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DC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23초

KDC 제5판의 주기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otes Analysis of KDC 5th Edition)

  • 정옥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07-228
    • /
    • 2011
  • 분류표에서 주기는 분류항목과 기호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여 분류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향상시켜 준다. KDC에서도 여러 가지 유형의 주기를 사용하고 있으나, 급변하는 학문의 진전과 확대를 따르기에는 주기의 이용이 상당히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KDC에 적합한 주기유형과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하여 KDC의 주기유형의 변천과 DDC23판, NDC신정9판, KDC5판의 서문에 제시하고 있는 주기를 분석하고, 각 분류표에서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주기의 유형을 비교 분석하여 KDC5판의 주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KDC 4판의 역사류 관련 부문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Reform Measure for History Class in KDC 4)

  • 김자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353-370
    • /
    • 2005
  • 이 연구에서는 KDC 4판에 대한 개정 논의가 공개된 시점에서 KDC 제4판의 역사류(역사, 지리, 전기) 및 관련 보조구분(조기표)에 있어서 DDC, NDC, UDC 및 KDC의 관련부분들을 비교$\cdot$검토하여 KDC 해당 부분의 제반 문제점을 지적한 다음, 그 개선책을 제시함으로써 KDC 제5판의 개정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KDC 4판에서의 역사류(900)를 비롯하여 관련 보조표(지역구분표) 및 해설부분의 모순점이나 오류사항을 지적하면서 바로 잡는 것을 골자로 하여, 지역구분표(조기표)를 현실에 맞게 세분$\cdot$확장하고 역사총괄부분(900)이나 지리총괄부분(980)에 $\lceil$내부보조표$\rfloor$를 신설함으로써 누락되거나 혼잡스러운 부분을 수정$\cdot$보완하였고, 역사류(900), 민속학(380) 등의 세분 전개에 필요한 사람관련 보조표인 $\lceil$민족$\cdot$국가 군구분표$\rfloor$를 신설하였다. 그리고 연구진행에 따라 필요하게 된 분류주기를 해당부분에 구체적으로 설정하였다. 지면 제약으로 인해 일부 세분$\cdot$전개내용은 동일한 전개의 해당 다른 자료(분류표 등)를 안내하는 경우도 있으나 본 연구의 본질적 성격은 개정 시에 실제로 적용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의도된 것이다.

  • PDF

초등학교도서관을 위한 한국십진분류법 간략판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bridged KDC for Elementary School Libraries)

  • 김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5-23
    • /
    • 2006
  •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표준분류표인 KDC를 대상으로 분류체계는 그대로 따르면서 초등학교도서관 이용에 적합한 KDC 간략판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 초등학교도서관을 대상으로 실제로 소장된 문헌의 KDC 유별 현황을 분석하여 각 분류항목의 실제적인 문헌의 유별 분포도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국십진분류법해설에서 제시하고 있는 장서량에 따른 분류표의 활용지침을 보다 구체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근거를 바탕으로 2만권 전후의 초등학교도서관을 위한 KDC 간략판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KDC 역사보조학 분야 분류체계의 개선방안 (The Improvements of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Auxiliary Sciences of History Field in the KDC 5th Edition)

  • 이창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9-49
    • /
    • 2013
  • KDC 제5판의 역사보조학 중 고고학, 고문서학, 기록학, 계보학, 전기(傳記) 분야는 분류체계상의 문제점이 발견되어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첫째, LCC, DDC, KDC, NDC, UDC, CLC를 대상으로 역사보조학 분야를 비교 분석하여 KDC의 개선을 위한 착안점을 파악하고, 둘째, 도서관현장에서의 KDC를 사용한 분류실태를 조사하여 적용상의 문제점을 도출하며, 셋째, 파악된 착안점을 참작하여 KDC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KDC 예술류(600) 분류항목전개의 변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of Expansion of Classification Number of the Arts in KDC)

  • 정옥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09-122
    • /
    • 2010
  • 본 연구는 KDC 예술류의 분류항목의 전개가 초판에서 5판까지 개정되는 동안 어떻게 변천되었는지를 분석하여 KDC 예술류의 분류항목전개의 개선점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KDC 초판에서 5판까지 예술류에 사용된 용어의 변천, 보조표 및 주기의 변천과 분류항목전개의 변천을 분석하였다. KDC의 예술류는 3판까지 큰 변화가 없었으며, 분류항목전개의 변화는 4판과 5판에서 많이 이루어졌으나, 전판의 오류와 문제점이 완전히 개선되지는 않았으며, 포함주가 많아 분류항목의 전개가 다른 분류표보다 빈약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문제의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KDC 영화자료 분류체계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DDC 및 LCC와 비교하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lassification Schemes of Motion Picture Materials in KDC)

  • 이명희;이인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51-372
    • /
    • 2010
  • 다양한 영화자료의 적극적인 활용과 공유를 위해서 기존의 주요 분류표인 DDC, KDC, LCC의 분류체계를 알아보고, 영화자료의 특성과 함께 기존의 분류체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연구가 수행되었다. 세 체계를 비교한 결과, DDC와 LCC 분류표의 영화관련 항목은 비교적 상세히 전개되어 있었으나 KDC 5판의 영화 관련 항목 수는 매우 미흡하여 영화자료를 포괄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DC 5판에서는 영화자료의 분류가 4개 강 하에 22개의 하위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었지만 본 개선안에서는 9개의 강 하에 53개의 하위 항목을 세분하여 전개하였다. 특히 개선안에는 영화인물, 영화장르, 영화제, 각국의 영화 항목을 추가하였다.

  • PDF

음식 문화 분야에서 KDC의 변천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istorical Changes and Improvements in Food and Culture in the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 이미화;정연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17-137
    • /
    • 2010
  • 본 연구는 음식 문화 분야에 관한 한국십진분류법(KDC)의 역사적 발전을 고찰하고 음식 문화의 다양한 주제를 보다 더 효과적으로 분류할 수 있도록 KDC를 중심으로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KDC 안에 반영된 음식 문화 관련 기호와 항목명의 변천 과정과 더불어 KDC 5판으로 실제 음식 문화 관련 자료를 분류할 때의 문제점을 짚어본 후에 음식 문화 분야를 위한 KDC 5판의 개선 사항을 제시하였다. 음식 문화 분야에 있어서 KDC의 문제점은 분류항목명 및 포함주기의 부족으로 한식 관련 분류항목의 부족과 다양한 국가별 음식 특성이 반영되지 않았고, 색인 대상 및 구조가 검색하기 어려우며, 주기의 내용이 부족하고, 서양식 분류항목명을 번역하였기 때문에 우리나라 음식체계에 부합하지 않았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외국의 대표적인 분류 체계에 나타난 자국의 음식 문화와 외국의 음식 문화에 대해 비교하면서 분류항목명 및 포함주기의 내용 확장, 색인 대상 및 구조 변경, 주기의 상세화, 서양식 분류항목명의 변경을 제안하였다.

한의임상정보은행 활용도 제고를 위한 교육용 데이터 개발 (Development of Korean Medicine Data Center(KDC) Teaching Dataset to Enhance Utilization of KDC)

  • 백영화;이시우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42-247
    • /
    • 2017
  • Objective Korean medicine Data Center (KDC) has established large-scale biological and clinical data based on Korean medicine to demonstrate and validate its theor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KDC teaching dataset and user guideline to improve utilization of the KDC. Method KDC teaching dataset were selected using stratified random sampling according to the Sasang constitution (SC). This dataset included 72 variables of 500 sample subjects. The user guideline described how to conducted eight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using the teaching dataset. Results The KDC teaching dataset was sampled from 200(40%) Taeeumin, 125(25%) Soeumin, and 175(35%) Soyanain. It was consisted of questionnaire (basic, habit, disease, symptom), physical exam (body measurement, blood pressure), blood exam, and expert' SC diagnosis. The usage guidelines provided instruction for users to perform several statistical analysis step by step with KDC teaching dataset. Conclusion We hope that our results will contribute to enhancing KDC utilization and understanding.

KDC 제5판 철학류 항목 전개에 관한 소고 (An Analysis of the Class 'Philosophy' in the 5th Edition of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and Relative Index)

  • 강순애;김형숙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65-80
    • /
    • 2009
  • 이 논문은 KDC 제5판에서 개정된 철학류의 항목들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기존의 KDC 제1판부터 제4판까지 철학분류에서는 어떤 내용들이 전개되고 개정되고 변화되어왔는지 항목별로 비교한 결과 일부 용어의 변경이나 분류기호의 이동, 항목의 신설 및 삭제가 있긴 했지만 KDC 제1판의 기본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KDC 제5판에서는 형이상학과 인식론을 수정 전개하여 동위항목으로 배정하였고, 심리학 중에서는 자료가 늘어나는 양성심리, 발달심리, 상법 운명판단, 응용심리학을 확장 전개하였으며, 윤리학 도덕철학부분을 수정 전개하는데 역점을 두어 살펴본 것이다.

주요 십진분류표에서의 보조표 비교분석 연구 -DDC, KDC, NDC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Analysis Study on Auxiliary Tables of Decimal Classification - forced on DDC, KDC, NDC-)

  • 김정임;남태우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03년도 제10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83-94
    • /
    • 2003
  • 본 연구는 주요 십진분류표(DDC, KDC, NDC)에서 적용하고 있는 보조표의 기능을 분석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동일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는 DDC, KDC, NDC의 보조표를 분석하고 여기에서 추론된 보조표의 기능을 KDC에 적용시켜보고자 시도된 연구이다. 특히 KDC 5판을 준비하는데 사전 자료적 성격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