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PDB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28초

고추탄저병(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방제를 위한 엽권 길항미생물의 탐색 (Screening for Phyllospheral Antagonistic Microorganisms for Control of Red-pepper Anthracnose (Collectotrichum gloeosporioides))

  • 백수봉;김동우
    • 한국균학회지
    • /
    • 제23권2호통권73호
    • /
    • pp.190-195
    • /
    • 1995
  • 고추탄저병(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에 대한 생물학적방제 능력을 가지는 엽권미생물을 선발하기 위하여 38과 87종의 약용식물로부터 243균주의 세균과 51균주의 사상균 그리고 30균주의 효모를 분리하여 이들에 대하여 항진균활성검정을 in vitro 및 in vivo에서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리된 엽권미생물 중에서 PDA 배지 대치배양에서 10 mm 이상의 생육저지대를 형성하는 4개의 엽권미생물이 선발되었다. 선발된 4개의 세균균주 KB6, KB12, KB13 및 KB14의 PDB 배양여액 중에서 KB12 균주가 균사생장 억제율이 가장 높았다. 액체배양여액 처리에서 푸른 고추보다 붉은 고추에서 방제효과가 컸다. Bacterial cell 처리에서는 푸른 고추나 붉은 고추에서도 높은 방제효과가 있었다. 선발된 4개의 세균균주들은 모두 Bacillus subtilis로 동정되었다.

  • PDF

기니픽 심근의 전기생리학적 특성에 미치는 α1-Adrenoceptor 자극효과 (Effects of α1-adrenoceptor stimulation on ventricular electrophysiological properties of guinea pigs)

  • 김진상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99-209
    • /
    • 1993
  • The effects of ${\alpha}_1$-adrenergic stimulation on membrane potential, intracellular sodium activity $(a_N{^i{_a}})$, and contractility were investigated in the isolated papillary muscle of euthyroid, hyperthyroid, and hypothyroid guinea pigs. Cardiac alterations in the thyroid state have been shown to induce marked changes in action potential characteristics, the most pronounced shortening of action potential duration by hyperthyroidism and an increase in duration by hypothyroidism. $10^{-5}M$ Phenylephrine produced a decrease in $(a_N{^i{_a}})$ in euthyroid and hypothyroid preparations, but an increase in $(a_N{^i{_a}})$ in hyperthyroid ones. The major findings were that phenylephrine produced a stronger positive inotropic effect(PIE) without initial negative inotropic effect(NIE) in hyperthyroid preparations, while phenylephrine produced markedly NIE in hypothyroid ones. The alterations in membrane potential, $(a_N{^i{_a}})$, and contractility were abolished by $3{\times}10^{-5}M$ prazosin in hypothyroidism. In hypothyroid ventricular muscle, the decrease in $(a_N{^i{_a}})$ caused by phenylephrine were not abolished or reduced by $10^{-5}M$ strophanthidin, $10^{-5}M$ TTX, $3{\times}10^{-4}M$ lidocaine, or $100^{-5}M$ verapami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lpha}_1$-adrenoceptor-mediated decrease in $(a_N{^i{_a}})$ is not associated with a stimulation of the $Na^+$-$K^+$ pump, inhibition of the $Na^+$ or $Ca^+$ channel in hypothyroid ventricular muscle. $10^{-5}M$ Phenylephrine decreased $(a_N{^i{_a}})$ but increased $(a_N{^i{_a}})$ in the presence of a PKC activator phorbol dibutyrate$(PDB_u)$.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the following sequence of events in response to phenyleplhane occur in guinea pig ventricular muscle. First, changes in thyroid state may contribute to the ventacular electrophysiological propeties or ion transport system. Second, the adrenoceptor-mediated initial transient NIE may be associated with the decrease in $(a_N{^i{_a}})$ by PKC activation.

  • PDF

Modeling Studies of an Exotype Alginate Lyase Atu3025 from Agrobacterium Tumefaciens Strain C58, a Member of Polysaccharide Lyase Family 15

  • ;조승주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3권2호
    • /
    • pp.72-77
    • /
    • 2010
  • Alginate lyases, also known as alginases or alginate depolymerases, catalyze the degradation of alginate by a ${\beta}$-elimination mechanism that has yet to be fully elucidated. Alginate is a copolymer of ${\alpha}$-L-guluronate (G) and its C5 epimer ${\beta}$-D-mannuronate (M), arranged as homopolymeric G blocks, M blocks, alternating GM or random heteropolymeric G/M stretches. Almost all alginate lyases depolymerize alginate in an endolytical fashion via a ${\beta}$-elimination reaction. The alginate lyase Atu3025 from Agrobacterium tumefaciens strain C58, consisting of 776 amino-acid residues, is a novel exotype alginate lyase classified into polysaccharide lyase family 15. Till now there is no crystal structure available for this class of proteins. Since there is no template with high sequence identity,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for exotype alginate lyase (PL 15 family) were determined using modeling methods (Comparitive modeling and Fold recognition). The structures were modeled using the X-ray coordinates from Heparinase protein family (PDB code: 3E7J). This enzyme (Atu3025) displays enzymatic activity for both poly-M and poly-G alginate. Since poly-M is widespread; docking of a tri-mannuronate against the modeled structure was performed. We identified some of those residues which are crucial for lyase activity.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hould guide future mutagenesis studies and also provides a starting point for further proceedings.

In Silico Study of miRNA Based Gene Regulation, Involved in Solid Cancer, by the Assistance of Argonaute Protein

  • Rath, Surya Narayan;Das, Debasrita;Konkimalla, V Badireenath;Pradhan, Sukanta Kumar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14권3호
    • /
    • pp.112-124
    • /
    • 2016
  • Solid tumor is generally observed in tissues of epithelial or endothelial cells of lung, breast, prostate, pancreases, colorectal, stomach, and bladder, where several genes transcription is regulated by the microRNAs (miRNAs). Argonaute (AGO) protein is a family of protein which assists in miRNAs to bind with mRNAs of the target genes. Hence, study of the binding mechanism between AGO protein and miRNAs, and also with miRNAs-mRNAs duplex is crucial for understanding the RNA silencing mechanism. In the current work, 64 genes and 23 miRNAs have been selected from literatures, whose deregulation is well established in seven types of solid cancer like lung, breast, prostate, pancreases, colorectal, stomach, and bladder cancer. In silico study reveals, miRNAs namely, miR-106a, miR-21, and miR-29b-2 have a strong binding affinity towards PTEN, TGFBR2, and VEGFA genes, respectively, suggested as important factors in RNA silencing mechanism. Furthermore, interaction between AGO protein (PDB ID-3F73, chain A) with selected miRNAs and with miRNAs-mRNAs duplex were studied computationally to understand their binding at molecular level. The residual interaction and hydrogen bonding are inspected in Discovery Studio 3.5 suites. The current investigation throws light on understanding miRNAs based gene silencing mechanism in solid cancer.

강원지역에서 산출되는 탄산천의 수리화학 및 생성환경 (Hydrochemistry and Formation Environment of $CO_2$-rich Springs from the Kangwon Province)

  • 정찬호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1-73
    • /
    • 2004
  • 강원지역에서 산출되는 탄산천의 수리 화학적 특성과 모암과의 관계, 그리고 생성기원에 대해서 해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결과에 대한 재해석도 포함되어 있다. 강원지역의 13개 지역에서 탄산수 시료를 채취하였다. 탄산수의 수리 화학적 특성을 보면 $P_{CO2}$ /는 0.787∼4.78 atm 범위의 높은 값을 보이고, 약산성 pH, 높은 전기전도도값(422∼2,280 $\mu$S/cm)의 특성을 보인다. 탄산수의 화학적 유형은 $Ca-HCO_3$형, $Na-HCO_3$형, Ca(Na)-HC $O_3$형으로 구분된다. 아울러 강원지역 탄산수는 다량의 철과 불소를 함유하는 것이 특징이다. 탄산수의 화학적 성분과 모암의 화학분석 자료를 종합하면 $Na-HCO_3$형의 탄산수는 설악산일대 흑운모-칼리장석 화강암의 영향을$ Ca-HCO_3$형의 탄산수는 편마암과 화강암내 방해석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암석내 Na, K, Ca, Mg 함량과 탄산수내 그들의 함량과의 관계가 비례함이 이를 뒷받침한다. 불소는 $Na-HCO_3$형의 탄산수에서 높은 값을 보이고 철 성분은 $Ca-HCO_3$형의 탄산수에서 더 높은 함량을 보인다. 불소는 흑운모(혹은 복운모)화강암내 운모의 OH를 치환한 F성분의 용해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동위원소와 암석성분 자료를 근거로 볼 때 모암의 광물화학성분이 탄산수의 화학적 유형을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이를 확실히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암종별 현미경적 관찰과 광물에 대한 화학성분 분석이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탄산수의 $\delta$D과 $\delta^{18}$O 값은 순환수선에 도시되며, $\delta^{13}$C 값이 -0.3∼-6.2$\textperthousand$PDB 범위를 보여 국내 다른 지역 탄산수와 거의 유사한 범위를 보인다. 탄산수는 지하 심부의 $CO_2$ 가스가 지표부로 상승하면서 순환하는 지하수와 혼합된 후 반응하는 모암에 따라서 다양한 화학적 유형의 탄산수가 생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미강추출물을 이용한 곤충병원성 곰팡이 Beauveria bassiana의 최적 배양조건 및 효소활성 (The Optimal Condition and Enzyme Activity of Entomopathogenic Fungus Beauveria bassiana Using Extracted Rice Bran)

  • 김창수;이중복;김범수;이민혜;강경묵;주우홍;김진원;임대준;권기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8호
    • /
    • pp.1010-101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온실가루이 방제를 위하여 감염된 이병체로부터 균주 분리 및 농촌진흥청 및 경상북도농업기술원에서 균주를 분양 받아 5 종의 균주를 확보하여, 최종적으로 활성이 가장 높은 분리균주 M130을 선발하였다. Beauveria bassiana M130을 이용하여 균주가 갖는 효소학적 활성을 분석하였다. Chitinase와 protease의 활성을 조사한 결과, 타 균주에 비하여 높은 효소학적 활성을 가지는 조건을 얻었으며, 선발된 균주의 포자생산의 최적화를 위한 방안으로 PDB (potato dextrose broth)배지와 미강추출물을 이용한 ERBM (extracted rice bran medium)을 비교하여, 더 높은 생육도와 포자 생성량을 보인 ERBM을 본 균주를 배양하는 기본배지로 선발하였다. ERBM을 이용한 액체배양시의 최적조건으로, 기본배지인 ERBM에 0.5% $(NH_4)_2SO_4$를 첨가하여 pH 5, $28^{\circ}C$에서 배양최적화를 하였다. 향후 곤충병원성곰팡이 Beauveria bassiana M130의 최적화 조건에 따라 배양을 한다면 포자의 생산량 및 방제효과가 높아질 것으로 사료된다.

The Possible Mechanisms Involved in Citrinin Elimination by Cryptococcus podzolicus Y3 and the Effects of Extrinsic Factors on the Degradation of Citrinin

  • Zhang, Xiaoyun;Lin, Zhen;Apaliya, Maurice Tibiru;Gu, Xiangyu;Zheng, Xiangfeng;Zhao, Lina;Abdelhai, Mandour Haydar;Zhang, Hongyin;Hu, Weiche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12호
    • /
    • pp.2119-2128
    • /
    • 2017
  • Citrinin (CIT) is a toxic secondary metabolite produced by fungi belonging to the Penicillium, Aspergillus, and Monascus spp. This toxin has been detected in many agricultural products. In this study, a strain Y3 with the ability to eliminate CIT was screened and identified as Cryptococcus podzolicus, based on the sequence analysi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 Neither uptake of CIT by cells nor adsorption by cell wall was involved in CIT elimination by Cryptococcus podzolicus Y3. The extracellular metabolites of Cryptococcus podzolicus Y3 stimulated by CIT or not showed no degradation for CIT. It indicated that CIT elimination was attributed to the degradation of intracellular enzyme(s). The degradation of CIT by C. podzolicus Y3 was dependent on the type of media, yeast concentration, temperature, pH, and initial concentration of CIT. Most of the CIT was degraded by C. podzolicus Y3 in NYDB medium at 42 h but not in PDB medium. The degradation rate of CIT was the highest (94%) when the concentration of C. podzolicus Y3 was $1{\times}10^8cells/ml$. The quantity of CIT degradation was highest at $28^{\circ}C$, and there was no degradation observed at 3$5^{\circ}C$. The study also showed that acidic condition (pH 4.0) was the most favorable for CIT degradation by C. podzolicus Y3. The degradation rate of CIT increased to 98% as the concentration of CIT was increased to $20{\mu}g/ml$. The toxicity of CIT degradation product(s) toward HEK293 was much lower than that of CIT.

백색부후균에 의한 합성염료의 탈색과 리그닌분해 효소의 생산 (Decolorization of Synthetic Dyes and Ligninolytic Enzymes Production by White Rot Fungi)

  • 구본준;김민식;김인만;김선웅;최원혁;이미화;조해진;이태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98-10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백색부후균 중 줄버섯, 단색털구름버섯, 산느타리 및 유관버섯 등의 균사체를 이용하여 congo red, amaranth, orange G 및 methylene blue 등의 합성염료 탈색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줄버섯과 단색털구름버섯은 congo red가 함유된 고체와 액체배지에서 이들 염료를 93~95% 탈색하였으며 amaranth는 약 80%, orange G는 62~70% 탈색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관버섯에 의한 3종류의 염료 탈색율은 30% 내외로 매우 낮았다. congo red, amaranth 및 orange G 등 각각의 염료가 첨가된 배지에서의 염료 탈색율은 이들 배지에서 배양한 균사체의 생장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모든 공시 균주는 methylene blue가 함유된 고체와 액체배지에서 methylene blue를 효과적으로 탈색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시된 백색부후균의 액체 배지에서의 리그닌 분해효소 생산을 탐색하기 위해 1%의 나프탈렌이 첨가된 PDB 배지에 공시균을 10일 간 배양 후 효소의 종류와 양을 분석한 결과 모든 공시균은 laccase, lignin peroxidase 그리고 manganese peroxidase 등의 효소를 생산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공시균주 중 줄버섯이 리그닌 분해 효소의 생산이 가장 왕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탄산칼슘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안정동위원소 표준시료 제작에 대한 연구 (Preparation of Pure CO2 Standard Gas from Calcium Carbonate for Stable Isotope Analysis)

  • 박미경;박선영;강동진;리선란;김재연;조춘옥;김주일;김경렬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8권1호
    • /
    • pp.40-46
    • /
    • 2013
  • 안정동위원소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탄소와 산소의 동위원소비 측정은, 이산화탄소 표준기체의 동위원소 비에 대하여 그 상대적인 값을 측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따라서 실험실 표준기체는 ${\delta}^{13}C$${\delta}^{18}O$ 값의 국제 표준물질인 PDB와 V-SMOW에 대해 보정된 이산화탄소이여야 하며, 이는 국제적 자료의 비교와 검증을 위해 필수적이다. 그러나 표준기체는 제작 기간이 길며,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고, 장기간 사용 시 실린더 내부 압력의 변화로 동위원소의 분별이 생길 우려가 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험실 표준기체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장기간 안정적 보관이 가능한 고체 표준물질로부터 동위원소 분별없이 순수한 이산화탄소 기체를 추출하여, 실험실 표준기체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Coplen et al.(1983)에 의하여 제안된 방법을 기초로 한 다량의 이산화탄소 표준 기체 제작에 초점을 두었다. 이산화탄소는 탄산칼슘과 100% 순수 인산의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데, 두 물질의 반응에 필요한 실험 장치 및 실험 과정을 상세히 기술하였으며, 최적의 실험 조건 결정을 위한 다양한 분석 결과를 소개하였다. 이어 생성된 이산화탄소 기체의 추출, 정제와 포집은 자체 제작된 진공관에서 이루어졌으며, 각 단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주어진다. 이산화탄소의 ${\delta}^{13}C$${\delta}^{18}O$ 측정은 서울대학교 기초과학교육연구 공동기기원에서 운영 중인 안정동위원소 질량분석기(VG Isotech, SIRA Series II)를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탄산칼슘 고체 표준물질로부터 이산화탄소 기체 추출과 추출된 기체의 정제 포집 등 전체 분석과정의 정밀도 검증을 위해 동일한 Solenhofen-ori $CaCO_3$(< $63{\mu}m$) 고체 시료로 부터 15회에 걸쳐 표준기체를 제작하였고, 매회 100 mg $CaCO_3$을 이용하여 총 15개의 표준기체 제작이 8일에 걸쳐 이루어졌다. 이 표준기체들의 분석 표준편차($1{\sigma}$)는 ${\delta}^{13}C$의 경우 ${\pm}0.01$‰, ${\delta}^{18}O$${\pm}0.05$‰로 매우 높은 정밀도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분석 정밀도는 안정동위원소 질량분석기기 자체와 같은 내부 정밀도에 상응하며,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실험실 표준기체 제작방법의 높은 신뢰성과 재현성을 입증하는 결과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표준기체 보유가 어려워 정밀, 정확한 안정동위원소 분석에 어려움이 많았던 연구 분야에 자체 표준기체 제작 기술을 제공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뽕잎 추출물배지를 이용한 눈꽃동충하초(Paecilomyces japonica) 균사체 배양액의 여드름균(Propionibacterium acnes) 생육억제 효과 (Growth Inhibition of Propionibacterium acnes by mycelial culture broth of Paecilomyces japonica in the mulberry leaf extract)

  • 박상상;성숙희;류영배;조용운;최영주;박기훈;갈상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2-37
    • /
    • 2008
  • 본 연구는 뽕잎 추출물에 눈꽃 동충하초 균사체(Paecilomyces japonica) 배양액의 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생육 억제 활성을 조사한 것이다. 배양 배지내의 뽕잎 추출물 농도는 3%일 때 가장 높은 여드름 균 생육 억제 활성이 나타났으며, 3% 농도의 뽕잎 추출물을 이용한 균사체 배양날짜별 활성은 25일 배양시 가장 높은 여드름 균 생육 억제 활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여드름 균에 생육 억제 활성을 가지는 물질은 동충하초 균사체의 2차 대사산물로 판단 할 수 있었다. 뽕잎 추출물에 동충하초 균사체 배양액의 처리농도별 여드름 활성은 처리 농도가 상승할수록 증가하였다. 그리고 5% 감자만을 넣고 배양하였을 경우 여드름 균의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합성 배지인 PDB를 사용 시 뽕잎 추출물을 이용해 배양하였을 때보다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뽕잎 추출물에 동충하초 균사체 배양액의 여드름균 생육 억제 활성의 열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한 열처리 결과, $100^{\circ}C$에서 45분 까지 열에 안정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뽕잎 추출물에 동충하초 배양액의 여드름균 생육 억제 물질은 배당체 또는 peptide 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뽕잎 추출물을 이용한 동충하초 균사체 배양액은 여드름균 생육 억제 활성이 뛰어나며, 열에 안정한 천연 여드름 억제 화장품료 조성물로서의 이용가능성이 확인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