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검색결과 240건 처리시간 0.02초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 중재가 감각방어 아동의 적응반응에 미치는 효과: 사례보고 (The Effect of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Focused on Proprioceptive-Vestibular Stimuli on Adaptive Response of Children With Sensory Defensiveness: Case Study)

  • 박지훈;김인선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9-39
    • /
    • 2011
  • 목적 : 본 연구는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감각방어를 가진 아동의 적응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2011년 감각통합치료과정에 참여한 만 6세 5개월 된 남아이다. 평가결과에 따라 치료목표, 치료계획을 제시하였고, 4회기 동안의 적응반응을 기술하였다. 결과 : 치료회기 동안 아동은 과 각성 되지 않고 촉각활동에 참여할 수 있었으며, 사회적 상호작용의 질적인 측면에서 향상을 보였고, 놀이에서도 확장을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 중재가 감각방어 아동의 적응반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향후 연구에서는 표준화된 평가를 통한 변화와 더불어 일상에서의 변화를 제시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성인의 수면의 질 향상을 위한 감각통합중재의 효과: 단일사례 연구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for the Improvement of Sleep Quality in Adults: A Single-Subject Experimental Design)

  • 홍초롱;유은영;박지혁;박혜연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7
    • /
    • 2019
  • 목적 : 본 연구는 감각통합중재가 감각방어가 있는 성인의 수면의 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감각방어가 있는 비숙면군 성인 3명을 대상으로 연구 설계는 단일대상연구(single subject research)중 다중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기초선 기간은 대상자 1은 4회기, 대상자 2는 7회기, 대상자 3은 14회기로 하였고, 중재기간은 총 4주로 주 3회씩 총 12회기 개별 감각통합치료를 제공하였다. 모든 회기에는 총 수면시간, 수면 잠복기, 밤 중 깨기 횟수를 측정하였고 중재 전 후로 수면의 질 변화, 감각방어를 포함한 감각통합능력의 변화와 대상자의 수면 만족도 변화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 감각통합중재 적용 후 총 수면시간, 수면잠복기, 밤 중 깨기 횟수를 시각적으로 분석한 결과 모든 대상자에게서 눈에 띄는 향상은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중재 전 후 평가에서 수면의 질과 대상자가 직접 보고한 수면 만족도가 큰 폭으로 향상되었다. 또한 모든 대상자의 감각통합운동능력은 큰 폭의 향상을 보였다. 그러나 감각처리영역에서 일부 대상자는 눈에 띄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성인에게 감각통합중재를 적용했다는 것과 감각통합치료를 수면장애치료를 위한 새로운 중재방법으로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치료가 인공와우 수술 아동의 감각처리, 문제행동, 청각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estibular Sensory Integration on the Sensory Processing, Problem Behavior, and Auditory Behavior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 박예현;김희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3-23
    • /
    • 2021
  • 목적 : 본 연구는 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치료가 인공와우 수술 아동의 감각처리, 문제행동, 청각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대전시에 거주하는 인공와우 수술 후 보조기기를 착용한 아동3명을 대상자로 모집한 후에 2019년 8월부터 2019년 11월까지 총 11주간 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 설계는 단일 사례 실험 설계방법(single subject design)으로 A-B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기초선 기간 4회, 중재기 15회로 진행되었다. 기초선 기간에는 감각통합치료를 제공하지 않고, 중재기에는 40분간 치료사와 함께 자유놀이를 진행하였다. 중재기에는 대전시의 아동발달센터에서 1회기 당 40분으로 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치료를 제공하였다. 중재 시작 전과 중재기 15회 직후 참여 아동의 감각처리 능력과 청각행동을 평가했다. 문제 행동 관찰은 기초선 자유놀이 시간에, 중재기에는 치료가 실시되는 시간에 아동을 관찰하여 기록하였다. 결과 : 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치료를 중재하기 전보다 후에 A, B, C 세 명의 아동에게서 감각처리와 청각행동의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고, 문제행동에서도 2표준편차 밴드 그래프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는 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치료가 인공와우 수술 아동의 감각처리, 문제행동, 청각행동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제시한다.

국내 감각통합치료 실태조사 (A Survey on a Status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y in Korea)

  • 김인선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19
    • /
    • 2015
  • 목적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시행되는 감각통합치료의 근무특성, 치료실 환경, 치료사의 지식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2014년 6월1일부터 2014년 8월 31일까지 감각통합치료 세팅에서 감각통합치료를 시행하는 치료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수거한 232부를 분석하였다. 결과 : 국내에서 감각통합치료를 시행하는 전공자는 작업치료사의 비중이 크며, 사설기관, 복지관, 병원 순으로 많이 근무하고 있다. 주 치료대상은 영유아부터 학령기 아동이 대부분이지만 청소년과 성인까지 폭넓게 적용되고 있으며, 발달장애아동이 많았다. 대부분의 기관이 치료를 위한 공간과 도구를 구비하고 있고, 평가와 기록을 충실히 하고 있다. 감각통합 교육 및 연수를 열심히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평가 없이 치료를 진행하는 경우도 있었고 교육 이수 없이 전문적 중재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경우도 있어서 감각통합치료 이론에 대한 전문적 인식 및 이해가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감각통합치료는 장애아동 재활치료에 중요한 치료이다. 전문적 치료사 양성을 위해서는 Ayres Sensory Integration(ASI) 이론을 정확히 교육하고 실습할 수 있는 전문교육과정이 필요하며, 수도권 외 지역에서 교육이 더 개최되어 지방에 근무하는 치료사들에게 교육의 기회를 확산하고 질적 수준을 높일 필요가 있겠다.

감각통합치료를 하는 아동작업치료사의 기관별 직무 차이 (Job Analysis Depending on Agency Type of Korean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ists Focused on Sensory Integration)

  • 홍은경;최정실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6-35
    • /
    • 2018
  • 목적 : 감각통합치료를 하는 아동작업치료사의 직무를 병원, 센터, 복지관에 따라 중요도, 빈도, 난이도를 분석하여 기관별 직무(과제)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7년 7월부터 9월까지 감각통합치료를 하고 있는 작업치료사 1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설문지는 감각통합치료 중심으로 하는 아동작업치료사의 직무분석의 직무기술서를 바탕으로 구성하여 온라인 및 오프라인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 병원, 센터, 복지관의 특성에 따라 과제의 중요도, 빈도, 난이도에 차이가 있었다. 기관별 중요도는 총 10개 과제에서 차이가 있었고, 빈도는 총 7개 과제, 난이도는 총 2개 과제에서 차이가 있었다. 결론 : 작업치료사는 기관별 직무의 특성이 상이함을 인식하고, 각 기관별로 강조되는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개인의 역량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그룹감각통합치료가 학령전기 지적장애 아동의 소근육 기능, 상호작용 및 놀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nsory Integration Group Therapy on Fine Motor, Social Interaction and Playfulness of Preschool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최지현;김희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5-34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학령전기 지적장애아동에게 제공한 그룹감각통합치료가 소근육 기능, 상호작용 및 놀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지적장애 등록을 한 만3~5세 아동 4명을 대상으로 주 1회 90분씩, 총 12회기 실시하였다. 그룹감각통합치료는 평행놀이와 또래놀이 중심의 대근육 활동과 주제에 맞는 미술활동과 감각놀이로 구성하였다. 결과측정은 Erhardt Developmental Prehension Assessment(EDPA)와 또래놀이 상호작용 평점척도(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PIPPS), 놀이다움(The Test of Playfulness; ToP)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사전사후 소근육 기능과 상호작용, 놀이를 평가하였다. 측정 결과는 윌콕슨 순위 검정(Wilcoxon matched-pair signed rank test)을 사용하여 소근육 기능과 상호작용, 놀이의 중재 전후로 차이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그룹감각통합치료 후, 소근육 기능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상호작용과 놀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결론 : 그룹감각통합치료는 상호작용과 놀이능력 향상에 유용한 치료적 접근방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지속적인 그룹 활동을 통하여 일상생활에서의 다양한 상황에 대한 일반화가 진행되길 기대한다.

감각통합 장애 아동을 위한 작업치료적 가정 방문 자원활동의 만족도 (The Satisfaction of Volunteer Activity to Home-visiting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Child with Sensory Integrative Dysfunction)

  • 이성아;최정실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7-64
    • /
    • 2006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suggest a model of the home-visiting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child with sensory integrative dysfunction through parent's satisfaction of volunteer activity to home-visiting occupational therapy. Method : A questionnaire survey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on after of volunteer activity to home-visiting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child with sensory integrative dysfunction. The 12 parents agreed on this service that students of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visited at home 2 or 3times during the 16weeks. Results : Parents responded that satisfaction was seen orderly agreed(66%), very agreed (34%) in the convenient portion of service process, orderly agreed(50%), very agreed(42%), moderate agreed(8%) in the therapeutic technique and professionalism, very agreed(58%), agreed(42%) in the portion of general satisfaction. Correlation was not between satisfaction of convenient portion and related questions, but in the student attitude and the therapeutic technique, professionalism and related question was related to all question except a family treatment access method portion. Conclusions : It will be able to present the model of the home-visiting service in various occupational therapy field above the results and home-visiting occupational therapy service system must be introduced with the hygienic medical treatment delivery system through the deepening research.

  • PDF

감각통합치료 세팅에서 일하는 작업치료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Job Satisfac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in Sensory Integration Treatment Setting)

  • 장문영;이미희;정혜영;정남해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3-44
    • /
    • 2012
  • 목적 : 본 연구는 감각통합치료 세팅에서 일하는 작업치료사의 직무만족도와 이와 관련된 요소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현재 감각통합치료 세팅에서 근무하는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회원 중 62명을 대상으로 2009년 12월 ~ 2010년 3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의 전체만족도는 35세 이상 그룹이 가장 높았고, 감독만족도는 감각통합치료학회 치료과정을 이수한 그룹이 가장 높았다. 임금만족도는 35세 이상, 임상경력 12개월 미만 그룹이 가장 높았고, 승진 만족도는 25세 미만 그룹이 가장 높았고, 동료만족도는 여성이 남성보다 높았다. 업무환경에 따른 직무의 전체만족도는 치료사 수가 5~10명 미만, 사설기관 그룹이 가장 높았다. 감독만족도는 일주일 치료 평균시간이 45시간 이상, 사설기관 그룹이 가장 높았고, 임금만족도는 치료사수가 15명 이상 그룹에서 가장 높았고, 100~150만원 미만 그룹이 150~200만원 미만그룹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치료사 수가 5~10명 미만인 그룹이 승진만족도와 기관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이직 의도는 장애전담어린이집 그룹이 가장 높았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조직규모와 근무기관의 형태는 직무만족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직무환경 개선은 조직규모에 따라 다른 관점의 접근이 필요하며, 근무기관의 형태에 따른 작업치료사의 전문성과 역할 정립을 통해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 PDF

짝 그룹 감각통합치료가 발달지연 아동의 감각처리, 또래와의 상호작용, 놀이발달에 미치는 영향: 사례보고 (The Effect of Paired-Group Sensory Integration Therapy on Sensory Processing, Peer Interaction, and Play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A Case Study)

  • 박미래;박윤이;김은지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2
    • /
    • 2021
  • 목적 : 본 연구는 짝 그룹 감각통합치료가 만 4세 발달지연 아동의 감각처리, 또래와의 상호작용, 놀이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짝 그룹 감각통합치료의 경험이 없는 2명의 대상자로 중재 40분, 부모 상담 10분씩 주 1회, 총 13회기를 시행하였다. 중재 프로그램은 감각처리조절을 위한 활동과 다양한 작업활동으로 구성하였다. 중재 전과 후를 비교하기 위해 Short Sensory Profile(SSP),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PIPPS), Knox Preschool Play Scale-Revised(KPPS-R)를 실시하여 결과를 측정하여 분석한 후, 시각화된 자료를 활용하여 제시하였다. 결과 : 짝 그룹 감각통합치료 중재 후 대상자 모두 SSP 평가에서 감각처리능력의 향상과 KPPS-R 평가에서 놀이발달의 증진을 보였다. 또한, 대상자들은 PIPPS 평가에서 부정적인 상호작용의 빈도수가 감소하였다. 결론 : 짝 그룹 감각통합치료는 발달지연 아동의 감각처리, 또래와의 상호작용, 놀이발달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앞으로 다양한 연령대의 대상자에게 짝 그룹 감각통합치료를 적용한 연구가 진행되기를 희망한다.

감각통합접근 부모교육이 발달지체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에 대한 부모의 이해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Parent Education Program Based on Sensory Integration Approach on the Parent's Understanding of Sensory Processing Abil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 박해성;김경미;장문영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3-43
    • /
    • 2015
  • 목적 : 감각통합접근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발달지체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에 대한 부모의 이해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 방법 : 연구 대상자는 발달지체 아동의 부모 30명으로, 연구 기간은 2015년 3월 15일부터 동년 5월 10일까지이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은 임의로 배정하였고, 실험군 15명에게는 감각통합접근 부모교육을 1:1로 집중적으로 시행하였다. 대조군 15명에게는 중재를 실시하지 않았다.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에 대한 부모의 이해도 변화는 단축감각프로파일(Short Sensory Profile: SSP)과 부모의 이해도 설문지로 측정하였다. 집단 간 치료 효과는 독립표본 t-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집단 내 치료 전후의 효과는 대응표본 t-검정을 사용하였다. 결과 : 단축감각프로파일의 총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아졌으며 부모의 이해도 설문지의 총점은 높아졌다. 이를 통해 감각통합접근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발달지체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에 대한 부모의 이해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효과 있는 중재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감각통합치료를 제공하는 치료사들에게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에 대한 부모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으로서 좋은 모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