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uvenile fish

검색결과 608건 처리시간 0.022초

사육수온과 밀도가 홍민어 Sciaenops ocellatus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 Temperature and Stocking Density on Growth of Juvenile Red Drum Sciaenops ocellatus)

  • 최영웅;노섬;이영돈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31-138
    • /
    • 2002
  • 수온과 사육밀도에 따른 홍민어의 성장을 조사하기 위하여 20${\pm}$0.5, 23${\pm}$0.5 그리고 26${\pm}$0.5$^{\circ}C$로 각각 조절한 항온 수조에서 평균전장 4.60${\pm}$0.3 cm, 체중 1.17${\pm}$0.6 g되는 치어를 32주간 비교 사육하였으며, 평균 전장 26.6${\pm}$1.7cm, 체중 213.6${\pm}$46.7 g되는 개체를 대상으로 사육밀도 2.16, 4.24 그리고 6.40 kg BW/㎥로 조절하여 25주 동안 사육하였다. 수온에 따른 성장실험에서 전장, 체중, 일간 성장률에서 26$^{\circ}C$, 23$^{\circ}C$, 20$^{\circ}C$ 순으로 수온이 높을수록 빠른 성장을 하였다. 일간섭식율에서도 26$^{\circ}C$에서 가장 높아 수온이 높을수록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사육밀도에 따른 성장실험에서 전장, 체중, 일간성장률에서 저밀도 실험구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일간섭식율에서도 같은 경향이었으며(P<0.05), 실험 시작시 2.16 kg BW/$m^3$, 4.24 kg BW$m^3$ 그리고 6.40 kg BW$m^3$의 사육밀도는 실험 종료시 각각 7.26 kg BW$m^3$, 14.01 kg BW$m^3$, 19.17kg BW$m^3$로 증가하여 6.40 kg$m^3$에서 생산성이 가장 높았다

곤쟁이 Neomysis awatschensis와 생존, 성장 및 산소소비에 미치는 구리, 카드뮴, 크롬의 독성 (Toxicity of Copper, Cadmium and Chromium on Survival, Growth and Oxygen Consumption of the Mysid, Neomysis awatschensis)

  • 강주찬;김흥윤;진평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74-881
    • /
    • 1997
  • 곤쟁이 Neomysis awatschensis의 치하와 성체에 대한 중금속의 급성독성 수준과 아치사 농도에서 생존, 성장, 탈피 및 산소소비에 미치는 cadmium, copper 및 chromium의 독성을 검토하였다. Cadmium, copper 및 chromium에 대한 곤쟁이 성체의 $96hr-LC_{50}$은 각각 20.2, 11.3, $670.4\;{\mu}g/\ell$, 치하에서는 각각 3.4, 1.9 및 $49.4\;{\mu}g/\ell$이었다. 성체와 치하의 $96hr-LC_{50}$을 기준으로 중금속의 독성은 copper>cadmium>chromium 순이었다. 치하를 각 중금속의 아치사 농도에 40일간 노출시키면서 생존, 성장 및 탈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생존율은 cadmium이 $\geq1.0\;{\mu}g/\ell,\;copper\geq0.6\;{\mu}/\ell$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성장률은 cadmium $2.0\;{\mu}g/\ell$와 copper $\geq1.2\;{\mu}g/\ell$의 농도에서 유의한 감소가 관찰되었으나 탈피기간에는 영향이 없었다. 산소소비량은 중금속 농도가 높을수록 감소하였고, 대조구의 산소소비량을 기준으로 하여 중금속 농도에 따른 산소 소비량은 cadmium과 copper는 $5\;{\mu}g/\ell$ chromium은 $10\;{\mu}g/\ell$ 농도에서 약 $50\%$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하구역에 cadmium이 $\geq1.0\;{\mu}g/\ell$, copper가 $\geq0.6\;{\mu}g/\ell$ 농도가 존재할 경우 곤쟁이의 분포와 개체군의 크기에는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습사료에 비타민 C와 E 첨가가 넙치 치어의 성장과 체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ementary Vitamin C and E to Moist Pellet Diet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정관식;지승철;안창범;신태선;유진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00-106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upplementary effects of vitamin C and E to moist pellet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in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our groups of diet made : moist pellet (MP) diet group was used as the control group where the ratio of raw feed and commercial compound meal is 5:5 $(CP\;30\%,\;CL\;17\%),$ vitamin C added group (VC), vitamin I added group (VE) and vitamin C and I added group (VCE). The supplementary amount of vitamin C and E corresponded to 1000 mg/kg (dry wt.) and 220mg/kg (dry wt.), respectively. Vitamin C was destroyed $50\%$ and vitamin E was destroyed $20\%$ for manufacturing process. After 8 weeks feeding trial, weight gain was $121.9\%$ in MP group, while it ranged from 180.5 to $184.9\%$ in the VC, VE and VCE group. Feed efficiency was $71.\6%$ in MP group, whereas it ranged from 78.7 to $80.6\%$ in the VC, VE and VCE group,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cy of fish fed vitamin supplemented die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group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vitamin added groups was observed (p>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lipid, crude ash, condition factor (CF), hepatosomatic index (HSI), and visceraweight index (VWI) of body composition. Hemoglobin (Hb) was $3.79\%$ in MP group, whereas $4.99\%$ in VC group, $4.55\%$ in VE group and $5.07\%$ in VCE group; Hb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vitamin added groups than the control group (p<0.05). Vitamin C retention in liver was 18.1, 20.7, 46.6, 54.0 mg/kg in MP, VE, VC and VCE groups, respectively. Vitamin E retention in liver was 25.9, 53.8, 88.2, 124.5 mg/kg in MP, VC, VE and VCE groups,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upplementation of vitamin C and E to moist pellet diet significantly improved growth and feed efficiency of olive flounder, and the mixed addition of vitamin C (1,000 mg/kg dry wt.) and vitamin E (220 mg/kg dry wt.) did not lead to the synergy effect.

생균제 첨가사료가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의 성장 및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 of Probiotics on Growth and Blood Assay of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박상현;왕순영;한경남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6
    • /
    • 2008
  •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 치어의 성장률 향상을 도모하고 적용할 만한 생균제로서의 그 가능성을 보고자, 평균 체중 0.7 g의 조피볼락 치어에 2종의 유산균을 사료에 첨가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각각의 첨가구는 Lactobacillus brevis 및 Lactobacillus plantarum을 농도별로 실험사료 1 g 중량당 유산균 첨가수준을 $10^4,\;10^6$$10^8$ cfu 수준으로 처리한 첨가구로 하였다. 성장효과에서 L. plantarum을 농도별로 실험사료 1g 중량당 유산균 첨가수준을 $10^8$ cfu 수준으로 처리한 Lp-8 실험구에서 중량 증가 효과가 있었으며, L. brevis의 경우는 첨가효과가 없었다. 실험종료 후, 혈액분석 결과는 hematocrit 28.5-32.5%, hemoglobin 8.3-8.6 g/dl으로 차이는 없었으나, 혈장 내 총 단백질 함량은 Lp-8 실험구에서 높았다. 혈장 내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유산균 2종에서 높은 첨가농도 일수록 그 수치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상기 실험결과로 미루어 볼 때, 수중환경에 서식하는 어류의 장내 정상적인 균주가 아닌 유산균은 개별적 종에 따라 다른 효과를 얻을 수는 있으나, 조피볼락 치어는 L. plantarum을 $10^8$ cfu/g 수준으로 사료 내 첨가하여 성장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모래무지(Pseudogobio esocinus)의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 (Embryonic and Larval Development of Goby Minnow, Pseudogobio esocinus)

  • 이성훈;오광남;김관석;오용석;강경완;황재호;이배익;이원교;한경호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2권3호
    • /
    • pp.283-288
    • /
    • 2008
  • 이 연구는 2003년 4월부터 5월까지 전라남도 보성군 겸백면 율어리 소재의 보성강 중류에서 투망과 족대를 이용하여 채집된 모래무지 어미들을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자원생물실험실로 운반하여 실내 사육하면서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을 관찰하였다. 모래무지의 수정란은 구형의 침성부착란으로 난경은 $1.98{\pm}0.19mm$(n=50)였고, 반투명하였다. 부화에 소요되는 시간은 수정 후 164시간부터였고, 이 때 근절수가 31$\sim$32개였으며, 배체의 움직임이 활발하였으며, 머리부터 난막을 뚫고 부화하기 시작하였다. 부화 직후의 자어는 전장이 $4.61{\pm}0.83mm$(n=10)로 난황은 아직 흡수하지 않은 상태였으며, 입과 항문은 열려 있지 않았다. 등쪽과 배쪽, 꼬리쪽에 별모양과 점모양의 흑색소포가 산재하였으며, 눈에는 색소포가 진하게 착색되어 있었다. 부화 후 42일째는 전장 $16.22{\pm}0.65mm$(n=10)로 흑색소포가 두부와 등쪽과 체측면에 따라 짙게 산재하였고, 주둥이 양쪽에 수염이 나타났으며, 체형이나 반문이 성어와 완전히 닮아 있어 치어기로 이행하였다.

  • PDF

강릉시 주수천에 서식하는 쌀미꾸리 Lefua costata (Pisces: Namacheilidae)의 섭식생태 (Feeding Ecology of the Eight Barbel Loach, Lefua costata (Pisces: Namacheilidae) in the Jusucheon (Stream) Gangneung-si, Korea)

  • 권혁영;한미숙;고명훈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30-38
    • /
    • 2023
  • 쌀미꾸리 Lefua costata의 섭식생태를 밝히기 위해 2013년 1월부터 12월까지 강원도 강릉시 옥계면 남양리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쌀미꾸리는 주로 수온 5℃ 이상 되는 3월부터 12월까지 섭식을 하였고, 섭식률은 4~5월, 9~10월에 정점을 보였다. 위 내용물을 상대중요성지수(IRI)로 분석한 결과, 주로 절지동물문(Arthropoda) 곤충강(Insecta)의 파리목(Diptera, 77.1%), 하루살이목(Ephemeroptera, 20.3%), 날도래목(Trichoptera, 1.7%), 잠자리목(Odonata, 0.4%)이었으며, 그 외 먹이생물은 환형동물문(Annelida)의 턱거머리목(Arhynchobdellida, 0.6%)과 실지렁이목(Tubificida, 0.1%), 선형동물문(Nematoda, 0.2%), 어류(Actinopterygii, 0.1%), 연체동물문(Mollusca)의 백합목(Veneroida) 등 다양하였다. 계절별로 보면, 봄에는 파리목(55.4%)과 하루살이목(41.6%)을, 여름에는 파리목(92.7%)과 환형동물문(Annelida, 6.8%)을, 가을에는 파리목(70.8%)과 하루살이목(9.0%), 날도래목(8.1%), 환형동물문(7.7%)을 주로 섭식하였다. 연령별로 보면 당년생 치어(0+)는 비교적 먹이 크기가 작은 파리목(주로 깔따구과(Chironomidae), 98.2%)만 거의 섭식한 반면, 성장하면서 파리목의 비율이 점점 감소하고 비교적 크기가 큰 하루살이목과 환형동물문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먹이 생물 크기는 당년생 치어(0+) 2.5±1.05 mm, 1년생(1+) 3.2±1.29 mm, 2년생(2+) 3.7±2.05 mm, 3년생 이상(≥3+) 6.8±4.97 mm로 성장하면서 급격히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영덕오십천 소하천인 대서천에 서식하는 자가사리 Liobagrus mediadiposalis의 자치어 형태발달 (Development of Larvae and Juveniles of the Liobagrus mediadiposalis from Daeseocheon Stream in Yeongdukosipcheon)

  • 박재민;한경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75-82
    • /
    • 2023
  • 본 연구에 사용된 시료는 2021년 4월 21일과 5월 16일 2회에 걸쳐 경북 영덕군에 위치한 대서천에서 자가사리와 난괴를 채집하였다. 수정란 크기는 3.30~3.92 (3.57±0.19) mm (n=30)였고, 수온 17.0~20.0℃에서 부화까지 소요된 시간은 152~155시간이었다. 부화 직후 자어는 전장 6.43~6.67 (평균 6.55±0.07) mm (n=30)로 입과 항문은 완전히 열리지 않았고, 난황을 가지고 있었다. 부화 후 9일째 후기자어는 전장 11.0~13.8 (12.3±0.70) mm (n=30)로 꼬리 끝의 미부봉상골이 위쪽을 향해 45°로 완전히 휘어졌다. 부화 후 16일째 치어는 전장 15.8~18.2 (16.8±0.77) mm (n=30)로 지느러미 줄기 수는 등지느러미 8개, 뒷지느러미 17개, 배지느러미 8개로 정수에 도달하였다. 연구 결과 근연종들 간 초기생활사에서 부화자어 크기, 지느러미 반문형태 등에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Expression of Perforin Gene for Early Development of Nephrons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Yang, Hyun;Lee, Young Mee;Lee, Jeong-Ho;Noh, Jae Koo;Kim, Hyun Chul;Park, Choul-Ji;Park, Jong-Won;Hwang, In Joon;Kim, Sung Yeo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7권4호
    • /
    • pp.321-327
    • /
    • 2013
  • The innate immune system is the only defense weapon that invertebrates have, and it is the fundamental defense mechanism for fish. The innate immune response is important in newly hatched flounders because it is closely involved in the initial feeding phase, which is why it is essential for survival during the juvenile period. The expression analysis of genes involved in the innate immune response in th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the days after hatching is incomplete. Therefore, we have begun to examine the expression patterns of genes specifically induced during the development of the innate immune system in newly hatched flounders. Microscopic observation showed that pronephron formation corresponded with the expression of perforin-encoding gene.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rforin plays a vital role in the innate immunity of the kidney during developmental stages. Perforin expression was strong at the start of the development of the innate immune response, and continued throughout all the development stages. Our finding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with respect to perforin's biological role and the evolution of the first defense mechanisms in olive flounder.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elucidate the perforin-mediated innate immunity response and to decipher the functional role of perforin in developmental stages.

한방사료 첨가제인 어보산의 효과 III. 시판 사료에 어보산 첨가시 넙치치어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 (Utilization of Dietary Herb Obosan III Growth of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김종현;문영봉;정창화;김동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31-238
    • /
    • 2000
  • 시판되는 넙치용 부상사료에 한방사료 첨가제인 어보산을 농도별 (0, 0.6및 1.2%)로 첨가한 후, 넙치의 성장, 사료효율, 비만도 및 혈액성분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한 결과, 체중의 성장은 실험 8주 후부터 대조군과 첨가군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기 시작하여, 실험종료시 첨가군들이 대조군에 비해 7.8~9.1% 더 증가하였다 (P<0.05). 실험 전 기간을 통해 어보산 첨가군들의 일일성장률은 대조군보다 5.9~7.1% 더 좋은 결과를 보였고, 첨가군들의 사료효율도 대조군보다 13.2-14.2% 더 향상됨을 보였으며, 실험종료시 비만도도 첨가군들이 대조군에 비해 3.2~3.5% 정도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P<0.05). 특히 어보산 첨가군들 간의 성장 결과에서는 서로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음으로써, 어보산의 넙치 부상사료에 대한 적정 첨가농도는 0.6%로 판명되었다. 어보산 첨가농도별 넙치용 부상 사료로 사육한 넙치의 혈액성상을 분석한 결과, 각 실험군간 유의적 인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P>0.05), 혈청성분은 대조군과 어보산 첨가군들간 뚜렷한 차이를 보였는데, 어보산 첨가군들이 대조군에 비해 total protein과 glucose에서 높았고, total cholesterol, GOT와 GPT에서 낮은 값을 보였다 (P<0.05). 특히 혈청 GOT와 GPT에 있어 어보산 첨가군들은 대조군에 비해 매우 낮은 값을 보였다(P<0.05).

  • PDF

Morphological Specificity in Cultured 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Reared in Artificial Facility

  • Kang, Duk-Young;Lee, Jong-Ha;Kim, Won-Jin;Kim, Hyo-Cha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5권2호
    • /
    • pp.117-123
    • /
    • 2012
  • The 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like all flatfish, exhibits conspicuous lateral asymmetry in numerous traits, most obvious of which is the migration of one eye to the other side of the head during metamorphosis. Additional changes related to eye migration include asymmetrical pigmentation, and a behavioral shift from larvae that exhibit upright, open-water swimming to juveniles and adults that lie on the ocean floor, eye side up. However, the morphology of these juveniles has been quite plastic in recent years, a phenomenon which is thought to be related to a diverse suite of semi-intensive and intensive larviculture methods. The cause of morphological abnormalities in the farmed flatfish is poorly understood. In the present study, we observe the features of morphological specificity and abnormality of immature fish (mean total length 23 cm) and survey the occurrence frequency of the specificity and abnormality of juvenile (mean total length 6.70 cm) in artificial culture facility. We find 2 types of abnormality (e.g., albino in ocular side and hypermelanosis in blind side) and 1 type of specificity (e.g., lateral polymorphism). These considerably differ from normal individuals (has sinistral eye and pigmented on only one side) by several characteristics (dextral eye, ocular side albinism, blind side hypermelanosis). The incidences of albinism, hypermelanosis, and body reversal are $10.1{\pm}2.56%$, $91.7{\pm}1.7%$, and $13.1{\pm}1.1%$, respectively. These suggest that these morphometric and morphological differences occur more in artificial environment during and just after metamorph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