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seon Dynasty era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24초

영건의궤(營建儀軌)에 실린 목부재용어(木部材用語)의 용례(用例)와 변천(變遷)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examples and changes of wooden member terms in Yeonggeon-euigwe)

  • 김재웅;이봉수
    • 건축역사연구
    • /
    • 제17권5호
    • /
    • pp.71-94
    • /
    • 2008
  • This study examines the examples and changes of wooden member terms in Yeonggeon-euigwe(營建儀軌) in the era of Joseon Dynasty. As a result of examining examples, about 240 wood member terms were found on the basis of phonetic value and examples different from today's term use were also confirmed. Wood member terms were derived in variety and synonym and different style, that is, coexistence or transition of several notations as the term indicating the same member was found. Derivation of detail terms has the characteristic increasing on the basis of morpheme and formation of different notation followed Chinese notation or was caused by complex coinage features like a coined word of Korea by the meaning of a word and borrowed character notation borrowing sound and it is also related to the specificity of that time which had dual language system. The typical examples without different style for long were pillar, rafter, door and window. Examples with active generation and selection of different styles included beam, capital and bracket-system terms. Different styles were caused by the combination of several notations including borrowed character in the process of Chinese character notation borrowing sound, Korean unique character emphasizing and limiting combination of 木 (wood) with side of character and Chinese. Period showing remarkable change of example notation was the compilation of ${\ll}$the Hwa-Sung-Sung-Euk-Eui-Gue${\gg}$ 華城城役儀軌. ${\ll}$the Hwa-Sung-Sung-Euk-Eui-Gue${\gg}$ is the representative type uigwe made by printed type not by handicraft. Printing by type accompanies unification of the shape of a character necessarily and it was considered that it resulted in the unification of character of different style, the number of strokes and minute difference of strokes, and it was interpreted that common use of intentional notation with the unification of the shape of a character was achieved.

  • PDF

한국적 디자인을 기본으로 한 패션문화상품 조끼디자인 개발 - 전통 창살문양 응용 - (Vest Design Development of Fashion Culture Products based on Korean Style - Application of Traditional Lattice Pattern of Doors -)

  • 최은주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12-419
    • /
    • 2019
  • This study is to help maintain the identity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 and develop fashion culture products by applying images and composition forms of traditional lattice patterns for vest designs. Lattice can be distinguished as a shape created through intersecting vertical and horizontal lines, in the form of oblique lines in vertical and horizontal structures, and in the form of an oblique line. Lattice patterns represent the overall unity and order as well as the beauty of small spaces created by simple lines. Traditional lattice patterns of the Joseon Dynasty were examined theoretically through the literature. Based on theoretical grounds, there is study illustrates vest designs using Adobe Illustrator CS6 as well as works on a 3D virtual costume using CLO Trial 4.2, a 3D virtual dressing system of CLO Virtual Fashion. This study developed an easy to wear vest design categorized as clothes for both men and women. The geometric formality of the lattice pattern has been applied to fashion culture products. In this study, the design was developed focusing on lattice, kotsal (flower pattern), sosulbitsal (diagonal), sotdaesal, tisal (horizontal & vertical).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in the domestic fashion cultural product market that can help maintain the originality of Korean culture in the global era that also assists in the successful promotion of Korean culture and traditions.

An Exploration of Crops Listed in Gwanhyuji, an Agricultural Book in the Joseon Dynasty for the Promotion of the Diversity of Urban Gardens

  • Hong, In-Kyoung;Chae, Young;Lee, Sang-Mi;Jung, Young-Bin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41-354
    • /
    • 2019
  • Urban agriculture, which promotes communication in vulnerable classes and the formation of social networks has been gaining attention with an emphasis on healthy city, elderly-friendly city, safe city and happy city as future keywords about urban life.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public awareness in many areas such as health, society, economy, and ecology. As an attempt to improve the diversity of urban gardens, this study begins with collecting suitable crops for urban gardens from "Imwongyeongjeji (林園經濟志)," an encyclopedia written by Yoo-Ku Seo, a scholar in the 18-19th century. Out of those recorded in "Gwanhyuji (灌畦志)," 128 kinds of crops with linkage of the historical achievements of the realists who gave their priority to public welfare were selected and 53 crops which had traditionality, historicality, health functionality and popularity were finally selected. The properties (cold, warm, clam) of the selected crops were evenly distributed, and there was no crop that was hot and cool. In addition, the number of crops that have a sweet taste was the highest, followed by spicy and bitter, but there was no salty vegetable, which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12 namuls (wild vegetables) that grow in seas were excluded in this study since they were not suitable for urban gardens. Urban gardens can be transformed from those that focus on primary production and secondary consumption activities into a new resource that offers educational and traditional values by applying humanities to urban agriculture as a content resource in the era of cultural consilience and convergence. It is expected to satisfy urban residents' intellectual and participatory needs and to enhance the diversity and utility of urban gardens by applying traditional knowledge to a new model of urban agriculture. We hope that further research will be conducted to develop new types and models of urban agriculture going forward.

고려시대 왕실호위제도의 사적 고찰 (Historical Review on the Security Service for the Royal Household in the "Goryeo" Era)

  • 이성진;김의영;이종환
    • 시큐리티연구
    • /
    • 제14호
    • /
    • pp.413-429
    • /
    • 2007
  • 고려시대의 왕실 호위라 함은 오늘날로 보면 국가원수에 대한 경호에 해당한다. 고려시대의 독특한 정치제도가 완성되기까지는 신라시대나 태봉국의 제도를 답습하여 왕의 신변을 중심으로 경호가 실행되었다. 고려의 중앙군은 2군과 6위라는 8개의 부대로 편성되었다. 2군은 6위보다 위였으며 이는 응양군(鷹揚軍)과 용호군(龍虎軍)으로서 이를 근장(近仗)이라고 불렀다. 이를 오늘날의 공경호와 관련을 지어보면 근접경호에 해당된다. 고려 귀족 사회의 안정기에 귀족문화의 전성기를 누렸으나 그 뒤로 귀족분열과 상극대립으로 중앙통제력이 약화되는 가운데 무신란이 일어나고 무신들이 집권함으로서 왕의 신변은 안정되지 못하였다. 최씨 무인집권시대에 이르러 무인집권의 안전을 위하여 도방을 설치했고 최우 시대에는 그의 문객들을 모아 사병들뿐만 아니라 정방, 서방, 등의 문신을 거느려 인사행정을 담당케 했다. 몽고에 항쟁하던 시대에는 무신통치의 군사적 기반이었던 삼별초를 중심으로 항쟁했다. 최씨 정권시대의 그들 나름의 국가관과 국가 호위의 정신을 알 수 있다.

  • PDF

창암(蒼巖) 이삼만(李三晩)의 학서(學書) 연마와 서예론(書藝論) 고찰 (A Study on Changam, Lee Samman's a course of learning calligraphy and calligraphy theory)

  • 김도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1호
    • /
    • pp.327-334
    • /
    • 2020
  • 조선 후기 3대 명필로 지칭될 만큼 독자적 서풍을 창안한 창암(蒼巖) 이삼만(李三晩)(1770~1845)은 '법고(法古)'를 중시하였는데, 한위대(漢魏代) 서예를 근본으로 하고, 동국진체(東國眞體)를 완성한 원교(圓嶠) 이광사(李匡師)를 마음의 스승으로 삼아 수련하였다. 만년에는 올바른 필법 전수를 위해 『창암서결(蒼巖書訣)』을 저술하여 보편적 서예의 기본원리와 자신의 서예관을 피력하였다. 창암(蒼巖)이 지향하는 서체는 해서(楷書) 근골(筋骨)의 확립을 통한 초서(草書)로 완결된다. 이를 위해 한위(漢魏)의 서체를 전범(典範)으로 제안하였는데, 온후간원(穩厚簡遠)한 한위근골(漢魏筋骨)은 무위자연적(無爲自然的) 무법(無法)의 경지를 보여준다. 이로 보아 창암(蒼巖) 서예론의 핵심이자 궁극적 지향점은 '자연(自然)'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법의 극치에 이르러 다시 무법(無法)으로 돌아가는 것으로, 여기에서 음양(陰陽)이 생성되고 형(形)·세(勢)·기(氣)가 부드러움을 도모하면 기괴(奇怪)함이 생겨난다고 보았던 것이다. 한편, 고법(古法)에 얽매이지 않고 우졸(愚拙)한 자연천성(自然天成)을 발현하면 장법과 포치가 일운무적(逸韻無跡)한 득필천연(得筆天然)을 이룬다고 강조하였다. 우리는 이 연구에서 그의 서체가 자연을 예술로 승화하면서, 조선 고유의 서예미를 끊임없이 접목·시도하였음을 살펴볼 수 있다. 그리하여 근골이 풍부하고 생명력과 역동감이 넘치는 형세를 이룬 일운무적(逸韻無跡)을 체화(體化)하였고, 득필천연(得筆天然)한 극공(極工)의 심미경지를 이루어 독창적인 '행운유수체(行雲流水體)'로 구현하였고 마침내 호남지방에 동국진체(東國眞體)의 서풍과 서예정신을 더욱 창달시켰다.

동양에 있어서의 인삼재배 역사 (The history of ginseng cultivation in Orient)

  • 고승태
    • 인삼문화
    • /
    • 제1권
    • /
    • pp.57-66
    • /
    • 2019
  • Ginseng has been recognized as a lifespan extending medicine which 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medicines classified as top medicines, as the Boncho (medical herbs) study which is influenced by the idea of guidance's costume and food concept mainly in China is gaining its bona fide form. As the demand for ginseng has been expanded to other levels, the demand for ginseng has been increasing. Ginseng from the nature reached its supply chain limit due to its extinction and difficulty of picking, so it translated into ginseng cultivation of economy rather than harvesting in nature. After the start of ginseng cultivation, the ginseng cultivation was further enhanced by the rapid development of processing methods such as white-ginseng and red-ginseng, and the surge of consumption due to the traditional belief in ginseng drug efficacy and support of scientific research. In the Joseon Dynasty, the name Gasam (cultivated ginseng) had been created as ginseng was cultivated on farmland after the stage of SanYang (wild cultivated ginseng), the purpose of the new name Gasam is to differentiate from natural ginseng, and natural ginseng lost its firm position as the genuine ginseng as the Gasam replaced the genuine ginseng, and the natural ginseng got a new name of SanSam (wild ginseng). Because the real ginseng substance concept dissipated, and as Gasam is being called ginseng, the name Gasam was also disappeared.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grow large quantities according to the arrival of the Gasam era, and it was possible to supply the demand for ginseng, and it could become one agricultural industry. In this ginseng cultivation, in Japan where ginseng did not grow naturally, it was difficult to obtain ginseng from Joseon and faced with a shortage of ginseng at all times. Therefore, the shogun cultivated the Gasam systematically at the national level by the inside of the shogunate. However, since the natural ginseng is native to China and Korea, there is a concern about the deterioration of the quality of natural ginseng due to the incorporation of cultivated ginseng (Gasam). To protect the interests, the cultivation of ginseng was subject to control. For this reason, the lack of historical information on Gasam cultivation, which had to be started secretly, would be a natural result. In this paper, althouh not sufficient enough, the historical informations were used to summarize the history of ginseng cultivation in China, Japan and Korea.

광서(匡西) 박진영(朴震英)의 사상적 토대 고찰 - 한강(寒岡) 정구(鄭逑)를 위시한 사승(師承) 관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deological foundation of Park jin-young[朴震英] - Mainly studied the relationship of Jung gu[鄭逑] -)

  • 김형태
    • 동양고전연구
    • /
    • 제54호
    • /
    • pp.235-252
    • /
    • 2014
  • 본 논문은 조선중기에 경상남도 함안을 기반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1592~1598)과 병자호란(丙子胡亂, 1636~1637) 및 이괄(李适)의 난(1624) 등 온갖 국난을 겪으면서 창의(倡義)하여 애국애민(愛國愛民)적 실천을 보여준 지식인 박진영의 사상적 토대를 살펴본 글이다. 따라서 본고는 박진영의 행적을 중심으로 그 사상적 토대에 초점을 맞추어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그가 대의명분(大義名分)에 뜻을 세우게 되었던 측면과 현실 참여의 측면 그리고 그의 달관(達觀)적 처세(處世) 등으로 나누어 논의를 전개하였다. 아울러 정구를 중심으로 그의 사상 형성에 영향을 끼친 사승 관계와 연관 지어 이를 고찰하였다. 박진영은 임병(壬丙) 양난(兩難) 이후, 조선 사회에 대두된 존주(尊周)사상의 대표적 인물 가운데 한 사람이며, 대의명분을 입지의 근간으로 삼았던 스승 정구의 사상이 제자인 박진영의 사상 형성에 큰 영향을 끼쳤고, 이는 또다시 대의명분에 입지한 조선시대의 전형으로서 박진영이 자리매김하는 데 일조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정구의 현실적 애민의식의 발로(發露)는 박진영이 국난의 어려움을 간과하지 않고, 창의(倡義)를 도모할 수 있었던 사상적 기반으로 작용했다고 하겠다. 마지막으로, 박진영은 유가적 사상에 기반을 두고 적절하게 처신했던 스승들의 사상에 영향을 받아 공명(功名)을 좇는 삶이 아닌, 시의에 따르는 삶을 영위했던 당대에 보기 드문 참지식인이었다고 할 수 있다.

문화정책 관점에서의 조선시대 여악에 대한 담론 연구 (Analysis on Policy Discourse of Female Traditional Musician in Joseon Era)

  • 권영지;홍기원
    • 지역과문화
    • /
    • 제6권3호
    • /
    • pp.29-53
    • /
    • 2019
  • 한국사회에서 여성예술인은 성불평등한 구조와 문화뿐만 아니라 역사적으로 부과된 여성예술가에 대한 왜곡된 대중적 인식이라는 이중고를 겪고 있다. 평상시에는 드러나지 않았던 이러한 인식은 문화예술계의 미투(metoo) 운동에서 성폭력의 피해자를 대하는 이차 가해의 행위를 통해 확인된 바 있다. 특별히 전통예술분야에서의 여성예술인에 대한 인식은 식민지 시대와 해방 이후 근대화 시기를 기점으로 수립된 음악정책의 특성으로 인하여 그 지위가 더 저급화되는 결과를 낳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여악, 여기, 기생 등의 다양한 명칭으로 불렸던 조선시대의 여성 예술인들은 그 시대의 권력이 생산하는 지식의 장에서 그 정체성 및 역할과 기능이 만들어졌는데 다차원적인 담론의 층위 중 섹슈얼리티에 관련되는 부분만이 지속적으로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논문은 젠더적 분석 없는 전통예술지원정책이 조래할 수 있는 위험(성폭력이 용이한 구조의 지속 등)을 인식하는 가운데 여성예술인이 관련된 정책 담론의 계보를 확인하여 보다 적실성 있는 정책대안을 도출할 수 있는 지식생산을 목적으로 한다. 그 첫 단계로서 여성국악인을 둘러싼 조선시대의 담론을 분석한다. 분석의 결과 여악을 둘러싼 담론은 정치철학적 차원, 음악이론적 차원, 그리고 사회문화적 차원으로 나눌 수 있었다. 이들 중 어떤 차원이 지속성을 유지하게 되는가는 다음 단계의 연구과제로 남겨둔다.

종묘 지당(池塘)의 변천(變遷)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Pond in the Jongmyo Shrine)

  • 오준영;김영모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9권4호
    • /
    • pp.64-79
    • /
    • 2016
  • 본 연구는 종묘(宗廟)의 지당(池塘)을 대상으로 조선시대부터 근현대기까지 진행된 변천과정의 규명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종묘 지당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세종실록"에서 확인된다. 세종 25년(1443)에 조성 중이던 지당은 지금의 상지(上池)를 가리키며, "국조오례의" "종묘전도"에 따르면 중도(中島)가 없는 형태의 방지(方池)였다. 숙종대의 중지(中池)에는 쌍도(雙島)가 조성되어 있었고, 중도(中島) 내에는 단풍나무, 박달나무 등을 비롯한 여러 수목이 식재되어 있었다. 또한 중지 내에는 무성한 연꽃도 자라고 있었다. 특히 쌍도 형식이었던 중지의 중도는 이후 단도(單島) 형식으로 변화하였는데, 영조(英祖) 연간에 이루어진 지당의 확장공사와 관련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근현대기에 이르러 이원적(二元的) 배치의 하지(下池)가 조성되면서 종묘의 지당은 본격적인 변형국면에 접어들었다. 근대기의 항공사진에 의하면 하지는 적어도 1947년 이전에 조성되었는데, 1980년대 중반에 이르러 이원적 배치의 하지 가운데 우측 하지가 매립되면서 일원화된 형태의 하지가 나타나게 되었다. 한편 "종묘배치도"와 국가기록원 소장 사진첩에 의하면 상지와 중지의 호안(護岸)은 본래 토축(土築)으로 조성되었지만 이후의 어느 시점에 석축(石築)으로 개축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옥환기봉>에 나타난 칠거지악 논쟁과 부부 담론 (Discussion on Chilgeojiak and Discourse of Married Couples in Okhwangibong)

  • 박은정
    • 고전문학과교육
    • /
    • 제39호
    • /
    • pp.99-135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옥환기봉>의 곽후 폐출 사건에 나타난 칠거지악 논쟁과 부부 담론을 고찰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 먼저 조선 시대 실재했던 출처 사건과 칠거지악 논쟁의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이미'와 '신태영'의 이혼 소송, 성종의 윤씨 폐출 사건 등을 통해 볼 때, 칠거지악의 조항 대부분은 판단 기준이 불분명하거나 논쟁적이다. <옥환기봉>의 곽후 폐출 사건 역시 칠거지악 논쟁을 소설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곽후는 투기하고 악행을 저질러 폐출되었지만, 그녀는 시부모에게 효성이 지극했고 아들을 낳았으며 무엇보다 조강지처였다. 이 과정에 대한 작가의 서술은 섬세하고 객관적이었으며, 당사자와 주변 인물들의 진술은 진정성을 가졌다. 그러니 독자들은 곽후의 폐출에 대해 선뜻 동의하기 어려웠을 것이고, 이러한 결론에 대한 문제 제기는 연작 창작으로 이어졌다. 곽후 폐출의 원인은 악행이었고, 그 원인은 투기였다. 그러나 투기의 원인은 '옥환과 음후의 존재, 광무제의 편벽된 사랑'이다. 즉 투기가 곽후만의 잘못은 아니다. 곽후의 악행에 개입하는 비현실적 요소, 곽후 중심의 서사구성도 독자들로 하여금 곽후를 옹호하게 하는 요인이다. 결국 '옥환기봉'이라는 제목은 반어적 성격을 가지며, <옥환기봉>은 '옥환'을 매개로 한 광무제와 음후의 사랑보다 당대 부부 담론의 현실을 보여준다. 이러한 의식은 연작에서도 그대로 이어지고 있으며, 현재에도 유효한 문제이다. 당대의 현실성과 오늘날의 현재성을 모두 획득하고 있다는 점에서 <옥환기봉>은 문제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