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H

검색결과 8,272건 처리시간 0.034초

KOH 활성화법으로 제조한 폐감귤박 활성탄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Activated Carbon Prepared from Waste Citrus Peel by KOH Activation)

  • 감상규;강경호;이민규
    • 공업화학
    • /
    • 제28권6호
    • /
    • pp.649-654
    • /
    • 2017
  • 제주도에서 다량 발생하고 있는 폐감귤박을 활성화제로 KOH를 사용하여 활성탄을 제조하였고, 제조된 활성탄의 특성을 검토하였다. KOH 침적비율(100~300%), 활성화 온도($400{\sim}900^{\circ}C$) 및 활성화 시간(0.5~1.5 h)의 조건에서 각 조건이 증가할수록 요오드 흡착능은 증가하였으나 활성탄의 수율은 감소하였다. 그리고 활성화 시간의 경우 1.5 h 이상에서는 요오드 흡착능 및 활성탄 수율에서 비슷하였다. 또한 KOH 침적비율이 증가할수록 비표면적 및 세공부피는 증가하였으나 세공크기는 감소하였으며, 제조된 평균 세공크기는 $20{\sim}25{\AA}$이었다. KOH의 침적비율 300%, 활성화 온도 $900^{\circ}C$, 활성화 시간 1.5 h에서 제조된 활성탄은 비표면적 및 요오드 흡착능이 각각 $1,527m^2/g$ 및 1,246 mg/g으로 가장 높았다.

KOH 첨착 활성탄에서 황화수소의 흡착 특성 (H2S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KOH Impregnated Activated Carbons)

  • 최도영;장성철;공경택;안병성;최대기
    • 공업화학
    • /
    • 제17권3호
    • /
    • pp.280-285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KOH를 첨착한 활성탄에서 황화수소의 흡착특성을 동특성 실험을 통해 관찰하였다. 특히 수분과 산소 농도가 흡착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KOH를 첨착시킨 활성탄의 표면적, 세공부피 및 크기 분포 등의 기공 특성들은 질소 흡탈착 등온선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흡착량은 Langmuir와 Freundlich 등온식으로 모사하였으며 KOH를 첨착시킨 활성탄에서 황화수소의 흡착량은 Langmuir 등온식으로 잘 묘사되었다. 산소 농도의 증가는 KOH 첨착 활성탄의 황화수소 흡착성능에 큰 영향을 나타내었다.

NaX 제올라이트 촉매에 담지된 KOH의 양에 따른 바이오디젤 합성 특성 (Characterization of NaX zeolite catalyst as the amount of KOH for the Biodiesel Production)

  • 김장미;김민규;장덕례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21-52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식물성유지와 메탄올로부터 전이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바이오디젤 제조에 사용되는 비균질촉매로 사용하기 위하여 NaX 제올라이트 촉매에 염기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KOH를 담지하여 담지량에 따른 바이오디젤 제조특성을 조사해보았다. KOH 담지량을 10wt% - 70wt%로 달리하여 Incipient wetness 방법으로 담지한후 $500^{\circ}C$에서 소성하여 촉매를 제조하고, 제조된 KOH의 담지량이 다른 KOH/NaX 제올라이트 촉매는 SEM, XRD, BET등을 통해 촉매특성을 평가하였고, 생성된 지방산 메틸에스테르는 가스크로마토그래피로 순도를 측정하였다. NaX 제올라이트 촉매에 KOH 담지량이 높은 경우와 촉매량이 많은 경우 바이오디젤제조에 유리하였고, 특히 반응시간과 반응온도는 $120^{\circ}C$, 2시간동안 반응한 경우 가장 좋은 지방산 메틸에스테르의 수율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알칼리금속염으로 처리된 활성탄에 대한 CO2의 흡착특성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CO2 on Activated Carbons Treated with Alkali-metal Salts)

  • 유동관;김성현
    • 공업화학
    • /
    • 제9권2호
    • /
    • pp.286-293
    • /
    • 1998
  • 연소배가스로부터 $CO_2$를 선택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활성탄 흡착공정 사용시 흡착능 향상을 위하여 $CO_2$와 친화력이 있는 화합물을 함침시키는 방법과 KOH를 함침시킨 후 고온에서 열처리하므로서 활성화시키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알칼리금속, 알칼리토금속, 또는 전이금속의 염화물을 함침시킨 활성탄에 대한 $CO_2$의 흡착량을 측정한 결과 함침 전의 활성탄의 흡착량보다 적었다. 이것은 함침되는 물질이 $CO_2$에 대한 친화력이 없이 단지 활성탄의 미세기공만 막는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알칼리금속수산화물 중 KOH를 함침시킨 활성탄에 대한 $CO_2$의 파과실험 결과 유입되는 기체에 수분이 있을 경우 흡착량이 증가했는데 이것은 KOH가 $CO_2$를 흡수하는 성질 때문이었다. 그러나 이 흡착제에 함친된 KOH가 $CO_2$와 반응하여 $K_2CO_3$로 변함에 따라 재현성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KOH를 함침시킨 후 $800^{\circ}C$에서 열처리하여 활성화시킨 활성탄의 경우 함침된 KOH의 양이 증가할수록 $CO_2$의 흡착량이 증가했으며, KOH와 활성탄의 무게비(KOH/Activated-Carbon)가 4일 때 최대였다. 이 흡착제에 대해 온도별로 측정된 $CO_2$의 흡착량으로부터 Clausius-Clapeyron식을 이용하여 등량흡착열을 구했다. 그리고 고정층 파과실험을 통해 $CO_2$농도와 유속에 따른 파과특성을 살펴보았다.

  • PDF

알칼리 활성화 슬래그 시멘트의 특성에 미치는 Al2O3의 영향 (The Influence of Al2O3 on the Properties of Alkali-Activated Slag Cement)

  • 김태완;강충현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8권2호
    • /
    • pp.205-212
    • /
    • 2016
  • 본 연구는 고로슬래그 미분말(GGBFS)의 구성성분이 알칼리 활성화 슬래그 시멘트(AASC)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산화알루미늄($Al_2O_3$)을 고로슬래그 미분말 중량에 대해 2~16% 혼합하였다. 활성화제는 KOH를 사용하였고, 물-결합재 비는 0.5이다. 강도 향상은 $Al_2O_3$ 혼합률이 증가함에 따라 수화반응의 향상으로 나타난다. 재령 28일에서 가장 높은 강도는 2M KOH + 16% $Al_2O_3$와 4M KOH + 16% $Al_2O_3$일 때이고 각각 30.8 MPa과 45.2 MPa이였다. 재령 28일에서 2M KOH + 16% $Al_2O_3$의 강도는 2M KOH ($Al_2O_3$ 미첨가) 보다 46% 향상되었다. 또한 4M KOH + 16% $Al_2O_3$의 강도는 4M KOH ($Al_2O_3$ 미첨가) 보다 44% 향상되었다. 결합재에서 $Al_2O_3$ 혼합률이 증가함에 따라 모든 재령에서 강도가 증가하였다. AASC에서 초음파속도(UPV)는 강도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흡수율과 공극률은 $Al_2O_3$의 혼합률이 증가함에 따라 강도경향과 상반된 경향을 나타내었다. $Al_2O_3$ 혼합률이 높은 시험체에서 반응생성물질의 Al/Ca와 Al/Si가 증가하였다. SEM과 EDX 분석을 통해 $Al_2O_3$의 혼합은 더욱 치밀한 미세조직을 형성한 것을 확인하였다.

KOH수열 처리에 의한 하동카오린으로부터 Zeolite의 합성 (KOH Hydrothermal Synthesis of Zeolites from Hadong Kaolin)

  • 이무강;신현무;임경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12호
    • /
    • pp.1321-1327
    • /
    • 2003
  • Two different kinds of cases, with and without addition of noncrystalline silica to the Hadong kaolin were studied to obtain useful information on the synthesis of zeolite.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ormation area and the crystalized degree of zeolite according to a synthetic time, the water content of raw material mixture, KOH concentration, and stirring intensity. In the case of without addition of noncrystalline silica to the Hadong kaolin and the low concentration range of KOH, the structure of the kaolin was not changed. However, when the mole ratio of K2O/SiO$_2$ in natural kaolin was increased, Linde-L zeolite and unknown structure of kaolins, U-1 and U-2 were produced. While in the high concentration range of KOH, the unknown structure of kaolins, U-6 and U-2, were produced and the production rate of U-6 was increased with the increased of K2O/SiO$_2$ mole ratio. In the case of with addition of noncrystalline silica to the Hadong kaolin and treatment with KOH hydrothermal processing, ZSM-5, ZSM-35, and Linde-L zeolites and the mixture of unknown structure of zeolites, U-1, U-2, U-3, and U-4, were obtained. Both cases demonstrated that the synthesis of zeolite from the Hadong kaolin was highly influenced by KOH concentration of raw material mixture.

$SO_2/KOH$ 촉매에 의한 2-Pyrrolidone의 음이온 중합에 관한 연구 (Anionic Polymerization of 2-Pyrrolidone by $SO_2/KOH$ Catalyst)

  • 허동섭;이정근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14권4호
    • /
    • pp.231-252
    • /
    • 1979
  • Polymerization of 2-pyrrolidone was carried out through anionic mechanism using $SO_2/KOH$ as catalyst. The effects of KOH concentration, $SO_2/KOH$ mole ratio and temperature on polymerization were investigated. The conversion and viscosity of polymers were measured at various polymerization conditions. It was observed that as the concentration of KOH was increased, equilibrium conversion was also increased. It was, however, found that after the concentration of KOH was reached above 8 mole percent, the equilibrium conversion was decreased. The highest rate of polymerization and maximum conversion were obtained when $SO_2/KOH$ mole ratio was around 0.5. It was also found that the rate of polymerization and the equilibrium conversion were higher at $50^{\circ}C$. than at $30^{\circ}C$. but the viscosity of polymer solution at $50^{\circ}C$. was not so high as expected. The rate constant, $K_p$ of polymerization, was determined by least square method: the value of $K_p$ was observed as 16 liter/mole hour at $50^{\circ}C$. and 2.6 liter/mole hour at $30^{\circ}C$., respectively. The mechanism of polymerization was also discussed.

  • PDF

$SO_2$/ KOH Catalysis에 의한 ${\varepsilon}$-Caprolactam의 음이온 중합 (제2보) (Anionic Polymerization of ${\varepsilon}$-Caprolactam via $SO_2$/ KOH Catalysis (II))

  • 서길수;최삼권
    • 대한화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32-138
    • /
    • 1977
  • $SO_2$/KOH 촉매에 의한 ${\varepsilon}$-caprolactam의 음이온 중합을 시도하였으며 얻어진 중합체의 percent conversion 및 중합에 미치는 여러 요인을 조사하였고 중합체의 물리적 성질 및 반응속도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SO_2$/KOH 촉매에 의하여 얻은 중합체는 hydrolytic polymerization에 의하여 제조된 nylon 6 보다 저온에서 중합이 가능하며 고유점도 및 융점이 더 높은 것으로 보아 중합도도 높으며 중합체의 분자 배열이 더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다는 것을 추리할 수 있었다.

  • PDF

Influence of KOH Solution on the Passivation of Al2O3 Grown by Atomic Layer Depostion on Silicon Solar Cell

  • 조영준;장효식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3년도 제45회 하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299.2-299.2
    • /
    • 2013
  • We investigated the potassium remaining on a 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 after potassium hydroxide (KOH) etching and its effect on the lifetime of the solar cell. KOH etching is generally used to remove the saw damage caused by cutting a Si ingot; it can also be used to etch the rear side of a textured 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 before atomic layer-deposited Al2O3 growth. However, the potassium remaining after KOH etching is known to be detrimental to the efficiency of Si solar cells. In this study, we etched a 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 in three ways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potassium remnant on the efficiency of Si solar cells. After KOH etching, KOH and tetramethylammonium hydroxide (TMAH) were used to etch the rear side of a 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 To passivate the rear side, an Al2O3 layer was deposited by atomic layer deposition (ALD). After ALD Al2O3 growth on the KOH-etched Si surface, we measured the lifetime of the solar cell by quasi steady-state photoconductance (QSSPC, Sinton WCT-120) to analyze how effectively the Al2O3 layer passivated the interface of the Al2O3 layer and the Si surface. Secondary ion mass spectroscopy (SIMS) was also used to measure how much potassium remained on the surface of the Si wafer and at the interface of the Al2O3 layer and the Si surface after KOH etching and wet cleaning.

  • PDF

KOH 활성화 효과에 의한 흑연나노섬유의 전기화학적 거동 (Effect of KOH Activation on Electrochemical Behaviors of Graphite Nanofibers)

  • 유혜민;민병각;이규환;변준형;박수진
    • 폴리머
    • /
    • 제36권3호
    • /
    • pp.321-32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화학적으로 활성 흑연나노섬유를 제조하여 그에 따른 전기화학적 거동을 확인하였다. 활성화제로 KOH를 사용하였으며, KOH와 흑연나노섬유의 비를 무게비로 각각 0, 1, 2, 4, 및 5로 처리하여 표면과 기공특성을 연구하였고, 그에 따른 전기화학적 거동을 살펴보았다. 활성화된 흑연나노섬유의 결정구조와 표면특성은 각각 X-선 회절분석법(XRD), 주사전자현미경(SEM)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으며, 기공 특성은 비표면적 장치(BET)를 이용하였으며 질소흡착 등온선에 의해 조사하였다. 전기화학적 특성은 10 mV/s의 주사속도로 순환전류전압(cyclic voltammetry)을 통한 곡선으로 고찰하였으며 정전류법(galvanostatic method)으로 측정된 충방전 곡선을 통해 비축전용량을 계산하였다. 실험 결과로부터, 활성 흑연나노섬유의 전기화학적 거동은 KOH 양이 증가함에 따라 향상되었으며, 4 배 처리된 활성 흑연나노섬유가 최대의 비축전용량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KOH 활성화에 의해 활성 흑연나노섬유의 비표면적과 기공부피가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