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AIS TOOL

검색결과 373건 처리시간 0.03초

싱글타입 공구를 사용한 금형리브 가공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ib mold processing using a single type of tool)

  • 이승철;박석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3151-315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전자부품 및 소형 플라스틱제품에서 많이 사용하는 리브(rib) 가공에 있어 기존 플렛형 2날(2F)공구와 외날형 공구(1F)의 비교실험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직선가공의 표면거칠기 및 공구마모는 기존 플렛형의 스트레이트 구조를 갖는 공구가 좋은 결과를 보였다. 깊이 7mm 리브 가공이 기존 공구에 비해 개발공구의 표면거칠기가 약 50%정도 양호하게 나타났다. 가공시간 또한 리브 형상별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기존 공구에 비해 약 3배 정도 빠르게 가공할 수 있었다.

전기품질 분석을 위한 고조파 해석 기법 (Harmonic Analysis Method for Power Quality Problems)

  • 사근하;이의용;설용태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1년도 추계산학기술 심포지엄 및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147-149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산업용 전력시스템의 전기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고조파 해석기법을 제시하였다. 먼저 수변전계통의 전압강하, 고조파, 고장전류 등을 PTW Tool을 이용해서 시뮬레이션 하였으며, 실제 계통에서의 운전중 고조파 현상을 실측치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기존 시뮬레이션 기법의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육군 전자식 기술교범 개선방안 연구 (An Improvement Plan of the Interactive ROK Army Interactive Electronic Technical Manuals)

  • 이판주;심상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399-406
    • /
    • 2020
  • 대한민국 육군이 창군 이후부터 무기체계의 운용유지를 위해서 책자형 기술교범을 개발하여 운용하였으나, 최신 무기체계가 개발 될수록 방대한 분량으로 인하여 효율적인 운용이 제한되었다. 이에 대한 대책의 하나로서 방위사업청에서 관리하는 KAIS 개발도구를 적용하여 전자식 기술교범을 2003년부터 현재까지 개발하여 운용하고 있다. 하지만 16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소프트웨어 불안정 등의 이유로 운용자에게 외면당하고 있었다. 이에 육군본부 시험평가단 운용시험평가 결과와 분석평가단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소프트웨어(Application)는 Wed 기반에서 사용 시 추가 기능 설치의 번거로 움과, 버전별 호환성이 없어서 효율성이 떨어지고, 확장성이 없어서 통합운용이 제한되며, Off-Line 운용방식으로 실시간 업데이트가 이루어지지 않고 CD를 통한 부대별 수정 등으로 시급히 KAIS 개발도구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재 육군 전자식 기술교범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1차는 관련 연구를 통하여 선진국 및 육군의 전자식 기술교범의 개발 동향과 운용실태를 확인한 후 국내 운용시험평가 결과와 분석평가단 분석결과를 중심으로 육군의 무기체계에 맞는 전자식 기술교범의 규격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2차는 전자식 기술교범을 중심으로 종합군수지원 11대 요소를 연계한 운용시험평가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공구 수명 예측 최적화 (Optimization of the Tool Life Prediction Using Genetic Algorithm)

  • 공정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338-343
    • /
    • 2018
  • 최근 금형산업과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되고 있는 CNC 공작기계는 제품 공정 증가에 따라 작업효율, 생산 품질과 작업자의 안전성이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4차 산업으로 산업구조가 바뀜에 따라 CNC 공작기계는 기존의 고정밀, 고능률화를 넘어 ICT 스마트 가공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CNC 절삭가공 시 생산제품의 품질을 균일하게 하고 재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공구 수명 예측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과정에서 기존의 확장된 Taylor 공구 수명식을 이용하여 공구 수명을 예측하였을 경우 예측결과와 실제 실험 결과와의 오차가 상당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공구 수명 관련 가공 실험을 통해 공구 수명에 대한 데이터를 확보 한 후 이를 기초로 유전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최적의 공구 수명 매개변수를 추정하였다. 이때 공구 수명에 관련하여 공구 마모 관련 정보를 삽입하여 공구 마모량에 따른 공구 수명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이를 통해 공구 수명식을 보다 정확하게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국어판 비정신과 간호사의 행동건강간호역량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Korean Version of Behavior Health Care Competency on Non-psychiatric Nurse)

  • 한정원;우희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426-432
    • /
    • 2016
  • 본 연구는 Rutledge와 그의 동료들이 개발한 Behavior Health Care Competency (BHCC) 도구를 한국어로 번역 및 수정하여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서울 소재의 4개의 상급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을 230명을 대상으로 하여 내용 타당도, 구성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4요인과 총 16개 문항으로 분석되었으며,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도구임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의 비정신과 간호사들의 정신간호와 관련된 행동건강간호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마련하여 비정신과 병동의 간호사들도 대상자들의 신체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잠재적인 정신과적 문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전통악보 정간보를 위한 저작도구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JungGanBo Authoring Tool for Traditional Korean Music)

  • 이상범;이용훈;최이권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550-558
    • /
    • 2010
  • 정간보는 우리나라 전통 음악을 기보하는 기법을 말한다. 한자를 사용해야하기 때문에 표기기법이 복잡하고 또한 모든 것을 수작업을 하기 때문에 전문가가 아니면 사용하기가 어렵다. 본 연구를 통해 설계 및 구현한 정간보 저작도구는 컴퓨터를 통하여 누구나 손쉽게 국악보를 작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소프트웨어이다. 손으로 작업했을 때 각 개인의 필체나 취향에 따라 차이가 나는 부분을 이 프로그램을 통해 표준화 시켜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개발된 저작도구는 널리 사용되는 한글이나 워드 등과 환경이 비슷하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파일 형식으로 악보를 관리 할 수 있으며 편집과 인쇄 등도 자유롭고 사용법이 간편하기 때문에 초보자도 조금만 배우면 익힐 수 있다. 또한 전문가는 자신의 사용 용도에 맞게 원하는 작업을 모두 수행 할 수 있다.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다양한 운영체제 플랫폼을 위한 노드 소프트웨어의 효율적인 개발을 지원하는 도구 (A Tool to Support Efficient Development of Node Software for Various Operating System Platforms in Sensor Network Environment)

  • 이우진;최일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4536-4544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센서 네트워크에서 다양한 운영체제 플랫폼을 위한 노드 소프트웨어를 효율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개발 도구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도구는 그래픽 모델 다이어그램 작성, PIM 및 PSM 설계, 코드 자동 생성, 배포 파일 자동 생성 등을 위한 모듈로 구성된다. 제안하는 도구를 통하여 사용자들이 전체적인 센서 네트워크 모델을 작성하고, 속성값을 설정함으로써 각 노드 소프트웨어에 대한 PIM과 타겟 플랫폼에 대한 PSM을 설계하면, PSM에 대한 정보와 타겟 플랫폼에 대한 코드 템플릿을 바탕으로 소스코드가 자동으로 생성된다. 그리고, 응용 소프트웨어 코드를 바탕으로 각 노드에 설치할 수 있는 배포파일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제안하는 도구는 사용자들이 센서 네트워크에 대한 low-level의 정보를 상세히 알지 못하더라도 손쉽게 다양한 플랫폼에 대한 노드 소프트웨어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해준다.

공작기계 주축 시스템의 유한요소해석 자동화를 위한 툴 개발 (Development of a tool to automate finite element analysis of a spindle system of machine tools)

  • 최진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350-235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축과 베어링으로 구성된 공작기계 주축 설계를 위한 1차원 유한요소 해석을 자동화하기 위한 툴을 개발하였습니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CAD 시스템의 객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스핀들 시스템을 정의하기 위한 축의 단면과 베어링 강성과 같은 최소한의 데이터를 입력할 필요가 있으며, 그 데이터를 기반으로 형상 모델을 먼저 만들고, 그리고, 1차원 빔과 스프링 요소로 구성된 유한요소 모델로 변환합니다. 본 툴을 위해서 개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툴과 상호교류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본 툴은 다수의 설계 변경과 그 후에 수행되는 유한요소해석 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최소한의 시간과 노력으로 공작기계 주축 시스템의 근사 최적 설계를 발견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