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NHANES VII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2초

음주 습관에 따른 혈중 지질 농도의 차이 비교에 대한 단면연구 :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활용 (A comparison of serum lipid concentration by drinking habits based on the 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 : a cross-sectional study)

  • 박창윤;김형숙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404-413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compared serum lipid concentration according to drinking habits. Methods: We analyzed data from the 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 The study included 8,525 adults (3,651 males and 4,874 females), aged 30 - 59 years. Results: There were differences in age, gender, education level, smoking status, physical activity, and waist circumference between drinkers and abstainers. The serum low-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LDL-C) level of the drinkers was lower than those of the abstainers (P < 0.05). The serum triglyceride (TG) and high-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HDL-C) concentrations were highest in the group that consumed alcohol 'more than twice a week' relative to the other groups (P < 0.001). The LDL-C and atherogenic index (AI) levels were lowest in the 'more than twice a week' drinking group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P < 0.001). The serum TG and HDL-C concentrations were the highest in the '7 glasses/time' group (P < 0.001). The serum LDL-C concentration was the lowest in the '7 glasses/time' group (P < 0.001). Notably, the higher the frequency of binge drinking (7 glasses or more), the higher the concentration of TG (P < 0.001). The serum HDL-C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o binge' and 'more than once a week' groups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P < 0.001). The serum LDL-C concentration and AI score were the lowest in the 'more than once a week' group (P < 0.001). Conclusions: As the quantity and frequency of drinking increased, the serum TC concentration increased. Moreover, an increase in the serum HDL-C concentration led to a decrease in AI. The factors exacerbating cardiovascular disease increased simultaneously due to drinking. Our results suggest that for individuals with hypertriglyceridemia and patients with low HDL-cholesterolemia, separate guidelines based on the quantity and frequency of alcohol consumption are warranted.

폐경 여성의 비만 및 신체활동과 골관절염 유병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obesity and physical activities and prevalence of osteoarthritis in menopause women)

  • 채현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217-225
    • /
    • 2020
  • 본 연구는 폐경 여성의 비만 및 신체활동과 골관절염 유병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7기 2차 년도(2017) 자료를 이차분석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7기 2차 년도(2017)에 참여한 19세 이상의 폐경 여성 1,516명으로, 연구 자료는 국민건강영양조사 홈페이지에서 다운받았으며, 자료 분석은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복합표본 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골관절염 유병율은 체질량지수가 저체중이거나 정상이고 복부비만도 없는 여성에 비해 체질량지수가 비만전단계 이상이고 복부비만은 없는 여성은 1.88배, 체질량지수가 비만전단계 이상이고 복부비만도 있는 여성은 1.98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폐경 여성의 골관절염 예방을 위해서는 비만의 예방 및 관리가 필요하며, 비만은 체질량지수 뿐 아니라 허리둘레를 기준으로 한 복부비만을 동시에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혈중 비타민 E 수준과 알레르기 비염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3차년도 자료 분석 (Serum Vitamin E levels and Allergic Rhinitis : Analysis of the KNHANES VII-3)

  • 이소나;최혜선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62-6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의 혈중 비타민 E 수준과 알레르기 비염의 위험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3차년도(2018) 빅데이터를 활용한 이차분석 연구이다. 자료분석은 SPSS 2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복합표본 빈도와 백분율, 복합표본 교차분석, t-test, ANOVA 그리고 Odds ratio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10세 이상 혈중 비타민 E 수준는 평균 12.60mg/L이었고, 의사로부터 알레르기 비염을 진단받은 사람은 15.9%였다. 연구 대상자의 혈중 비타민 E 수준이 낮을수록 알레르기 비염 유병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β=-0.05, p=.013). 따라서 한국인의 알레르기 비염 예방 및 관리를 위해서는 혈중 비타민 E 모니터링 및 비타민 E 를 포함한 항산화제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40세 이상의 노인성 안질환과 구강건강행태와의 관련성: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2차년도(2017) 자료를 이용하여 (Relation between age-related eye disease and oral health behavior: Using the seven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2), 2017)

  • 우경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0호
    • /
    • pp.535-543
    • /
    • 2021
  • 노인성 안질환과 구강질환은 비가역적 손상을 일으키기 때문에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나이관련황반변성(AMD) 및 녹내장과 같은 노인성 안질환과 구강건강행태와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제7기 2차년도(2017)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AMD 및 녹내장과 구강건강행태를 분석하였다. 녹내장과 AMD 유병자와 녹내장과 AMD 미보유자를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고, 복합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AMD 및 녹내장과 구강건강행태와의 위험비를 확인하였다. 황반변성 및 녹내장의 유무에 따라 연령, 학력, 구강위생용품 사용, 발음불편 호소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녹내장 유무는 성별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구강건강행태와 노인성 안질환과의 일부 변수에서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 구강건강행태는 AMD 및 녹내장 질환을 예방하는 데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구강건강행태에 대한 인식도가 더욱 높아져야 할 것이다.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이용한 성인 암경험자의 문제수면 위험군 예측: 2013-2016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분석 (Identification of Risky Subgroups with Sleep Problems Among Adult Cancer Survivors Using Decision-tree Analyses: Based on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rom 2013 to 2016)

  • 김희선;정석희;박숙경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0권2호
    • /
    • pp.103-113
    • /
    • 2018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problems associated with sleep (short and long sleep duration) and to identify risky subgroups with sleep problems among adult cancer survivors. The study is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 and VII) from 2013 to 2016. Methods: The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data of 504 Korean cancer survivors aged 20-64 years was extracted from the KNHANES VI and VII database. Descriptive statistics for complex samples was used, and decision-tree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WIN 24.0 program. Results: The mean age for survivors was approximately 51 years. The mean sleep duration was 6.97 hours; 36.2% of participants had short (< 7 hours) and 9.9% had long (> 8 hours) sleep duration. From the decision-trees analys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dult cancer survivors related to sleep problems were presented with six different pathways. Sleep problem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urvivors' sociodemographic information (age, education, living status, and occupation), clinical characteristics (body mass index, hypercholesterolemia, and anemia)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The HRQoL (${\leq}0.5$ or > 0.5 cutoff point)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the participants' sleep problems because all six pathways were started from this predictor in the model. Conclusion: Health care professionals could use the decision-tree model for screening adult cancer survivors with sleep problems in clinical or community settings. Nursing interventions considering these specific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HRQoL level should be developed to have adequate sleep duration for Korean adult cancer survivors.

한국 성인의 흡연 행태가 만성질환 유병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moking Behavior on Chronic Diseases in Korean Adults)

  • 박지연;구혜자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51-162
    • /
    • 2020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2차년도(2017)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성인의 흡연 행태가 만성질환 유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6,193명, 자료는 SPSS 25 프로그램으로 복합표본 빈도분석, 교차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로 흡연 행태 및 건강 행태만을 고려하였을때 흡연 시작 연령이 빠를수록, 현재 담배를 피우지 않으나 과거에 피운 경우에 만성질환 유병 정도를 각 각 1.30배, 2.75배 유의하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건강 행태와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동시에 보정하였을 때 연령이 높을수록 0.25배, 교육수준 대졸 이상에서 0.34배 만성질환 유병 정도를 유의하게 낮추며, 비만일 경우 4.04배 만성질환 유병 정도를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우리나라 성인의 만성질환 유병 정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흡연을 포함한 비만, 운동 부족 등의 생활습관 개선과 젊은 연령층에의 관심이 필요하고 금연을 포함한 건강관리를 올바르게 실천할 수 있도록 다학제간 적극적인 융합적 노력이 필요하다.

약물복용 중인 고혈압 환자의 혈압관리양상 예측을 위한 의사결정나무분석 (Decision-Tree Analysis to Predict Blood Pressure Control Status Among Hypertension Patients Taking Antihypertensive Medications)

  • 김희선;정석희;박숙경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1권1호
    • /
    • pp.85-97
    • /
    • 2019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levels of blood pressure and to identify good or poor blood pressure control (BPC) groups among hypertension patients. The study was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 and VII) conducted from 2013 to 2016. Methods: The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data of 4,151 Korean hypertension patients aged 20-79 years and who were taking antihypertensive medications was extracted from the KNHANES VI and VII database. Descriptive statistics for complex samples and a decision-tree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WIN 24.0 program. Results: The mean age was $62.46{\pm}0.21years$. The mean systolic blood pressure (SBP) was $128.07{\pm}0.28mmHg$, and the diastolic blood pressure (DBP) was $76.99{\pm}0.21mmHg$. 71.9% of participants showed normal blood pressure (SBP < 140mmHg and DBP < 90mmHg). From the decisiontrees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related to good BPC group were presented with 9 different pathways same as those from the poor BPC group. Good or poor BPC group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atients' characteristics such as age, living status, occupation, education, hypertension diagnosis period, numbers of comorbidity, perceived health status, total cholesterol,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alcohol drinking per month, and depressive mood. Total cholesterol level (< 201mg/dL or ${\geq}201mg/dL$ cutoff point)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the participants' BPC group. Conclusion: This decision-tree model with the 18 different pathways can form a basis for the screening of hypertension patients with good or poor BPC in either clinical or community settings.

Application of discrete Weibull regression model with multiple imputation

  • Yoo, Hanna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26권3호
    • /
    • pp.325-336
    • /
    • 2019
  • In this article we extend the discrete Weibull regression model in the presence of missing data. Discrete Weibull regression models can be adapted to various type of dispersion data however, it is not widely used. Recently Yoo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0, 11-22, 2019) adapted the discrete Weibull regression model using single imputation. We extend their studies by using multiple imputation also with several various settings and compare the res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the merit of using multiple imputation in the presence of missing data in discrete count data. We analyzed the seven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 from 2016 to asses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variable, 1 month hospital stay, and we compared the results using discrete Weibull regression model with those of Poisson, negative Binomial and zero-inflated Poisson regression models, which are widely used in count data analys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screte Weibull regression model using multiple imputation provided the best fit. We also performed simulation studies to show the accuracy of the discrete Weibull regression using multiple imputation given both under- and over-dispersed distribution, as well as varying missing rates and sample size. Sensitivity analysis showed the influence of mis-specification and the robustness of the discrete Weibull model. Using imputation with discrete Weibull regression to analyze discrete data will increase explanatory power and is widely applicable to various types of dispersion data with a unified model.

대한민국에서 비만에 대한 고감도 C-반응성 단백과 요산의 상호작용: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해서(KNHANES VII, 2016~2018) (The Interaction of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and Uric Acid on Obesity in Koreans: Based on the Seven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 2016~2018))

  • 표상신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342-352
    • /
    • 2021
  •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2016~2018)를 이용해서 고감도 C반응성 단백(hsCRP)과 요산의 비만에 대한 위험도와 상호 작용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비만은 체질량지수(BMI)가 25 kg/m2 이상으로, 중증 비만은 BMI가 30 kg/m2 이상으로, 병적 비만은 BMI가 35 kg/m2 이상으로 정의하였다. 복합표본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주요한 위험인자를 추가하여 보정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고농도의 hsCRP와 고농도의 요산이 동시에 존재하는 그룹은 기준 그룹보다 비만의 오즈비(odds ratio, OR)가 모든 단계에서 높았다(비만, OR 1.89, P<0.001 vs. 심한 비만, OR 5.04, P<0.001 vs. 병적인 비만, OR 8.20, P<0.001). 비만의 단계가 높아질수록 비만에 대한 hsCRP와 요산의 오즈비가 1.89에서 8.20으로 높아졌다, 이는 BMI가 증가된 참가자일수록 hsCRP와 요산의 관련성이 크다는 것을 암시한다. 더욱이, 복합표본 일반선형분석에서 주요한 교란 요인을 보정한 후 비만에 대한 hsCRP와 요산 사이의 상호 작용이 분석되었다(P for interaction=0.009).

성인 여성의 모유수유 예측요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3차년도(2018)의 2차 자료 분석 (Predictors of Breastfeeding in Adult Women: a Secondary Data Analysis of The Seven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VII-3), 2018)

  • 성지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440-448
    • /
    • 2020
  • 본 연구는 제7기 3차년도(2018) 국민건강영양조사 통계 자료 중 건강 설문 조사 결과를 토대로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관련 특성이 성인 여성의 모유수유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자료는 가중치를 적용하여 SPSS Win 22.0 프로그램의 복합표본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성인 여성의 모유수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복합표본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한 결과, 연령, 교육 수준, 흡연이 모유수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0-39세 연령군인 경우 19-29세 연령군인 경우보다 3.06배, 초등학교 이하의 학력인 경우가 대학 이상의 학력인 경우보다 4.70배, 비흡연자가 흡연자에 비해 2.51배 모유수유율이 높았다. 따라서 30세 미만의 연령의 경우 모유 수유에 대한 교육을 더욱 강화하고 40세 이상의 연령의 경우 모유생산량을 높이고 돌봄 제공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학력이 높은 경우에는 직장생활 등의 제한된 환경에서의 효율적인 모유수유 방법을 익히고 수유부를 배려하는 사회적 분위기 조성이 필요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여성 흡연자의 금연프로그램에는 임신 및 수유와 관련된 교육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