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uglans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28초

중국 귀주성 석막화 방지를 위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Research for Prevention of Stone Hazarding Guizhou, China)

  • 박재현;전재홍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8-39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rehabilitation measures and select appropriate tree species and rehabilitation methods for rehabilitating the rock desert areas in Guizhou, China. The study was carried out during the periods from 2003 to 2006 and results are as follows. Afforestation site is classified as a dolomite sandstone hilly country, a halfstony hilly country, a karst physiognomy, a rock desertification farmland and an latent rock desertification farmland by soil type and rock desertification status. Total afforestation area of Xuiwen is 1,300ha and afforestation area of a dolomite sandstone hilly country, a halfstony hilly country, a karst physiognomy, a rock desertification farmland and an latent rock desertification farmland are respectively 104.0ha (8.0%), 146.6ha (11.3%), 200.5ha (15.4%), 705.7ha (54.3%) and 143.2ha (11.0%). Planted tree species were selected by five site types. Robinia pseudoacacia, Chamaecyparis obtusa, Thuja orientalis, Cupressus duclouxiana and Juniperus chinensis L. var. chinensis were planted in a dolomite sandstone hilly country and Choerospondias axillaris and Robinia pseudoacacia were planted in a halfstony hilly country. Cupressus duclouxiana, Zanthoxylum bungeanum, Lonicera fulvotomentosa, Ilex kudincila, Quercus aliena, Quercus variabilis, Choerospondias axillaris, Koelreuteria bipinnata, Cryptomeria japonica, Cinnamomum camphora and Cinnamomum bodinieri were planted in a karst physiognomy. Cupressus duclouxiana, Toona sinensis, Robinia pseudoacacia, Lonicera fulvotomentosa, Eucommia ulmoides, Ilex kudincha. Zanthoxylum bungeanum and Magnolia officinalis were planted in a rock desertification farmland. Lonicera fulvotomentosa, Juglans sinensis, Pyrus pyrifolia, Choerospondias axillaris, Prunus salicina and Diospyros Kaki was planted in an latent rock desertification farm land. Robinia pseudoacacia showed high survival rate in 2004 and 2005, but Zanthoxylum bungeanum and Cinnamomum camphora showed slightly low survival rate in 2004. Survival rate of planting species in 2005 was over 80% because some species which showed low survival in 2004 were changed with other species and a proper afforestation method was applied. Growth rate of tree species was evaluated by height and diameter growth rate. Cupressus duclouxiana showed a highest height growth rate in 2004. Toona sil1ensis, Choerospondias axillaris, Koelreuteria bipinnata, and Cinnamomum camphora showed almost 100% height growth rate in 2005, although they showed a negative height growth rate in 2004. Robinia pseudoacacia showed a good growth rate in the rock desertification farmland and the halfstony hilly country so it could give a commercial benefit like honey as well as an afforestation effect.

폴리에치렌 글리콜-400에 의한 목재(木材)의 칫수안정화(安定化) (On the dimensional stabilization of woods with treatment of Polyethylene Glycol-400)

  • 조남석;조재명;배규용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권1호
    • /
    • pp.3-15
    • /
    • 1975
  • How to stabilize wood against shrinking and swelling in variable atmospheric moisture conditions is important to the wood-using industry and a challenge to research. Polyethylene glycol stabilize wood by bulking the fiber. PEG also serve as a chemical seasoning agent, suppress decay in high concentrations, and have slight effect on physical properties, gluing or finishing. The study design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PEG-400 on the dimensional stabilization of local hardwoods for wood carvings that could supply a greatly expanding tourist trade and making curved furniture parts, lamp stands and other decorative objects, and possible gunstock. The species examined were 6 species, Seo-Namoo (Carpinus laxiflora), Cheungcheung-Namoo (Cornus controversa), Gorosae-Namoo (Acer mono), Karae-Namoo (Juglans mandshurica), Jolcham-Namoo (Quercusserrata) and Sanbud-Namoo (Prunus sargentii), used as block of 5cm thick radially to the grain, 7cm wide tangentially, and 70cm long parallel to the wood grain. All these test piecies were conditioned above the fiber saturation point before impregnation. The stabilization effects were determined for PEG-400 treated woods in a 50 percent solution for 20 day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PEG retentions increased with treating time. It was more effective to treat at 60$^{\circ}C$ than at room temperature. In degree of PEG-400 impregnation on species, Cheungcheung-Namoo havinglow specific gravity had the highest retentions, 68.77% but the lowest, 56.33% was shown in Jolcham-Namoo with high specific gravity. Specific gravity of treated wood increased considerably with effectiveness of polymer loading. The increases in specific gravity were 5.36 to 13.16 percent. The highest was Jolcham-Namoo, the lowest Karae-Namoo. On the dimensional stability, a 40 percent of effectiveness of polymer loading was just as effective as 60 percent in reduction in water absorptivity (RWA), antishrinkage efficiency (ASE) and antiswelling efficiency (AE), and from over 60 percent they increased more rapidly. Also species response varied considerably. ASE was 30.12 to 69.97 percent tangentially and 27.86 to 56.37 percent radially, AE 34.06 to 73.76 percent tangentially and 30.11 to 70.12 percent radially, and RWA 42.31 to 65.32 percent. No differences in volume swelling among the 6 species were observed. Its values were ranged from 14.98 to 19.55 percent and also increased with PEG retentions.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the strengths very much decreased with PEG-400 loadings as shown in Figure 12; that were 11.41 to 22.90 percent in compression, 21.61 to 34.35 percent in bending and 22.83 to 36.83 percent in tensile strength. PEG retention in cell wall was less than 1 percent and the most of PEG were immersed in cell lumen. Except for Korae-Namoo, effectivenesses of polymer loading were as much high as 61.58 to 75.02 percent. This is believed to be due to the effect of PEG-400 on excellant dimensional stability of treated woods.

  • PDF

호두나무 포장 내 복숭아명나방(나비목: 포충나방과)과 굴피가는나방(나비목: 가는나방과)에 의한 호두열매 및 잎 피해 (Fruit and Leaf Damage by Conogethes punctiferalis (Lepidoptera: Crambidae) and Acrocercops transecta (Lepidoptera: Gracillariidae) in Walnut Orchards)

  • 정종국;권혁준;김황;김현선;서상태;고상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33-38
    • /
    • 2018
  • 호두는 경제적으로 중요한 유실수 중 하나이지만, 호두나무 포장 내에서 해충에 의한 피해 특성에 대한 정보는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복숭아명나방과 굴피가는나방에 의한 호두열매와 잎의 피해를 조사하였다. 2017년 충남 부여군에 위치한 포장에서 복숭아명나방에 의한 호두열매 피해율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또한 김천, 부여, 영동 및 화성의 포장 내에서 2종의 나방에 의한 호두열매 및 잎의 피해율을 조사하였다. 부여 포장 내 호두열매의 피해율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피해율은 늦여름에 가장 높았다. 호두열매의 최종 피해율은 부여, 김천 및 화성에서 각각 22.1%, 20.5%, 11.7%로 조사되었다. 굴피가는나방에 의한 잎 피해는 성목의 신초 가지(평균 11.2%)에 비해 묘목의 신초 가지(평균 58.5%)에서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 결과, 호두나무 포장 내에서 복숭아명나방과 굴피가는나방에 의한 열매와 잎 피해가 심각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향후 이들에 대한 방제기술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천연활엽수림(天然闊葉樹林) 주요(主要) 상층(上層) 임관(林冠) 수종(樹種)의 임목(林木) 형질(形質) 지수(指數) 추정(推定) (The Estimation of Tree Form Index for Major Canopy Species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 김지홍;양희문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5권1호
    • /
    • pp.1-9
    • /
    • 1999
  • 천연활엽수림에서 자생하는 활엽수종 고유의 생장 특성을 감안하여, 18개 주요 상층 임관 구성 수종을 대상으로 임목 형질을 평가하는 한 방편으로서 임목(林木) 형질(形質) 지수(指數)(tree form index: TFI)를 추정하였다. 선정된 6개의 형질 속성을 4개의 급수로 나누고, 임목 개체의 전반적인 형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려하여 합당한 점수를 부여하였다. 18개 수종에 대하여 속성 별로 점수를 부여하고 백분률(百分率)로 환산한 후, 각 점수를 합하여 임목 형질 지수를 산출하였다. 각 쌍의 수종별 점수 차이와 $18{\times}6$ 행렬(行列)을 바탕으로 집락분석(集落分析)(cluster analysis) 을 시도하여 수종별로 어떠한 속성들이 공통적인가를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임목 형질이 가장 좋은 수종은 TFI 수치 80.8을 기록한 사시나무로 파악되었고, TFI 수치 46.3을 기록한 까치박달나무는 임목 형질이 가장 좋지 않은 수종으로 분석되었다. 70점 이상의 비교적 높은 지수를 획득한 상층 임관 수종들은 사시나무, 거제수나무, 들메나무, 느릅나무 등으로서, 통직하고 완만한 수간, 높은 지하고(枝下高), 좁은 수관(樹冠), 가는 가지 등의 특성을 갖는 장점을 지니고 있었다. 반면에, 60점 미만의 낮은 지수를 얻은 수종들은 팔배나무, 산벚나무, 복장나무, 가래나무, 까치박달나무 등으로서, 굽었거나 기울어진 수간, 낮은 지하고(枝下高), 넓은 수관, 굵은 가지 등의 성격을 갖는 경향이 있었다. 집락분석 결과에 의한 분류도(分類圖)에서 Euclidean 거리계수(距離係數) 임의의 값 10은 연구 대상 수종들을 4개의 뚜렷한 수종군(樹種群)으로 분류하였고, 각 수종군에 대한 임목 형질 특성을 검토하였다.

  • PDF

천연활엽수림의 지형적 위치와 사면방위에 따른 군집 구조적 속성 분석 및 비교 (Analysis and Comparison of Community Structural Attributes by Topographic Positions and Aspects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 양희문;김지홍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8권1호
    • /
    • pp.73-86
    • /
    • 2001
  • 강원도 가리산 일대 천연활엽수림을 대상으로 산림의 구조적 변화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고려되는 지형적 위치와 사면방위에 따라 군집을 분류하고, 표본구 조사법에 의하여 군집 구조적 속성을 분석,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계곡지역을 제외한 산복과 능선지역의 상층임관에서는 신갈나무의 세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계곡지역에서 가장 높은 상대우점도를 보이는 가래나무, 능선지역에서만 높은 세력을 보이는 소나무 등에 의해 지형적 위치별 산림군집간 수종구성의 차이가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모든 사면방위 산림군집에서는 신갈나무가 가장 높은 상대우점도를 보이고 있으며, 공통적인 우점종들이 많이 나타나고 있어 지형적 위치별 산림군집들에 비해 수종구성의 변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2. 상층임관에서는 산복지역의 종다양도가 1.96으로 가장 높았으나, 중층과 하층임관에서는 계곡지역의 종다양도가 각각 2.66, 2.7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능선지역은 낮은 종풍부성과 균재성에 의해 모든 수관층에서 종다양도가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사면방위에 따라서는 북동지역이 모든 수관층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군집간 종다양도의 변이 역시 지형적 위치별 산림군집이 사면방위 군집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다 3. 지형적 위치별 산림군집간 유사도는 산복과 능선지역이 가장 높게, 계독과 능선지역이 가장 낮게 산출되었으나, 전반적으로 유사도 수치가 낮아 산림군집간에는 구조적 차이가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반면에, 사면방위별 산림군집들은 전체 산림지역과의 유사도 뿐만 아니라 상호간의 군집간 유사도가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학교 조경수목 직재현황 조사를 통한 향토수종 이용 확대에 관한 연구 -이리시 초.中고등학교 38개교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Use and Extention of Native Species of Trees through the Field Survey of Present Status of Landscape -The Case Study on 38 Elementary, Middle and Schools in Iri city-)

  • 박영수;심경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1-50
    • /
    • 199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lants status of the woody landscape plants species of 38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Iri city, and to obtain som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development and use of native species of tre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Landscape plants species of 38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Iri city was 55 families, 164 species, and 85, 045 trees and the average of landscape plants species of 17 elementary schools was 50.5 families, 3, 010 trees, on the other hand, middle and high school was 42.4 families, 1, 609 trees. 2. Plants species by type was Deciduous Broadleaved Tree 32.9%, Deciduous Broadleaved Shrub 25.6%, Evergreen Coniferous Tree 14.6%, Evergreen Broadleaved Shrub 9.7%, Vine 4.8%. Evergreen Trees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utilization rate 'others' was 32.2%. 3. The rate of plants species of the Evergreen Trees to the Deciduous (except Vine and 'others') was 34:66. on the other hand, rate of quantity was 50.5:49.5 and the rate of the trees to the shrubs(except Vine and 'others') was 58:42. to the plants species and to the quantity of the number of trees was 25.9:74.1. 4. Plants species of fruit plants of 38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Iri city was 31 species to the 164 species. The rate of frequency was Poncirus trifoliata 27.8%, Lycium chinense 25.1%, Ginkgo biloba 16.7%, to the quantity of the number of trees, fruit plants was 2, 605 trees to the 85, 045 trees and the frequency was 3%. 5. School trees and flowers of 38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Iri city were appointed 17 elementary school, on the other hand, middle and high schools were only 4 middle and high schools. Plants species of the best of frequency school tree was Zelkova serrata and school flower was Rosa spp.. 6. The rate of the native species to the introduced species was 73.8:26.2. on the other hand, the rate of quantity by the number of trees was 84.7:15.3 to the type, the rate of frequency of plants of native species Evergreen trees was Thuja orientalis, deciduous was Ginkgo biloba, Vine was Wisteria floribunda and 'others' was Sasa borealis. on the other hand, to the introduced species, Evergreen Trees was Juniperus chinensis. Deciduous Trees was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and Vine was Vitis labrusca and 'others' was Phyllostachys pubescens. 7. As the fundament of the results of above the optimum selecting of woody landscape plants according to native species of trees was 29 families, 58 species. on the basis of 30 points, 28 points was 8 species Ginkgo biloba,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Parthenocissus tricuspidata, Elaeagnus umbellata, Fraxinus rhynchophylla, Weigela subsessilis, Koelreuteria paniculata, Lonicera japonica, 26 points was 27 species Thuja orientalis, Zelk ova serrata, Euonymus japonica etc., and 24 points was 23 species Populus tomen tiglandulosa, Juglans sinensis, Sophora japonica etc..

  • PDF

담수직파에서 형질전환 CPPO06이벤트 벼의 안전성 및 잡초방제효과 (Weed Control and Safety of Transgenic Rice Event, CPPO06 in Direct-Seeding Flooded Rice Field)

  • 원옥재;박수혁;엄민용;김창기;이범규;강홍규;이증주;박기웅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1호
    • /
    • pp.44-48
    • /
    • 2015
  • 형질전환 CPPO06 이벤트 벼를 이용하여 담수직파 재배에서 oxyfluorfen의 적정 처리시기 및 처리량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모본인 동진벼는 10 g a.i. $ha^{-1}$의 농도에서 생육이 억제되었으나, CPPO06 이벤트 벼는 oxyfluorfen 10,000 g a.i. $ha^{-1}$의 농도에서도 생육억제를 보이지 않아 높은 oxyfluorfen 저항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Oxyfluorfen을 써레질 직후와 파종 직후 처리한 결과 가래를 제외한 모든 발생 초종의 방제효과가 뛰어났으며, 파종 5일 후의 경우는 가래를 포함하여 모든 발생 초종이 95% 이상 방제되었다. Oxyfluorfen의 처리시기와 처리량에 따른 생육저해 현상은 없었으며, 안정적인 수확량을 확보할 수 있었다. 담수직파재배에서 oxyfluorfen 처리시기 및 처리량에 따른 CPPO06 이벤트 벼의 안전성 및 잡초방제 효과로 볼 때 담수직파재배면적의 확대가 기대된다.

한국산 호도의 단백질 및 지질의 조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omposition of Protein and Lipid from Korean Walnut (Juglans regia L.))

  • 최청;성태수;차원섭;손규목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3호
    • /
    • pp.318-323
    • /
    • 1986
  • 한국산 호도의 단백질 및 지방성분을 gel filtration,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아미노산분석기, thin layer chromatography 및 gas liquid chromatography에 의하여 분석하였고 그 일반성분은 조단백질의 22.18%, 조지질이 64.23%였다. 호도 단백질의 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에 의한 결과 12개의 band를 나타내었고 분획된 주단백질의 수득율은 60.67%였으며 이것의 분자량은 43,000이었다. 아미노산 조성은 17종류로써 glutamic acid가 38.60%로써 가장 많았고 다음은 arginine이 9.45%, aspartic acid가 6.55% 순으로 나타났으며 필수아미노산이 고르게 함유되어 있었다. 호도기름에는 중성지질이 93.05%이나 복합지질은 약 7.0%에 불과하였으며 중성지질의 성분으로써 82.05%가 triglyceride였고 sterol ester 및 유리지방산이 각각 3.85% 및 4.80%였다. 호도의 총지질과 중성, 당 및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oleic acid 및 linoleic acid가 각각 $13.89{\sim}15.36%,\;64.48{\sim}69.98%$였고 중성지질에서 분별된 triglyceride의 지방산 조성은 linoleic acid가 69.98%로 가장 높은 함량이었다.

  • PDF

점봉산 일대 천연활엽수림의 군집 유형별 천이지수 추정 (The Estimation of Succession Index by Community Types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of Mt. Jumbong)

  • 김광택;김지홍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6호
    • /
    • pp.723-728
    • /
    • 2006
  • 산림천이는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서 진행되는 산림 구조와 기능의 변화 과정이므로 그 진행 과정에 대하여 모델 개발 혹은 통계적 방법을 통하여 객관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는 점봉산 일대 천연활엽수림의 천이 진행 과정을 정량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수종의 극성상지수와 구성 비율로 산출되는 천이지수를 추정하였고, 천이의 진행에 따른 군집의 생활형 구성 비율의 차이와 종다양성의 차이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신갈나무-피나무군집의 천이지수가 67.5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전나무-틀메나무군집이 67.4로 그 다음 순이었으며, 가래나무-층층나무군집이 60.5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신갈나무-피나무군집을 제외한 대부분 군집에서 미래의 안정상태의 상층 임관천이지수는 현재보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 지역의 상층의 수종 구성은 현재 진행천이가 일어나고 있었고, 중층에서는 매체로 천이의 진행과 함께 천이지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변화폭이 미미하여 중층과 하층의 천이 진척은 거의 동일 단계에 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천이지수의 값은 생활형 중 풍수산포형과는 유의수준 5%에서 부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고, 동물산포형과는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천이지수와 교목, 관목, 초본 및 전체 종의 종풍부성 그러고 Shannon의 종다양성지수와는 상관관계가 인정되지 않았다.

전라북도 만덕산과 미륵봉 일대의 자원식물상 연구 (Studies on Resource Plants of the Mireukbong and Manduksan in Jeollabuk-do)

  • 김영하;변무섭;오현경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47-458
    • /
    • 2006
  • 본 연구는 만덕산과 미륵봉주변의 자원식물의 분포현황과 활용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식물자원의 보전과 활용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만덕산과 미륵봉주변의 자원식물을 조사한 결과, 107과 339속 481종 1아종 65변종 3품종으로 총 550종류(taxa)가 확인되었다. 이중 자원식물을 용도별로 구분하면 식용식물에는 323종류(58.7%), 약용식물에는 384종류(69.8%), 관상용식물에는 267종류(48.5%), 기타용 식물에는 268종류(48.7%)로 분석되었다. 희귀식물에는 말나리(Lilium distichum; 보존우선순위 159번), 뻐꾹나리(Tricyrtis dilatata; 97번), 쥐방울덩굴(Aristolochia contorta; 151번), 왕벚나무(Prunus yedoensis; 110번)가 확인되었으며, 특산식물에는 개비자나무(Cephalotaxus koreana), 지리대사초(Carex okamotoi), 털중나리(Lilium amabile), 은사시나무(Populus tomentiglandulosa), 키버들(Salix purpurea var. japonica), 다화개별꽃(Pseudostellaria multiflora), 왕벚나무(Prunus yedoensis), 개나리(Forsythia koreana), 오동(Paulownia coreana), 병꽃나무(Weigela subsessilis), 벌개미취(Aster koraiensis) 등의 11종류(taxa)가 확인되었다. 또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에는 V등급에 해당되는 식물로 식재종인 왕벚나무, IV등급에는 등나무, III급에는 꼬리조팝나무, 단풍나무, 갈퀴아재비 3종류, II등급에는 돌양지꽃, 민둥뫼제비꽃, 층꽃나무 3종류, 그리고 I등급에는 잣나무(식재), 일월비비추, 홀아비꽃대, 왕버들, 가래나무 등 22종류로 분석되어 총 30종류(5.5%)가 확인되었다. 본 조사지역은 외래식물 식재나 야생화 채취 및 토양 답압등 인위적인 훼손우려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시급한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