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AP3

검색결과 939건 처리시간 0.033초

초기상태가 불량한 자발성 뇌출혈 환자의 예후 - 70세 이상의 고령환자를 대상으로 - (The Prognosis of Spontaneous Intracerebral Hemorrhage in over the Seventies with Poor Initial Conditions)

  • 김주한;이자규;임동준;권택현;박정율;정흥섭;이훈갑;서중근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2호
    • /
    • pp.207-210
    • /
    • 2001
  • Objective : The prognosis of spontaneous intracerebral hemorrhage often depends on initial neurologic condition, size and location of hemorrhage and associated intraventricular hemorrhage. However, age of patient, coagulation state and other associated vascular diseases may also play a role when present. In recent years, the geriatric population has been increasing. The age distribution of the patients with intracerebral hemorrhages also has been increased, accordingly. However, such patients, especially when associated with poor initial conditions often tend to be managed rather conservatively. The authors analyzed retrospectively on forty-five patients with spontaneous intracerebral hemorrhage over the seventies with poor initial condition to find out whether there exists a difference of outcome between surgery and non-surgery group. Material and Method : A total of 45 patients over seventies with spontaneous intracerebral hemorrhage with Glasgow Coma Scale(GCS) 4-8 treated over last six years were included. The validity of surgical management for these patients as well as clinical variables which might have been operated on the outcome of these patients were evaluated. The Glasgow Outcome Scale(GOS) after three months was used for comparison of outcome. Results : In surgical group(19 cases), mean age was 74.5 years old, mean hematoma volume 67.2ml and mean GCS score 5.7 points. In nonsurgical group(26 cases), mean age was 79.3 years old, mean hematoma volume 32.1ml, and mean GCS score 6.8 points. Mortality rate in surgical group was 47.4%(9 patients), including 2 cases of post-operative rebleeding, while that in nonsurgical group was 46.2%. However, when patients with initial GCS 4-6 points and over 30ml in hematoma volume were regrouped, mortality rate in surgical group was 46.2%, whereas mortality rate in nonsurgical group was 66.7%. Conclusion : It is concluded that the mortality rate is much low in surgery group with initial GCS less than 6 points and hematoma volume over 30cc.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outcome in patients with basal ganglia and thalamic hemorrhage. However, surgical treatment lowered the mortality and morbidity rate in patients with subcortical and cerebellar hemorrhage.

  • PDF

지형모델 구축 방법에 따른 토공물량 산정의 정확도 평가 (Accuracy Evaluation of Earthwork Volume Calculation According to Terrain Model Generation Method)

  • 박준규;정갑용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47-54
    • /
    • 2021
  • 건설현장에서 토공물량 산정은 설계에서 시공에 이르기까지 공사비에 큰 영향을 주는 요소로 정확한 값을 산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토공물량 산정을 위해 드론 사진측량과 드론 LiDAR를 이용한 방법으로 지형모델을 생성하였다. 드론 사진측량 방법으로 연구대상지의 DSM (Digital Surface Model) 및 정사영상을 구축하였으며, 드론 LiDAR를 이용해 연구대상지의 DEM (Digital Elevation Model)을 구축하였다. 각각의 방법으로 생성된 지형모델에 대한 정확도 평가를 수행하여 각각의 방법이 수평방향 0.034m, 0.035m, 수직방향 0.054m, 0.025m의 차이를 나타내어 지형모델 구축을 위한 드론 사진측량과 드론 LiDAR의 활용성을 제시하였다. 연구대상지의 토공물량 산정 결과, 드론 사진측량은 GNSS 측량 성과와 1528.1㎥의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드론 LiDAR는 160.28㎥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토공물량의 차이는 식생 및 가건물로 인한 지형모델의 차이로 판단되며, 연구를 통해 드론 LiDAR에 의한 물량산정의 효율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측량과 드론 LiDAR를 활용한 방법으로 산림지역에서의 지형모델 구축 및 활용성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진다면 드론 LiDAR를 이용한 지형모델 구축의 활용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활엽수림(闊葉樹林)에 대(對)한 자원조사법(資源調査法)의 연구(硏究) (On the Study of Forest Sampling Methods in Natural Deciduous Forest)

  • 김갑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5-42
    • /
    • 1973
  • 천연활엽수림(天然闊葉樹林)은 수형(樹型)이 불규칙(不規則)하며 이용가치(利用價値)도 떨어진다. 우리나라에서의 활엽수림(闊葉樹林)은 대체(大體)로 오지(奧地)에 위치(位置)하고 있으며 개발(開發)에 문제점(問題點)이 허다(許多)하겠으나 총축적량(總蓄積量)이 부족(不足)한 현금(現今) 이의 개발이용(開發利用)의 필요성(必要性)이 대두(擡頭)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時點)에서 본(本) 연구(硏究)는 천연활엽수(天然闊葉樹) 조사(調査)에 알맞은 추출법(抽出法)을 구명(究明)하므로서 조사사업(調査事業)에 이바지할 수 있다고 하겠다. 본(本) 조사(調査)는 1. 10ha되게 3개소(個所)를 선정(選定)하고 이를 대상(對象)으로 4가지 추출법(抽出法)을 적용(適用)하여 0.1ha($20m{\times}50m$) 구형표본점(矩形標本點) 6개(個) 즉(卽) 6%의 추출율(抽出率)로 표본(標本)을 추출(抽出) 조사(調査)하였는데 조사결과(調査結果)는 표(表) 1과 같으며 적용(適用)된 추출법(抽出法)은 (1) 격자법(格子法)에 의(依)한 임의추출법(任意抽出法) (2) 좌표법(座標法)에 의(依)한 임의추출법(任意抽出法) (3) 선표본점법(線標本點法) (4) 부차추출법(副次抽出法)이다. 2. 1:15, 000 항공사진(航空寫眞)을 이용(利用)하여 위 지역(地域)을 포함(包含)하는 지역(地域)에서 150ha 되게 구획(區劃)한 후(後) Mirror Stereoscope로 임상(林相)을 구분(區分)하였다. 경급(經級)과 소밀도(疎密度)를 기준(基準)으로 구분(區分)하였더니 3계급(階級)으로 나눠졌는데 150ha에서 계통적(系統的)으로 7개(個)(추출율(抽出率) 0.46%)의 표본점(標本點)을 배치(配置)하고 현지(現地)에서 0.1ha 원형표본점(圓形標本點)을 조사(調査)하였는데 그 결과(結果)는 표(表) 4와 같다. 3. 추출법(抽出法)에 따른 값과 매목조사결과(每木調査結果)(모평균(母平均))와를 비교(比較)하였더니 유의차(有意差)가 없었다(표(表3)). 4.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로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격자법(格子法)과 선표본점법(線標本點法)에 의(依)한 조사(調査)가 타추출법(他抽出法)에 비(比)하여 양호(良好)하다. 2) 원형표본점(圓形標本點)을 사용(使用)했을때는 구형표본점(矩形標本點)을 사용(使用)했을때 보다 과대치(過大値)를 가져온다. 3) 천연활엽수림(天然闊葉樹林)은 임목(林木)이 고르게 서있지 않으므로 표본점(標本點)의 수(數)를 적게 취(取)하면 오차가 커질 위험(危險)이 있다.

  • PDF

Cumin(Cuminum cymium L.) seed로부터 정제한 $2-hydroxyethyl-{\beta}-undecenate$의 항치주염 효과의 효소학적 평가 (Enzymatic Assessment of $2-Hydroxyethyl-{\beta}-undecenate$ Purified from Cumin (Cuminum cymium L.) Seed for Anti-periodontitis)

  • 류일환;강은주;이갑상;박정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669-675
    • /
    • 2007
  • 본 연구자들은 Cumin(Cuminum cymium L.) seed로부터 정제한 $2-hydroxyethyl-{\beta}-undecenate$의 항치주염 활성을 사람의 백혈구를 이용하여 염증 매개물질 $LTB_4$ 및 PGs의 생성 효소인 5-lipoxygenase와 cyclooxygenase, 및 조직파괴 효소인 collagenase와 elastase의 저해 효과를 규명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HPS의 항치주염 활성을 사람의 백혈구를 이용하여 염증 매개물질 $LTB_4$ 및 PGs의 생성 효소인 5-lipoxygenase와 cyclooxygenase 및 조직파괴효소인 collagenase와 elastase의 저해효과를 규명한 결과, HPS은 $5\;{\times}\;10^{-2}\;M$ 첨가 시 97%의 PMNL로부터 $LTB_4$ 생합성이 저해되었으며 이때 $IC_{50}$ 값은 $2\;{\times}\;10^{-4}\;M$ 이었다. 균질화된 사람의 PMNL 5-lipoxygenase 및 시판 정제 5-lipoxygenase 활성에 대한 HPS의 저해 효과는 $5\;{\times}\;10^{-2}\;M$첨가 시 92%의 효소 활성이 저해되었다. 또한 효소 활성에 대한 $IC_{50}$ 값은 $2.5\;{\times}\;10^{-4}\;M$이었으며, 정제 5-lipoxygenase에 대한 $IC_{50}$ 값은 $2.3\;{\times}\;10^{-4}\;M$이었다. 또한 백혈구 COX 활성에 대한 $IC_{50}$ 값은 $5.1\;{\times}\;10^{-4}\;M$이었고, 정제 COX에 대한 $IC_{50}$ 값은 $2.3\;{\times}\;10^{-4}\;M$이었으며, 백혈구 collagenase 활성에 대한 $IC_{50}$ 값은 $2\;{\times}\;10^{-3}\;M$이었고 정제 collagenase에 대한 $IC_{50}$ 값은 $5\;{\times}\;10^{-2}\;M$이었다. 백혈구 elastase의 경우 $5\;{\times}\;10^{-2}\;M$ 첨가 시 66%의 활성이 저해된 반면 정제 elastase의 경우 $5\;{\times}\;10^{-2}\;M$ 첨가 시 25%의 효소 활성이 저해되었다. 또한 백혈구 elastase 활성에 대한 $IC_{50}$ 값은 $7.5\;{\times}\;10^{-3}\;M$이었다. 인체 치은세포에 대한 독성 시험 결과 $5\;{\times}\;10^{-2}\;M$의 HPS 첨가시 세포의 활성은 배양 2일째 47.83%로 나타났으며, $1\;{\times}\;10^{-2}\;M$의 HPS 첨가시에도 68.53%로 나타나 비교적 세포독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천년초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 (Antioxidants and Anti-obesity Activities of Hot Water and Ethanolic Extracts from Cheonnyuncho (Opuntia humifusa))

  • 김대중;정지훈;김선구;이효구;이성갑;홍희도;이부용;이옥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66-373
    • /
    • 2011
  • 최근 천년초 선인장은 녹차 및 양파와 같은 피토케미칼(phytochemical)에 함유된 페놀성 화합물의 중요한 소재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천년초 열수 및 80% 에탄올 추출물의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활성(DPPH 라디칼 소거능 및 환원력) 및 항비만 활성을 평가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천년초 열수 추출물 및 8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16.52{\pm}3.87$$13.44{\pm}0.85$ mg GAE/g로 나타난 반면, 총 폴라보노이드 함량은 80% 에탄올 추출물에서만 778.08 ${\mu}g$ CE/g의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환원력과 같은 항산화 활성은 80% 에탄올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3T3-L1의 분화 과정 중의 천년초 추출물들은 50, 100, 200 및 400 ${\mu}g$/mL 농도범위에서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세포내 지방의 축적량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천년초 80% 에탄올 추출물은 열수 추출물에 비해 세포내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세포 분화에 관련된 전사인자($PPAR{\gamma}$) 및 타깃 유전자인 aP2의 발현율도 천년초 추출물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들의 결과로 비추어 불 때, 천년초 추출물에 함유된 페놀성 화합물 빛 플라보노이드 화합물들은 $PPAR{\gamma}$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여 지방세포 분화를 억제하거나 항산화 활성이 연계된 항비만 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DMZ 일원의 관속식물상 I - 민통선 이북 서부지역(파주-연천) -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the West Side of DMZ Area)

  • 이승혁;최승세;이두범;황승현;안진갑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8
    • /
    • 2016
  • 본 연구는 민간인출입통제구역 서부전선(파주-연천) 일대의 식물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확증표본을 근거로 한 민통선 이북 서부지역의 관속식물은 109과 330속 501종 8아종 48변종 1품종의 총 55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한반도에 분포하는 식물종은 최근에 유입된 귀화식물을 비롯하여 약 4,880여종의 식물이 보고되었으며 한반도 전체 식물의 약 11% 정도가 민통선 이북 서부지역 일대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생물은 II급 층층둥굴레 1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태풍전망대에서 임진강에 이르는 군작전로 가장자리에 3개체가 생육하였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V등급 3분류군, IV등급 3분류군, III등급 13분류군, II등급 13분류군, I등급 22분류군으로 구성되었다. 한반도 고유식물은 고려엉겅퀴 등 4분류군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 숲 절개지 또는 숲 가장자리에 분포하였다. 희귀식물은 위기종(EN) 층층둥굴레 1분류군, 취약종(VU) 느리미고사리 등 4분류군, 약관심종(LC) 쥐방울덩굴 등 6분류군으로 총 1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총 51분류군으로 귀하율은 9.14%, 도시화지수는 15.89%로 산출되었으며 환경부지정 생태계교란식물은 단풍잎돼지풀 등 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DMZ 생태축의 서부지역 식물상 연구를 수행하고 주요 식물의 분포 양상과 보존대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사지 구제술 합병증 치료에서 연부조직 연장을 위한 한시적 외고정 기기의 유용성 (Temporary Use of External Fixators for Soft Tissue Lengthening in the Treatment of Complications after Limb Salvage Surgery)

  • 윤필환;강현귀;김갑중;오주한;이상훈;이상기;김한수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34-140
    • /
    • 2005
  • 목적: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 술 후 발생한 심부감염, 해리, 또는 하지 단축 등의 합병증으로 종양 대치물을 제거한 후 단계별 치료를 하는 과정에서 연부 조직 구축으로 인해 초래되었거나 또는 합병증 치료 시작 당시부터 있었던 하지 단축에 대하여 연부조직 연장 만을 위하여 외고정 기기를 한시적으로 사용한 결과를 평가하고 그 유용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악성 골 종양으로 종양대치물을 이용하여 사지구제술을 받은 후 발생한 합병증으로 연부 조직 구축 및 하지 단축이 발생되어, 연부 조직 연장을 위해 외고정 기기(Dyna-extor$^{(R)}$)를 사용하였던 5명의 환자 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외고정 기기는 골격 결손부위의 근위와 원위 정상 뼈 부분에 금속핀을 삽입 후 설치 하였다. 외부 고정기 연장은 술 후 약 3일부터 하였으며,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범위에서 하루에 2~3 mm 이상씩 시행하였다. 결과: 치료 부위는 원위 대퇴골이 3예, 근위 경골이 2예였다. 최초 사지 구제술시의 평균연령은 13.4세(9~19세)였으며, 외부 고정기를 설치할 때의 평균연령은 22.2세(15~29세)로 최초 사지구제술 후 합병증으로 하지 단축이 발생되어 외부 고정기를 설치할 때까지의 기간은 평균 8.8년(3~14년)이었다. 4명의 환자 5예에서 평균 착용 기간은 37일(25~50일)에 평균 5.8 cm을 연장 하였으며, 1명의 환자는 150일 동안 착용하여 7.2 cm을 연장하였다. 외부 고정기 제거 3명의 환자에서 종양 대치물을 재삽입 하였고, 2예의 환자는 슬관절 유합술을 시행하였다. 이후 평균 추시 기간은 22개월이었으며 감염은 재발하지 않았다. 결론: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 후의 합병증으로 또는 합병증의 치료 과정에서 초래되는 연부 조직 구축과 하지 단축에 대하여 외고정 기기를 한시적으로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하지 길이를 연장할 수 있었으며, 추후 종양 대치물 재 삽입이나 관절 고정술의 수술을 용이하게 해줄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 PDF

개에서 Ascorbic Acid가 피부 결손창 치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scorbic Acid on Full-thickness Skin Wound Healing in Dogs)

  • 김정훈;정종태;박현정;김재훈;이경갑;손원근;강태영;윤영민;황규계;박종국;이주명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42-347
    • /
    • 2005
  •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healing effects of ascorbic acid on full-thickness skin wound in dogs. Four $2.5\pm2.5cm$ full-thickness skin wounds were created bilaterally on the dorsolateral aspect in each of 5 dogs. The ten wounds were treated with ascorbic acid solu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ten wounds were treated with $0.9\%$ saline in the control group. The wound healing area was measured every other day for 3 weeks after the wounding.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paired t-test. On the $1^{st},\;3^{rd},\;5^{th},\; 7^{th},\;9^{th},\;11^{th},\;13^{th},\;15^{th},\;17^{th},\;19^{th},\;21^{st}days$, the wound healing rates were $12.6\pm9.6\%,\;9.5\pm9.8\%,\;18.9\pm9.0\%,\;39.2\pm5.4\%,\;62.2\pm4.6\%,\;86.9\pm1.9\%,\;92.9\pm1.8\%,\;96.6\pm1.6\%,\;99.1\pm0.5\%,\;99.8\pm0.2\%,\;99.9\pm0.1\%$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9.1\pm6.0\%,\;9.2\pm6.0\%,\;12.2\pm5.0\%,\;41.3 \pm6.3\%,\;54.2\pm9.2\%,\;81.0\pm2.6\%,\;85.7\pm2.8\%,\;92.3\pm1.5\%,\;96.1\pm0.7\%,\;98.0\pm0.8\%,\;99.5\pm0.2\%$ in the control group On the $15^{th}$ day, the wound closed above $99\%$ in 2 dogs of the experimental group. On the $17^{th}$ day, the wound closed above $99\%$ in 3 dogs of the experimental group. On the $19^{th}$ day, the wound closed above $99\%$ in 5 dog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2 dogs of the control group. On the $21^{st}$ day, the wound closed above $99\%$ in 5 dog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4 dogs of the control group. The wound healing rat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2\~4$ days fast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tensile strength was $4,169\pm1,107g/cm^2$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438\pm637g/cm^2$ in the countrol group on the$21^{st}$ day after wounding. Tensile strength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p<0.05). The histopathological finding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on the $1^{st},\;3^{rd}\;and\;5^{th}$days. Inflammation and revasculariza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on the $9^{th},\;13^{th}\;and\;21^{st}$days. The formation of collagen and reepithelialization were more developed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on the $9^{th},\;13^{th}\;and\;21^{st}$days. Significantly higher wound healing rate, tensile strength and better histopathological findings were obser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opical application of ascorbic acid on full-thickness skin wounds can promote wound healing process.

경항통에 관한 침구임상 진료지침 개발을 위한 전자우편 설문조사 (The E-mail Survey on the Neck Pain for Acupuncture and Moxibustion Clinical Guideline)

  • 김현욱;김성수;남동우;김은정;홍권의;김성철;김선웅;이재동;김갑성;이건목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6권3호
    • /
    • pp.67-80
    • /
    • 2009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urvey is the development on the neck pain for acupuncture and moxibustion clinical guideline. Methods : The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the committee of experts who major in acupuncture & moxibustion or statistics for acupuncture clinical trial protocol development.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via e-mail to 75 members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57 members completed answers, and the computeriz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17.0 statistical program. Results and Conclusions : 1. The first selected pattern identification on the neck pain This study shows that the meridian pattern identification was selected 35 times(61.4%), the pattern identification based on cause of disease was selected 8 times(14.0%), the visceral pattern identification was selected 7 times(12.3%), the other pattern identification was selected 4 times(7.0%), Qi blood yin yang pattern identification was selected 2 times(3.5%), according to symptoms was selected 1 time(2.4%). 2. Meridian pattern identification Small intestine meridian of hand Taeyang was used 39 times(18.1%), Large intestine meridian of hand Yangmyeong and Bladder meridian of foot Taeyang was used 34 times(15.7%), Gall-bladder meridian of foot Soyang was 32 times(14.8%), Tripple energizer meridian of hand Soyang was used 31 times(14.4%), Governor meridian was used 30 times(13.9%), Lung meridian of hand Taeeum was used 8 times(3.7%), Heart meridian of hand Soeum and Pericarduim meridian of hand Gworeum was used 4 times(1.9%). 3. Pattern identification based on cause of disease Wind-Cold-Dampness was used 31 times(17.5%), Accumulation of the collateral by Phelgm-Dampness was used 16 times(14.0%), affection by exopathogen Wind-Cold(stiff neck, sprain of cervical) was used 13 times (11.4%), Defecient-Cold was used 10 times(8.8%), affection by exopathogen Wind-Dampness was used 9 times(7.9%), Deep Invasion by Wind-Cold was used 8 times(7.0%), Wind-Cold was used 7 times (6.1%), Wind-Cold was used 6 times(5.3%), Accumulation in the Center by Phelgm-Dampness, Imparement of bou fluid by Pathogenic Heat, Wind-Heat with Dampness was used 5 times(4.4%), affection by exopathogen Wind-Dampness and Accumulation of the collateral by Wind-Cold was used 4 times(3.5%), Invasion of Dampness-Heat was used 2 times(1.8%). 4. Visceral pattern identification Rising of the Liver yang was used 16 times(41%), Yin deficiency of Liver and Kidney+pathogens was used 15 times(38.5%), Yin deficiency of Liver and Kidney was used 8 times(20.5%) on this survey.

  • PDF

과두흡수환자의 자기공명영상 사진 평가 및 악안면 골격형태에 대한 연구 (Clinical Assessment, Panoramic and MRI Findings and Cephalometric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Condylar Resorption)

  • 장헌수;허윤경;김균요;고유정;채종문;최재갑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4권4호
    • /
    • pp.409-420
    • /
    • 2009
  • 2006년 한 해 동안 경북대학교 구강내과에 내원한 하악과두흡수 환자 중에 MRI를 촬영한 42명을 대상으로 임상적 평가와 관절원판의 위치와 과두의 흡수 형태를 조사했으며 그리고 악안면 골격형태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임상적 평가 1) 여자가 34명, 남자가 8명으로 여자가 훨씬 많았으며, 이들의 연령분포는 10대가 14명, 20대가 13명, 30대가 7명, 40대가 3명, 50대가 4명 그리고 60대가 1명 이었고 10대와 20대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2) 대부분의 환자가 이상기능활동을 보고했다. 3) 다른 관절의 통증을 호소한 환자는 5명 있었지만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자가면역질환으로 진단 받은 경우는 없었다. 2. 파노라마와 자기공명영상 소견에 대한 평가 1) 파노라마로 하악과두 골변화 관찰시에 과두의 편평화나 침식, 과두형태의 변형이 초래된 Grade II에 해당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2) MRI를 촬영해 관절원판의 변위 여부와 과두형태 변화를 관찰 시에 비정복성 관절원판전위소견과 퇴행성 골변화가 동반된 stage IV에 해당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3. 악안면 골격 형태 평가 1) 여자 환자에서는 SN, SAr, saddle angle의 값이 정상군 보다 유의하게 작은 값을 나타냈고, 남자에서는 SN만이 유의한 작은 값을 보였다. 2) SNA는 정상군과 차이가 없었으며, SNB는 남녀 모두에서 유의하게 작은 값, ANB는 남녀 모두에서 $4.9^{\circ}$로 유의한 큰 값을 보였다. 3) 남녀 모두 SN-GoMe, FMA의 각도가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컸으며 FMA는 남자는 평균 $28.9^{\circ}$, 여자는 평균 $31.2^{\circ}$로 여자에서 수직적 성장이 더 크게 나타났다. 4) 총후안면고경(TPFH)은 남녀 모두 유의한 작은 값을 보였다. 5) Ramus height은 남녀 모두 유의하게 작은 값을 보였다. 6) Mandibular body length는 정상군과 차이가 없었다. 이들 결과들로 하악과두흡수는 소인인자로 수직적 악안면 골격형태로 인한 부하의 집중과 이상기능활동 증가로 측두하악 관절에 기계적 과부하가 가해져 과두흡수가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하며 이러한 부하는 과두흡수가 발생하기 전에 관절원판을 변위시키고 형태를 변화시키며 이로써 관절은 부하를 받아들이기에 더 취약한 구조가 되어 부하가 가해지면 과두흡수가 촉진되리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