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uanbyeo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3초

무균포장밥 가공 적합품종 주안벼의 식미특성 (Quality Evaluation of Juanbyeo as Aseptic-packaged Cooked Rice)

  • 오세관;김대중;천아름;윤미라;홍하철;최임수;오예진;오기백;김연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721-726
    • /
    • 2010
  • 무균포장밥 등 가공밥용 기존 원료곡인 추청벼와 고시히까리에 비하여 우수한 품종을 선발하고 식미관련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국내 육성 주요 품종에 대한 원료곡의 이화학 성분, 취반특성, 물리적 특성 및 호화 점도 등을 분석한 결과, 밥맛을 판정하는 기준인 단백질 함량은 건물중을 기준으로 고시히까리가 7.13%로 가장 높았으며 반면 주안벼는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조사되어진 원료곡의 취반시 점도 및 경도에 영향을 미치는 아밀로스 함량은 17.9-19.6%의 수준으로서 주안벼가 가장 낮은 값을 보여주었으며 일품벼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Toyo 윤기치는 대체적으로 높은 값을 보여주었는데 주안벼가 87.4의 윤기치로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원료곡 쌀의 경도(hardness)는 주안벼가 4,399 g/sec로서 기타 품종에 비하여 작은 압력에도 잘 부서지는 부드러운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호화점도(RVA)에 의한 쌀의 강하점도(break down)는 주안벼 110.9, 고시히까리 110.3으로서 다른 품종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최종점도(final viscosity)는 주안벼는 224.1으로 고시히까리 223.5과 유사한 값을 보여주었다. 밥의 노화와 관련이 깊고 최종점도와 최고점도의 차이인 치반점도(setback)의 경우에서도 주안벼가 -23.7로서 호화가 잘 되고 취반미의 노화가 지연되는 특성을 보유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식은밥 품질이 좋은 것으로 널리 알려진 고시히까리와 매우 유사한 호화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취반 특성 분석결과에서도 주안벼는 고시히까리와 마찬가지로 다른 품종에 비하여 취반미의 흡수율이 좋아 짧은 시간에 취반할 수 있는 가공 적성을 나타내어 가공밥용으로 우수한 품종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무균포장밥의 식미 평가에서는 식미 총평에서 나타내었듯이 더운밥일 경우 대비품종인 추청벼의 -0.02에 비하여 밥맛이 좋다고 알려진 일품벼가 식미총평이 0.56으로서 가장 높았으나, 기타 품종에 비하여 노화가 빠르게 진전되어 식은밥 식미총평은 0.15로 저하되었다. 그 다음으로는 더운밥 식미총평 0.51를 나타낸 주안벼는 밥이 식으면서 밥맛이 향상되어 식은밥 식미총평이 0.69로서 높아졌으며, 대비 품종인 추청벼 0.02보다도 월등히 높았고 고시히까리 0.51을 포함하여 다른 품종에 비하여 밥맛이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주안벼는 쌀의 품질이 우수하고 취반특성 및 호화특성이 우수한 품종으로 입증되어 무균포장밥을 비슷한 가공밥용으로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삭도열병 발병정도가 벼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Assessments of Yield and Quality of Rice Affected by Rice Panicle Blast)

  • 심홍식;김용기;홍성준;한성숙;성재모
    • 식물병연구
    • /
    • 제9권4호
    • /
    • pp.183-188
    • /
    • 2003
  • 이삭도열병 발생 정도가 벼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삭도열병 발생정도별 포기당 수량, 천립중, 등숙율 및 피해립 발생율을 조사하였다. 이삭도열병 발생정도와 수량감소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조생종인 진미벼($R^2$=0.6518)가 중생종인 주안벼($R^2$=0.7977)보다 발병도 심하고 수량감소도 많았다. 천립중도 발병정도가 심할수록 적었으며, 진미벼($R^2$=0.6848)와 주안벼($R^2$=0.7841) 모두 일정한 비율로 천립중이 감소하였다. 이삭도열병 발병 정도별 벼 등숙에 있어서는 무발병구의 등숙율이 진미벼 95%, 주안벼 88%인데 비하여 발병 이 증가할수록 진미벼($R^2$=0.4745)와 주안벼($R^2$=0.703) 모두 등숙율이 떨어졌다. 또한 이삭도열병 발병이 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발병정도가 심할수록 완전미보다 피해립 발생율이 현저히 많았으며, 발병과 피해립 발생과의 관계는 진미벼는 $R^2$=0.6607, 주안벼$R^2$=0.6706으로 정의 상관관계가 었었다.

Effects of Submerged Condition, Temperature, and Ripening Stages on Viviparous Germination of Rice

  • Ju, Young-Cheoul;Han, Sang-Wook;Cho, Young-Cheol;Park, Kyeong-Yeol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20-25
    • /
    • 2000
  • Viviparous germination causes yield loss and quality deterioration of ric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varietal differences of the viviparous germination with different days after heading (DAH) and different temperatures. In the laboratory examination, the averaged germination rate of all varieties at 45DAH and at 25DAH was 79.9%, and 27.5% under the incubation at the temperature of 3$0^{\circ}C$/2$0^{\circ}C$ (day/night) for 12 days. Andabyeo, Da- sanbyeo, and Nonganbyeo showed the lowest viviparous germination rates among the tested varieties. The shoot length of the viviparous germination measured 12days after incubation at 30/2$0^{\circ}C$ ranged from 21 to 53mm, indicating significant deterioration of rice quality. In the field test, the averaged viviparous germination rates of rice varieties at 25, 35, 45DAH with the underwater conditions for 4 days were 2.2, 6.2 and 9.2%, respectively, while their rates at 12 day after underwater conditions increased to 17.6, 44.2 and 43.8%, respectively. A variety that showed the highest viviparous germination rate at 25 and 35 and 45DAH was Heukjinjubyeo. When standing rice panicles without lodging were examined after consecutive raining for 7 days Juanbyeo showed the highest viviparous germination (45.5%), followed by Odaebyeo (16.0%), Jinbubyeo (14.5 %), Bongkwangbyeo (14.2 %) and Obongbyeo (12.6%). The viviparous germination of rice was greatly affected by variety, days after heading and temperature settings. Bongkwangbyeo, Juanbyeo, Dongjinbyeo, Hwasunchalbyeo, Naepoongbyeo and Heukjinjubyeo were classified as the most susceptible varieties to the viviparous germination in the field conditions.

  • PDF

Effects of Temperature and Day-Length on Heading Habit of Recently Developed Korean Rice Cultivars

  • Choi, Kyung-Jin;Lee, Jung-Il;Chung, Nam-Jin;Yang, Won-Ha;Shin, Jin-Chul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41-47
    • /
    • 2006
  • To understand the heading habit of recently developed 20 Korean rice cultivars, rice plants in a phytotron were exposed to different temperature: $22.5^{\circ}C(day\;27^{\circ}C/night\;18^{\circ}C),\;27.5^{\circ}C(day\;32^{\circ}C/night\;23^{\circ}C)$, and day-length conditions: 10, 12, 13, 14, 15 hours. Four rice cultivars (Sobibyeo, Juanbyeo, Ilpumbyeo and Shindongjinbyeo) showed relatively short Basic Vegetative Phase (BVP) of 17 to 18 days, while Dasanbyeo showed the longest (35 days) BVP, compared to other remaining 15 tested cultivars which exhibited 24 to 31 days of BVP. In this experiment, it was tried out to separate the eliminable vegetative phase into photosensitivity and thermo-sensitivity with two different pathways. Many tested cultivars, however, exhibited quite different responses under low temperature and / or long day-length conditions. Especially, Surabyeo and Juanbyeo were the most difficult cultivars to separate into photo- or thermo-sensitivity in that the eliminable vegetative phase of these two cultivars increased greatly only under low temperature $(22.5^{\circ}C)$ and long day-length (15 hr.) conditions. Regarding the heading response to temperatures, tested cultivars could be categorized into 2 groups. In 1st group of rice cultivars, the eliminable vegetative phase decreased almost equally as the temperature changed from $20.0^{\circ}C\rightarrow22.5^{\circ}C\rightarrow25.0^{\circ}C\rightarrow27.5^{\circ}C$. In contrast, the 2nd group of rice cultivars exhibited eliminable vegetative phase slowly decreasing when the temperature changed from $22.5^{\circ}C\rightarrow25.0^{\circ}C\rightarrow27.5^{\circ}C$, but rapidly decreasing when the mean temperature changed from $20.0^{\circ}C\;to\;22.5^{\circ}C$. All the cultivars belonged to 2nd group, the heading date would be very delayed if cool summer comes.

벼 신품종 및 계통의 지역별, 연도별 도열병 발병 차이 (III) (Temporal and Spatial Blast Incidence in New Cultivars and Elite Lines of Rice In Korea (III))

  • 라동수;오정행;한성숙;김장규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38-343
    • /
    • 1995
  • Incidence of blast caused by Pyricularia grisea on five new cultivars and four elite lines (C/L) of rice was investigated at different locations, Icheon, Chuncheon, Jecheon and Naju, 1992 to 1994. Disease indices of leaf blast on the tested C/L except Juanbyeo and Keumnambyeo ranged from 0 to 6 in the blast nursery. Under the field conditions, percentages of diseased leaf area of Kuemnambyeo were 6.5% in Jecheon and 2.8% in Icheon in 1993. The incidence of panicle blast on the C/L except Suweon 394 and Milyang 117 differed depending on the locations and years. In case of Unjangbyeo, panicle blast was rarely observed n the fields in Icheon and Naju, but the disease incidences were 21.8% in Jecheon in 1993 and 16.4% in Chuncheon in 1994. Race distribution of the blast fungus was variable according to the locations. The major race in the Jecheon site was KI-197, which was recently identified.

  • PDF

Damage Analysis of Rice Panicle Blast on Disease Occurrence Time and Severity

  • Shim, Hong-Sik;Hong, Sung-Jun;Yeh, Wan-Hae;Han, Seong-Sook;Sung, Jae-M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1권2호
    • /
    • pp.87-92
    • /
    • 2005
  • The 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healthy and diseasedpanicle necks caused by Pyricularia oryzae were observed using electron-microscope. In the diseased panicle neck, the infection hyphae of the rice blast pathogen grew through the sclerenchymatous fiber tissue and reached to the central internal lacuna. Since the pathogen grew through the sclerenchymatous fiber tissues, the vascular bundle composed with xylem and phloem had been destroyed and finally the nutrients from the leaf and stem were not able to be transported into the grains. Infection of panicle base by the blast pathogen until 20 days after heading caused more than 50% of yield loss in both Jinmibyeo and Chucheongbyeo.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cidence of the panicle blast and rice yield losses. The regression equations between incidence of the panicle blast and yield losses were y= -3.61+496.7 ($R^2$=0.70) in Jinmibyeoand y=-3.93+520.2 ($R^2$=0.82) in Juanbyeo. The panicleblast caused deterioration of grain quality. Healthy grain rate was reduced by increase of panicle blast infection.

Varietal Difference of Transplanted Rice Seedling Growth in Response to Salinity

  • Lim Jae-Joong;Kim Choong-Soo;Cho Jin-Woo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271-278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basic information of growth, chlorophyll, and $Na^+\;and\;K^+$ content of rice (Oryza sativa L.) seedlings after transplanting in different NaCl conditions. Plants grown in pots for 8 days after germination were grown for 10 days after transplanting in 50 and 100 mM NaCl concentrations. At higher NaCl concentration, plant height, root length, dry weight and chlorophyll content were reduced with NaCl stress. Among rice cultivars, the shoot dry weight of Gancheokbyeo, Janganbyeo and Hwasungbyeo, and the root dry weight of Janganbyeo, Gancheokbyeo and Juanbyeo showed relatively low reduction compared to the other rice cultivars at 100 mM NaCl stress. The $Na^+$ content in seedling rapidly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NaCl concentration but $K^+$ contents decreased.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Na^+$ content and shoot and root dry weight after transplanting rice seedlings to saline conditions. The shoot and root dry weight showed highly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Na^+/K^+$ ratio in saline conditions.

초밥에 적합한 품종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Varieties Suitable for Sushi)

  • 홍윤정;이정희;오세관;윤미라;최임수;박정화;정희정;조미숙;이점식;김정곤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436-440
    • /
    • 2012
  • 본 연구는 육성된 품종을 이용하여 초밥에 적합한 품종 선발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여 향후 초밥에 적합한 품종을 육종하기 위한 선발지표를 탐색하기위해 국내 육성품종에 대해 초밥조리전문가들이 초밥 적성을 평가하도록 하여 초밥 적합 품종을 선발하였고, 이 품종들의 이화학적 특성과 호화특성을 조사하였다. 호품, 신동진이 초밥의 전체적인 외관 및 밥맛 비교에서 다른 국내 육성품종에 비해 우수하였고 초밥적성 품종으로 알려진 고시히까리와 차이가 없었다. 호화특성에서 강하점도(Breakdown)는 신동진, 호품, 고시히까리가 높았고, 치반점도(Setback)는 주안, 신동진, 호품이 고시히까리와 비슷한 음의 값을 보여 공시재료의 전체적인 호화특성은 신동진, 호품이 고시히까리와 비슷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호품과 신동진이 초밥용 외관 및 맛 선호도, 호화특성이 다른 품종에 비해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어 초밥에 적합한 품종으로의 활용이 기대된다. 초밥조리전문가 31명에 의한 7개 품종의 초밥 적합성 평가와 쌀 및 밥의 이화학적 특성 호화특성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초밥 적합성과 호화특성 간에 유의한 상관성이 인정되었다. 호화특성 중 최고점도, 강하점도는 초밥적합성과 정의 상관을, 치반점도는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호화특성은 초밥에 적합한 품종선발을 위한 선발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999년에 발생한 기상재해 유형별 벼 수량반응조사 연구 (Yield Response of Rice Affected by Adverse Weather Conditions Occurred in 1999)

  • 주영철;임갑준;한상욱;박중수;조영철;김순재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8
    • /
    • 2000
  • 본 연구는 변색립, 수발아를 유발시킨 기상환경을 구명하고 출수기의 변색립, 등숙 중 .후기의 수발아, 생식생장기의 침관수, 황숙기의 도복에 타른 수량반응을 구명하기 위하여 피해를 받은 농가 포장 및 경기도농업기술원 포장에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벼 출수시기에 영화변색 발생시의 기상조건은 평균 기온은 21.3-26.4$^{\circ}C$, 상대습도는 75.2-98.4%, 증발계수는 19.3, 풍속은 10.8-13.m/sec.이였으며, 영화변색비율이 63.2-65.7%, 38.3-45.2%일 때 임실비율과 등숙비율 저하로 수량이 각각 26-27%. 10-17%감소하였다. 벼 등숙 중.후기에 포장에서 연속강우에 의한 수발아 발생 기상조건은 7일간 연속강우로 상대습도가 96% 이상이였고 7일간의 평균기온은 18.9$^{\circ}C$, 최고기온은 21.9$^{\circ}C$, 최저기온은 16.8$^{\circ}C$이였으며, 수발아율이 높은 품종은 주안벼(45.5%), 진부벼(14.5%). 봉광벼(14.2%), 오봉벼(12.6%) 등 이였다. 벼 생식생장기 관수시 곁가지는 1.5-2m 수심에 1일간 관수부터 발생하였고, 3-4m 수심에 2-3일간 관수시는 m$^2$당 269-571개 발생하여 전체수량에 32-52%기여하였다. 벼 황숙기 도복시 일으켜 세움과 방치시 수량 차는 대차없었으나 방치시 미숙립 증가로 완전미비율이 세움에 비하여 중묘기계이앙답은 9.1%, 건답직파답은 12.5% 낮아졌다.

  • PDF

벼 중만생 복합내병 담수직파 및 이앙재배 겸용 신품종 "황금노들" (A New Medium-late Maturity Rice Cultivar, "Hwanggeumnodeul" Suitable for Direct Seeding and with Multiple Disease Resistances)

  • 고종철;김보경;백만기;남정권;하기용;김기영;고재권;이재길;강현중;김영두;정진일;신문식;손지영;김우재;노광일;박현수;백소현;신운철;김경훈;신서호;김정곤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28-331
    • /
    • 2008
  • "황금노들" 품종은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에서 2007년도에 육성한 중만생 복합내병성 직파 및 이앙재배 겸용 품종으로 주요특성과 수량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수기는 담수직파와 건답직파에서 각각 8월 17일, 8월 20일로 주안벼보다 4일 및 6일 늦으며 호남평야지 및 영남평야지 보통기보비 이앙재배에서 8월 15일로 남평벼보다 1일 빠른 중만생종이다. 2. 도열병에는 중강 흰잎마름병 레이스 $K_1,\;K_2,\;K_3$ 및 줄무늬잎마름병에는 저항성 반응을 보였으나 기타 바이러스병이나 멸구 및 매미충류에는 약한 반응을 보였다. 3. 저온발아성은 양호하고 유묘내냉성은 강하나 남평벼보다 출수 지연일수는 길고 임실율은 다소 낮다. 4. 쌀 수량은 담수직파에서 569 kg/10a로 주안벼보다 17%, 건답직파에서 561 kg/10a로 12% 증수되었으며 평야지 이앙재배에서는 586 kg/10a로 8% 증수하였다. 5. 쌀은 심복백이 없고 단백질 함량은 남평벼보다 낮다 제현율과 도정율은 남평벼보다 높고 밥맛은 남평벼와 비슷하다. 6. 황금노들은 충남 북 이남 평야지 이앙재배 및 담수직파재배에 알맞은 품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