for Time-Series Harmonization)

  • 안호용;나상일;박찬원;홍석영;소규호;이경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6권6_2호
    • /
    • pp.1523-1535
    • /
    • 2020
  • 원격탐사를 이용한 작황정보 생산은 작물의 생물계절을 이용하여 작물 분류, 생육 모니터링, 생산량 추정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생물계절에 추정을 위한 시계열 영상 자료가 필요하지만 KOMPSAT(Korea Multi-Purpose Satellite)만으로 획득하는 것은 물리적 제한이 있으므로 타 지구관측위성과의 융합 활용이 필요하다. 위성자료의 융합 활용을 위해서는 각 위성이 가지는 고유의 방사학적 센서 특성 차이를 극복해야 한다. 본 연구는 위성자료의 융·복합 활용을 위한 첫 단계로서 KOMPSAT-3와 Landsat-8 위성의 교차검보정을 수행하였다. Libya-4 PICS(Pseudo Invariant Calibration Sites)에서 2년간 수집된 위성자료에 대해 초분광위성을 이용하여 산정된 SBAF(Spectral Band Adjustment Factor)를 적용하여 대기상단 반사도를 비교하였다. 교차검보정 결과 KOMPSAT-3와 Landsat-8 위성은 Blue, Green, Red 밴드에서 약 4%, NIR밴드에서 6%의 반사율 차이를 보였다. 온보드 켈리브레이터가 없는 KOMPSAT-3는 Ladnsat-8에 비해 Radiometric Stability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교차검보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BRDF(Bidirectional reflectance distribution function) 보정 및 지형보정을 통하여 정규화 된 반사율 자료를 생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KOMPSAT-3 영상 모자이킹을 위한 경계선 추정 방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eamline Estimation for Mosaicking of KOMPSAT-3 Images)

  • 김현호;정재헌;이동한;서두천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6권6_2호
    • /
    • pp.1537-1549
    • /
    • 2020
  • KOMPSAT-3의 지상해상도는 전정색 밴드: 0.7 m, 다중 스펙트럴 밴드: 2.8 m이며, 관측 폭의 경우 16 km이다. 따라서 관측 폭(16 km) 보다 넓은 지역의 영상을 한 번의 촬영으로 획득할 수 없으며, 관측 폭 단위로 넓은 지역을 겹치게 촬영 한 후에 획득한 영상들을 하나의 영상으로 만들어야 주어야 한다. 이때 필요한 알고리즘을 영상 모자이킹 또는 영상 스티칭이라고 하며, 지도 제작, 국토관리 분야 등에 사용된다. 모자이킹 알고리즘은 일반적으로 (1) 특징점 추출 및 매칭, (2) 복사 평형, (3) 경계선 추정, (4) 영상 블렌딩의 4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성 영상에서 효과적으로 경계선 추정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더 정확하게 경계선을 추정할 수 있었으며, 모자이킹이 된 영상도 경계선 부분의 이질감이 최소화 되었다.

KOMPSAT-3/3A 영상 기반 하천의 탁도 산출 연구 (A Study on the Retrieval of River Turbidity Based on KOMPSAT-3/3A Images)

  • 김다희;원유준;한상명;한향선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8권6_1호
    • /
    • pp.1285-1300
    • /
    • 2022
  • 탁도는 부유물질에 의한 빛의 산란 또는 흡수로 인한 수체의 흐림을 나타내는 수치로 수질 관리 분야에서 중요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탁도는 소규모의 하천에서 변동성이 심할 수 있으며, 이는 국가하천의 수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다. 따라서 고해상도의 탁도 공간정보 산출은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Korea Multi-Purpose Satellite-3 및 -3A (KOMPSAT-3/3A) 영상으로부터 한강 수계 하천의 고해상도 탁도 매핑을 위한 eXtreme Gradient Boosting (XGBoost) 알고리즘 기반의 탁도 산출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총 24장의 KOMPSAT-3/3A 영상과 150장의 Landsat-8 영상으로부터 계산된 대기 상단(Top Of Atmosphere, TOA) 반사율을 활용하였으며, Landsat-8 TOA 반사율은 KOMPSAT-3/3A의 관측 파장 대역에 적합하도록 교차검보정을 수행하였다. 국가수질자동관측망에서 측정된 탁도를 탁도 산출 모델의 참조자료로 사용하였고, 입력 변수로는 탁도가 실측된 위치에서의 TOA 분광반사율과 탁도 분석에 널리 이용되어 온 분광지수인 정규식생지수, 정규수분지수, 정규탁도지수, 그리고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의 대기 산출물(에어로졸 광학 두께, 수증기량, 오존)을 사용하였다. 또한 고탁도와 저탁도에 대한 KOMPSAT-3/3A TOA 분광반사율을 분석하여 탁도를 설명할 수 있는 새로운 정규탁도지수(new normalized difference turbidity index, nNDTI)를 제안하였고, 이를 탁도 산출 모델에 입력 변수로 추가하였다. XGBoost 기반 탁도 산출 모델은 현장관측 탁도와 비교하여 2.70 NTU의 평균 제곱근 오차(root mean square error, RMSE) 및 14.70%의 정규화된 RMSE(normalized RMSE)를 가지는 탁도를 예측하여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며, 이 연구에서 새롭게 제안한 nNDTI가 탁도 산출에 있어 가장 중요한 변수로 사용되었다. 개발된 탁도 산출 모델을 KOMPSAT-3/3A 영상에 적용하여 하천 탁도를 고해상도로 매핑하였으며, 탁도의 시공간적 변동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고해상도의 정확한 탁도 공간정보 산출에 KOMPSAT-3/3A 영상이 매우 유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해상도 광학 위성영상을 이용한 시공간 자료 융합의 적용성 평가: KOMPSAT-3A 및 Sentinel-2 위성영상의 융합 연구 (Applicability Evaluation of Spatio-Temporal Data Fusion Using Fine-scale Optical Satellite Image: A Study on Fusion of KOMPSAT-3A and Sentinel-2 Satellite Images)

  • 김예슬;이광재;이선구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7권6_3호
    • /
    • pp.1931-1942
    • /
    • 2021
  • 최근 고해상도 광학 위성영상의 활용성이 강조되면서 이를 이용한 지표 모니터링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고해상도 위성영상은 낮은 시간 해상도에서 획득되기 때문에 그 활용성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서로 다른 시간 및 공간 해상도를 갖는 다중 위성영상을 융합해 높은 시공간 해상도의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시공간 자료 융합을 적용할 수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중저해상도의 위성영상을 대상으로 시공간 융합 모델이 개발되어 왔기 때문에 고해상도 위성영상에 대한 기개발된 융합 모델의 적용성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KOMPSAT-3A 영상과 Sentinel-2 영상을 대상으로 기개발된 시공간 융합 모델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여기에는 예측을 위해 사용하는 정보가 다른 Enhanced Spatial and Temporal Adaptive Reflectance Fusion Model (ESTARFM)과 Spatial Time-series Geostatistical Deconvolution/Fusion Model (STGDFM)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시간적으로 연속적인 반사율 값을 결합하는 STGDFM의 예측 성능이 ESTARFM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KOMPSAT 영상의 낮은 시간 해상도로 같은 시기에서 KOMPSAT 및 Sentinel-2 영상을 동시에 획득하기 어려운 경우, STGDFM의 예측 성능 향상이 더욱 크게 나타났다. 본 실험 결과를 통해 연속적인 시간 정보를 결합해 상대적으로 높은 예측 성능을 가지는 STGDFM을 이용해 낮은 재방문 주기로 인한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