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uncaceae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2초

골풀속(골풀과)의 신종: 김의골풀(Juncus baekdusanensis M. Kim) (A new species of Juncus (Juncaceae): J. baekdusanensis M. Kim)

  • 윤경원;조현;김무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238-241
    • /
    • 2014
  • 백두산에서 골풀속의 신종인 김의골풀(Juncus baekdusanensis M. Kim)을 새로이 발견하여 기재하였다. 김의골풀은 엽초를 가진 잎을 가지며 1-2개의 꽃으로 이루어진 화서를 가지고 있고 2개의 막질 소포를 가진 점에서 길골풀(J. tenuis Willd.)과 유사하다. 그러나 김의골풀은 2개의 꽃으로 이루어진 화서, 적녹색의 막질상 화피, 난형의 화피, 예두의 화피열편, 화피보다 커다란 삭과, 고지대의 늪지에서 자라는 특징이 있다. 반면에 길골풀은 1개의 꽃으로 이루어진 화서, 녹색의 강직한 화피, 장피침형의 화피, 점첨두의 화피열편, 화피보다 작은 삭과, 저지대의 초지에서 자라는 점에서 뚜렷하게 차이를 보인다.

한국산 골풀속(골풀과) 식물들의 식별 형질 (Diagnostic characters of Juncus (Juncaceae) species in Korea)

  • 김성민;김상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96-207
    • /
    • 2013
  • 전 세계 Juncus (골풀속)의 속내 분류체계는 최근 Kirschner에 의해 2아속 10절로 정리된 바 있으며, 두 아속은 소포의 유무와 화서에 의해 구분되며, 각각의 절은 잎의 특징, 화서의 위치, 수술, 종자의 형질 등에 따라 구분된다. 현재까지 한국산 Juncus 분류군들을 구분하는 형질들에 대한 종합적 검토는 미흡한 상태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지금까지 한반도에 자생한다고 보고된 분류군들 중 채집 및 표본조사가 가능한 14개의 Juncus 분류군들에 대하여 국내 11개 표본관으로부터 약 950점의 표본을 대여하여 조사하였고, 이들에 대한 지하경, 잎, 화서, 꽃, 과실, 종자 등의 외부형태학적 형질들에 대한 형질상태의 유형을 파악하여 도해하고, 분류군들 간의 구분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주요 식별 형질들을 이용한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New records of two alien plants, Juncus torreyi (Juncaceae) and Egeria densa (Hydrocharitaceae) in Korea

  • Jongduk JUNG;Hye Ryun NA;Kyu Song LEE;Yeongmin CHOI;Woongrae CHO;Jin-Oh HYUN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54-59
    • /
    • 2023
  • Naturalized populations of two alien plants were newly found, and we describe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habitats with photographs. One is a member of Juncaceae, Juncus torreyi Coville, and was newly found at a pool of a beach in Gangwon-do. This rush is native to North America and belongs to the sect. Ozophyllum (subgen. Juncus) according to certai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its racemose inflorescence, the absence of floral bracteole, and unitubular leaves with perfect septa. J. torreyi is easily distinguishable from Korean rushes by its long rhizomes with swollen nodes and globular head with 25-100 flowers. Its introduction into Japan and Europe was reported, but the ecological risk associated with its over-dispersal is not known. The other alien plant is a submerged plant, Egeria densa Planch. (Hydrocharitaceae), which was found in streams in Gyeongsangbuk-do and ditches in the Busan-si area, both of which being in the watershed of the Nakdong River. Egeria densa is similar to Hydrilla verticillata (L.f.) Royle, which is native to Korea. However, it is distinguished from H. verticillata by its larger flowers and lack of overwintering organs. This alien plant is native to South America and was introduced for aquarium gardening and naturalized around the world. Egeria densa is treated as a malignant weed due to its asexual reproduction and rapid growth. Size changes and the number of populations of E. densa must be investigated.

별날개골풀의 페놀성 성분 (Phenolic Constituents from Juncus diastrophanthus)

  • 도초;형명명;안달래;이은별;이소연;김반지;이재혁;박정숙;배종진;김대근
    • 생약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68-371
    • /
    • 2013
  • Five phenolic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whole plants of Juncus diastrophanthus (Juncaceae) through repeated column chromatography. Their chemical structures were elucidated as methyl 3,5-di-O-caffeoylquinate (1), luteolin-7-O-${\beta}$-D-glucopyranoside (2), methyl 4,5-di-O-caffeoylquinate (3), quercetin-3-O-${\beta}$-D-arabinopyranoside (4), and methyl 3,4-di-O-caffeoylquinate (5) by spectroscopic techniques. These compounds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plant.

검정납작골풀(골풀과): 한국 미기록 식물 (Juncus fauriei Lév. & Vaniot (Juncaceae): a new record in Korea)

  • 김성민;조양훈;김종환;심상득;김상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30-334
    • /
    • 2012
  • 골풀과의 골풀속에 속하는 Juncus fauriei L$\acute{e}$v. & Vaniot는 일본과 러시아에 분포한다고 알려져 있는 종인데, 강원도의 하조대 해안가 사구 습지에서 이를 발견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이 식물은 줄기의 단면이 납작하고 주로 나선상으로 꼬여있고, 화피편의 가장자리가 검은색을 띄는 특징으로 국내 골풀속 내의 section Juncotypus에 속하는 근연 종인, J. decipiens (골풀), J. setchuensis (푸른갯골풀), J. haenkei (갯골풀), J. brachyspathus (참골풀)와 확연하게 구분 된다. 이러한 형태적 특징에 따라 국명을 '검정납작골풀'로 신칭하였고, 이 분류군의 사진 및 형질에 대한 기재, 근연 분류군들과 구분할 수 있는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식물 분류단위 특이적인 칼슘대사의 생리생태학적 특성 (Ecophysiological characteristcs of Plant Taxon-Specific Calcium Metabolism)

  • 추연식;송승달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1호
    • /
    • pp.47-63
    • /
    • 1998
  • In order to compare species-specific calcium metabolism, we collected 127 species belonging to 40 different families grown on various habitats including saline, limestone, wetland during the 1996 vegetation period, and analyzed their inorganic ion contents. Plants investigated were divided into 5 groups according to their physiological properties: 1) Chenopodiaceae, Aizoaceae, Caryophyllaceae, Portulacaceae and Phytolaccaceae of Centrospermales and Polygonaceae (Polygonales had a little water-soluble $Ca^{2+}$ but contained high contents of insoluble $Ca^{2+}$ particularly as Ca-oxalate (Chenopodiaceae type), 2) Some plant species such as Rosaceae produced oxalate in amounts insufficient to precipitate all incoming $Ca^{2+}$ and thus contained a surplus of dissolved $Ca^{2+}$ (Rosaceae type), 3) The contents of water-soluble $Ca^{2+}$ in plant species of Crassulaceae. Plantaginaceae, Asclepiadaceae, and Zygophyllaceae were equal to or greater than those of K ($K/Ca{\leq}1$; Crassulaceae type), and 4) K/Ca ratios of Compositae were significantly fluctuated depending on species and soil $Ca^{2+}$ level of their habitats (Compositae type). 5) Certain monocots (Gramineae, Cyperaceae, Juncaceae), in contrast to the dicotyledonous plant families mentioned above, showed a very distinct type of calcium metabolism, that is, the K/Ca ratios of 8~10 were maintained indifferently in the species and their habitat types (Graminae type). These results plants within the same taxon have similar physiological aspects as weel as morphological attributes. To understand calcium metabolism of certain plant species,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approach on the basis of physiological concept (calciotroph or calciophobe) rather than the ecological one (calcicole or calcifuge).

  • PDF

휴경답에서의 토양의 이화확적 특성, 주요 영양분 및 잡초종의 변화 (Changes of Physico-chemical Soil Properties, Major Soil Nutrient Contents, and Weed Vegetation in Paddy Fields during Fallow Period)

  • 한성욱;정갑채;천상욱;이희재;구자옥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11-214
    • /
    • 1998
  • 휴경답에서의 휴경년한에 따른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과 주요 영양분의 변화 및 잡초종의 식생 변화를 조사하였다. 휴경년한이 경과할수록 휴경답 토양의 유기물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pH는 휴경후 3년까지는 변화가 없었으나 이후로는 다소 증가하였다. 토양의 양이온치환용량 및 치환성 N, K, Ca, Mg의 함량은 휴경후 3년까지는 감소하였으나 휴경년한이 길어지면서 증가하였다. 유효 $P_2O_5$의 함량은 휴경년한이 길어지면서 지속적으로 감소한 반면 유효 $SiO_2$의 함량은 3년까지는 변화가 없었으나 그이후로는 증가하였다. 휴경답에서의 잡초종 구성은 초기에는 화본과, 사초과 및 국화과가 주종을 이루었으며 휴경년한이 경과할수록 마디풀과와 골풀과의 잡초 발생이 증가하는 반면 콩과, 물옥잠과, 닭의장풀과, 바늘꽃과의 잡초 발생이 점차 감소하였다. 그러나 화본과의 사초과의 잡초종은 휴경년한의 경과와는 관계없이 항상 우점종으로 발생하였다. 일반적으로 휴경화가 진전될수록 일년생 잡초종에 비해 다년생 잡초종의 발생 비율이, 또한 논 잡초종에 비해 밭 잡초종의 발생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뚜렷하였다.

  • PDF

국내 유통 관상용 그라스의 현황 및 특징 분석 (The Current State and Characteristics of Ornamental Grasses in South Korea)

  • 김장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151-162
    • /
    • 2021
  • 관상용 그라스는 오늘날 세계적으로 정원분야에 나타나고 있는 자연주의식재 경향의 영향과 함께 현대 정원에서 중요한 조경식물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기후변화, 생물다양성 감소, 도시생태계 서비스 회복 등 오늘날 인류가 마주한 환경 문제의 해결이라는 시대적인 요구가 조경 분야에도 높아짐에 따라 그라스가 가진 생태적인 가치가 더욱 주목받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활용되는 관상용 그라스의 종류와 양이 크게 늘고 있는 추세다. 관상용 그라스를 도시 정원 및 녹지 환경에서 보다 잘 활용할 수 있으려면 최근 급속히 더 다양하게 보급되고 있는 그라스들에 대해 각각의 특성을 잘 이해하는 연구가 선행될 필요가 있으며, 그것을 바탕으로 정원서식처에 따른 적절한 활용법을 강구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유통 중인 관상용 그라스를 조사하여 목록화하고, 서식처 등 생육 환경과 생태적, 재배적 생육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21년 8월 현재 총 40속 104종 264분류군의 그라스가 국내 정원용 식물 시장에 유통 중에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중 벼과가 69.7%, 사초과가 28.4%이었으며, 골풀과와 부들과는 매우 비중이 낮았다. 레스티오과는 활용되는 것이 없었다. 벼과 관상용 그라스는 양지의 오픈된 환경을 선호하는 종류들이 주를 이루었으나, 숲가, 물가 등을 포함한 비교적 폭넓은 환경에서 기원한 것들이 활용되고 있었다. 사초과는 숲, 숲가, 물가 등에 사는 것이 많았다. 한지형 그라스는 14개 속, 난지형 그라스는 16개 속이 활용되고 있었다. 생활형에 따라 상록성 혹은 반상록성 38종, 낙엽성 34종, 여름휴면형 7종이 유통되고 있었다. 생장 방식에 따라 기는줄기형 그라스 33종과 포기형 그라스 51종이 활용되고 있었다. 우리나라에 자생 그라스 중에 총 15분류군이 10년 이내의 근래에 선발되어 관상용으로 활용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