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2PS

검색결과 1,086건 처리시간 0.029초

나일 틸라피아에 대한 질병예방제 및 면역보조제로서의 PS-K 효과 분석 (Effect of PS-K on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as an adjuvant and prophylactic agent)

  • 박경현;하재이;허민도;허성회;정현도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5-52
    • /
    • 1997
  • 단백질 결합 다당류인 PS-K가 Edwardsiella tarda의 감염에 대한 나일 틸라피아(Oreochromis niloticus)의 저항력 증강 효과에 대한 능력분석을 실시하였다. PS-K를 0.1 mg/g 어체중의 농도로 처리한 나일 틸라피아에 대하여 여러 농도외 E. tarda로 공격 실험을 하였다. 저농도($1.2{\times}10^7$ 그리고 $1.2{\times}10^8$ cfu/틸라피아)의 공격에 대하여 PS-K 처리구는 100% 생존율을 나타내었고 대조구는 각각 50%와 100%의 폐사율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고농도의 E. tarda($1.2{\times}10^9$ 그리고 $1.2{\times}10^{10}$ cfu/틸라피아) 공격에 대해서는 약간의 수명 연장효과만 있었을뿐 대조구와 같이 100%의 폐사율을 보여 주었다. E. tarda($1.2{\times}10^7$ cfu/틸라피아) 공격 1주일 후 PS-K를 복강 투여한 나일 틸라피아는 100%의 생존율을 나타내었으나 대조구는 50% 생존율을 나타내어 PS-K가 가지고 있는 치료제로서의 잠재력을 보여 주었다. 그리고 PS-K 투여 1주일 후 주사된 E. tarda FKC에 대하여 보여준 나일 틸라피아의 높은 항체 반응은 PS-K가 어류의 특이 액성 면역반응에 관여하여 어류가 세균 감염시 높은 저항성을 갖게 하여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Polysulfone으로 제올라이트 A를 고정화한 방사성 물질제거용 PS-zeolite 비드 제조 (Preparation of Novel PS-zeolite Beads Immobilized Zeolite with Polysulfone for Radioactive Materials)

  • 이창한;박정민;감상규;이민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45-151
    • /
    • 2015
  • 수중의 Sr과 Cs 이온을 제거하기 위하여 폴리술폰(polysulfone, PS)을 이용한 제올라이트 고정화로서 PS-zeolite 비드를 제조하였다. PS-zeolite는 SEM, XRD, FT-IR, TGA를 이용하여 특성 및 구조를 분석하였다. PS-zeolite 비드를 제조하기 위한 최적조건은 PS 1.25 g과 제올라이트 A 2 g이었다. 용액 pH의 증가에 따라 PS-zeolite 비드에 의한 Sr과 Cs 이온의 제거효율은 증가하였지만, pH 4 이상에서 일정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조된 PS-zeolite 비드는 $Na^+$, $K^+$, $Mg^{2+}$$Ca^{2+}$와 같은 공존이온이 존재하더라도 Sr과 Cs 이온에 대한 높은 선택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흡착과정에서 PS-zeolite 비드로부터 제올라이트 입자가 탈리되지 않았으며, PS-zeolite 비드는 SEM 이미지 상에서 구조가 유지되었다. PS-zeolite 비드에 의한 Sr과 Cs의 제거효율은 5회 흡착-탈착 실험을 반복하여도 90% 이상 유지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결과로서 PS-zeolite 비드가 Sr과 Cs 이온의 흡착제로서 적용가능하다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PS-zeolite는 산업폐수처리를 위한 방사성 이온 제거용 흡착제로서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소맥근권(小麥根圈)에서 분리(分離)한 형광성(螢光性) Pseudomonas spp. 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fluorescent Pseudomoηas isolated from the wheat rhizosphere)

  • 이명철;김용웅;김광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52-159
    • /
    • 1990
  • 밀의 근권(根圈)에서 병원성(病原性) 사상균(絲狀菌)에 대해 길항성(拮抗性)이 높은 균주(菌株)를 분리(分離), 동정(同定)하여 연작장해(連作障害)의 피해경감과 생물방제(生物防除)의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삼고자 그 균이 생성(生成)하는 siderophore에 의한 사상균(絲狀菌)의 생육(生育) 저해력(沮害力)을 조사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밀의 근권(根圈)에서 형광성(螢光性) 세균(細菌)을 선별하여 R. solani, F. oxysperum, F. solani에 대한 생육저해(生育沮害)가 큰 (10mm이상) 균주(菌株)를 P. fluerescens Biovar I(Ps-1, Ps-2, Ps-5)과 Biovar II(Ps-3)로 동정(同定)되었다. 2. 선발균주(選拔菌株)가 생성(生成)하는 색소(色素)는 green-yellow 로 410nm에서 최대의 흡광도(吸光度)를 나타내었다. 3. Siderophore는 $Fe^{+3}$의 첨가시 생성량(生成量)은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Fe^{+2}$의 첨가시에는 생성량(生成量)의 감소는 보이지 않았다. 4. 선발균주(選拔菌株)중 Ps-5가 생성(生成)한 색소(色素)는 R. solani의 생육(生育)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FeSO_4$의 처리시 생육(生育)이 증가되었다. 그러나 균주(菌株) Ps-1, Ps-2, Ps-3가 생성(生成)한 색소(色素)는 R. solani, F. oxysperum, F. solani에 대한 생육저해(生育沮害)는 컷으며 $Fe^{+2}$의 첨가시 저해력(沮害力)은 현저히 감소되었다. 5. 암소재배법(暗所栽培法)을 이용한 오이의 연작지토양(連作地土壤)에 오이를 파종하여 접종효과(接種效果)를 본 결과(結果) Ps-2>Ps-1>Ps-5>Ps-3의 순(順)으로 접종효과(接種效果)가 있었으며 Ps-1과 Ps-2는 captan 50ppm의 처리구 보다도 효과(效果)가 더 좋았다.

  • PDF

과황산염과 나노영가철을 이용한 페놀의 전기화학적 산화 (Electrochemical Oxidation of Phenol using Persulfate and Nanosized Zero-valent Iron)

  • 김철용;안준영;김태유;황인성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2권2호
    • /
    • pp.17-25
    • /
    • 2017
  • The efficiency and mechanism of electrochemical phenol oxidation using persulfate (PS) and nanosized zero-valent iron (NZVI) were investigated. The pseudo-first-order rate constant for phenol removal by the electrochemical/PS/NZVI ($1mA^*cm^{-2}/12$ mM/6 mM) process was $0.81h^{-1}$, which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electrochemical/PS and PS/NZVI processes. The electrochemical/PS/NZVI system removed 1.5 mM phenol while consuming 6.6 mM PS, giving the highest stoichiometric efficiency (0.23) among the tested systems. The enhanced phenol removal rates and efficiencies observed for the electrochemical/PS/NZVI process were attributed to the interactions involving the three components, in which the electric current stimulated PS activation, NZVI depassivation, phenol oxidation, and PS regeneration by anodic or cathodic reactions. The electrochemical/PS/NZVI process effectively removed phenol oxidation products such as hydroquinone and 1,4-benzoquinone. Since the electric current enhances the reactivities of PS and NZVI, process performance can be optimized by effectively manipulating the current.

표면반응방법을 이용한 Beijerinckia indica L3에 의한 PS-7 생산 최적화 (Optimization of the Medium Composition for Heteropolysaccharide-7 Production by Beijerinckia indica L3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라채훈;김기명;허필우;최미란;김성구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2-166
    • /
    • 2008
  • 본 연구는 플라스크 배양을 통해 B. indica L3 균주를 가지고 PS-7을 생산할 수 있는 최적 조건을 조사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RSM을 통한 배지의 최적화 실험에서는 whey lactose, glucose, ammonium nitrate 세 가지의 독립변수의 조성에 따라 배양 72시간에 해당하는 DCW, PS-7, 그리고 점도의 변화에 대한 결과를 관찰하였다. 결정 계수(R square)의 값은 PS-7 생산량, DCW, 점성에서 각각 0.72, 0.64, 0.85로 신뢰성 있는 값을 획득하였다. Whey lactose와 glucose의 조합에 따른 PS-7 생산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면 whey lactose (2%), glucose (1%)에서 최적의 PS-7 생산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glucose에 whey lactose를 기반으로 하는 배지 첨가와 C/N 비율이 PS-7의 생산에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술폰화된 PolySEBS/PS Blending 필름의 제조 (Preparation of Sulfonated PolySEBS/PS Blending Films)

  • 장석용;한신호
    • 공업화학
    • /
    • 제19권2호
    • /
    • pp.205-208
    • /
    • 2008
  • 저가인 aromatic elastomer polymer인 polySEBS와 PS의 방향족 작용기에 술폰기를 도입시킴으로써 sulfonated polySEBS과 sulfonated PS를 얻었다. 이 술폰화된 고분자를 활용하여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이온 교환막으로 사용될 수 있는 새로운 sulfonated polySEBS/sulfonated PS blending films를 제조하였다. 이 필름들의 수소이온 전도도는 sulfonated polySEBS와 sulfonated PS의 혼합비에 따라 $10^{-2}{\sim}10^{-3}S/cm$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특히, sulfonated polySEBS 10.0 g에 sulfonated PS를 0.5 g 첨가하여 제조한 film이 0.75 meq/g의 이온교환용량 및 25%의 함수율과 함께 가장 우수한 0.07 S/cm의 이온전도도를 나타냈다.

감광제에 의한 원예작물중 잔류농약의 인위적 경감 (Artificial diminution of the residual pesticides on horticultural crops using photosensitizers)

  • 이재구;권정욱;안기창;박주형;이준수;박정옥
    • 농약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47-53
    • /
    • 1999
  • 원예작물중 농약잔류물을 인위적으로 경감시키기 위하여 몇몇 감광제 (photosensitizer, PS)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살균제 iprodione, bitertanol, chlorothalonil, myclobutanil, 및 dichlofluanid를 사과와 오이에 살포한 후 선발된 감광제를 살포하고, 살포 후 0, 1, 3, 7, 15일에 시료를 채취하여 그 잔류량을 분석하였다. 감광제로는 PS-1 (방향족 ketone), PS-2 (방향족 amine), PS-3 (quinone), PS-4 (무기화합물), PS-5 (유기산염) 및 PS-6(반도체 광촉매)이 선발되었다. 사과에 살포된 iprodione의 경우 감광제 PS-1을 처리한 후 15일에 그 잔류량은 대조구의 74%로 감소하였고, bitertanol은 감광제 PS-1를 처리한 후 15일에 그 잔류량은 대조구의 78%로 감소하였으며, chlorothalonil의 경우 감광제 PS-1과 PS-2를 처리한 후 1일에 그 잔류량은 각각 대조구의 56과 54%로 감소하였다. 한편 오이에 살포된 iprodione의 경우 감광제 PS-1과 PS-2를 처리한 후 3일에 그 잔류량은 각각 대조구의 44와 67%로 감소하였고, myclobutanil의 경우 감광제 PS-6을 처리한 후 15일에 그 잔류량은 대조구의 45%로 감소하였으며, dichlofluan김의 경우 감광제 PS-1를 처리한 후 3일에 그 잔류량은 대조구의 44%로 감소하였다.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방향성 ketone인 감광제 PS-1은 사과와 오이에 잔류하는 농약잔류물의 광분해에 그 효과가 탁월하였다.

  • PDF

용액공정을 이용한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폴리스티렌(MWCNT/PS) 복합체 합성 및 열적 거동 (Synthesis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Polystyrene (MWCNT/PS) Composites by Solution Process and Their Thermal Behavior)

  • 텡다용;신영환;권영환
    • 공업화학
    • /
    • 제19권4호
    • /
    • pp.421-42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조성의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폴리스티렌 복합체들을 유화제를 이용한 용액공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이때, 분자량이 다른 3종의 폴리스티렌(PS-1 : ${\bar{M}}_n$ = 101500 g/mole, PS-2 : ${\bar{M}}_n$ = 89900 g/mole, PS-3 : ${\bar{M}}_n$ = 85000 g/mole)을 사용하였다. 복합체에서 매트릭스로 사용된 폴리스티렌의 임계흐름온도($T_{cf}{\sim}195^{\circ}C$) 이상과 이하인 $210^{\circ}C$$180^{\circ}C$에서의 열적 거동을 동적 유변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복합체의 저장 탄성율, 손실탄성율 및 용융점도는 복합체내에서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용융점도의 경우에는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 함량이 2 wt%에서 5 wt% 사이에서 가장 큰 증가가 관찰되었다. $210^{\circ}C$의 유변특성 거동에 의하면, 특정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 함량에서 복합체의 점성 특성이 탄성특성으로 전이되는 현상이 관찰되었으며, 이때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 함량은 MWCNT/PS-1, MWCNT/PS-2 및 MWCNT/PS-3 조성에 대해 각각 3.5 wt%, 3.2 wt 및 3.0 wt%를 나타내었다.

Effects of Pelleted Sugarcane Tops on Voluntary Feed Intake, Digestibility and Rumen Fermentation in Beef Cattle

  • Yuangklang, Chalermpon;Wanapat, M.;Wachirapakorn, 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1호
    • /
    • pp.22-26
    • /
    • 2005
  • Four male crossbred beef steers about 2 years old were used in a 4$\{times}$4 Latin square design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lleted sugarcane tops on voluntary feed intake, rumen fermentation and digestibility of nutrients. Experimental treatments were; Control (dried-chopped sugarcane tops (DCST)); PS1 (Pelleted sugarcane tops at 1 cm of diameter); PS2 (Pelleted sugarcane tops at 2 cm of diameter) and PS3 (Pelleted sugarcane tops at 3 cm of diameter). Roughage intake and total dry matter intake were 1.59, 1.62, 1.61, 1.63% BW and 2.09, 2.12, 2.11 and 2.13% BW in control, PS1, PS2 and PS3 treatments, respectively (p<0.05). Digestibility of DM, OM and CP were similar in control and PS3 treatment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p<0.05) between control and PS1, PS2 treatments. Digestibility of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nd acid detergent fiber (ADF) were 52.89, 50.01, 50.05 and 50.56% and 41.91, 39.96, 39.91 and 39.69% in control, PS1, PS2 and PS3, respectively (p<0.05). Total volatile fatty acids concentrations in rumen contents was 67.68, 65.93, 66.15 and 66.67 mM in control, PS1, PS2 and PS3, respectively (p<0.05). Even though, concentrations of acetate and butyrate (%) were significant different (p<0.05) but concentration of propionate (%) was not affected by treatments (p>0.05). Rumen pH, ammonia nitrogen and plasma urea nitroge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among treatments. From this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dried-chopped sugarcane tops increased digestibility of nutrients whereas pelleted sugarcane tops increased feed intake in beef cattle. However, pelleted sugarcane tops at 3 cm of diameter did similar result in digestibility and rumen parameters with DCST. Therefore, it could be concluded that pelleting sugarcane top is an alternative way to improve the quality of sugarcane tops for use as ruminant roughage source.

층상자기조립법을 이용한 나노구조체의 제조와 응용 (Preparation of Nanostructures Using Layer-by-Layer Assembly and Applications)

  • 조진한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1-90
    • /
    • 2010
  • 층과 층 사이의 정전기적인력, 수소결합 또는 공유결합을 이용하여 층당 두께를 수 옹스트롱에서부터 수십 나노미터까지 제조할 수 있으며 박막의 표면 형태를 흡착시키고자 하는 물질 및 박막 후처리 공정을 통해 제어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삽입하는 물질의 특성에 따라 박막의 기능성을 집적화 및 다양화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층상자기조립방법의 특성을 이용하여 반사방지막, 초소수성 필름 및 전기화학센서로의 응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반사방지막의 경우, 구형의 블록공중합체를 유리기판 위에 다층박막으로 적층시킴으로써 박막 굴절률을 1.25까지 감소시켰고 이를 통해 약 99.5%의 빛 투과도를 달성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바이오물질인 엔자임을 다층박막에 삽입시킬 경우, 활성 산소를 분해시키는 전기화학센서로의 제조가 가능함을 보인다. 본 연구는 본인이 이미 발표한 논문(J. Am. Chem. Soc. 128, 9935 (2006); Adv. Mater. 19, 4364 (2007); Electro. Mater. Lett. 3, 163 (2007))들을 정리하여 층상자기조립법에 관해 소개하는 논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