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o-Juk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8초

Acetaminophen 유도 간 손상에 대한 주적(酒敵)의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 of Joo-Juk on Acetaminophen-induced Liver Damage in Mouse Model)

  • 김성주;강형섭;신재석;설광화;허진;장선일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3-132
    • /
    • 2009
  • Acetaminophen (AP) is widely used as an over-the-counter analgesic and antipyretic drug. AP-induced hepatotoxicity is a common consequence of AP overdose and may lead to acute liver failur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liver damage in mice using single dose (300 mg/kg) of AP and the possible protective effects of administration (50-200 mg/kg body weight) of Joo-Juk on acetaminophen-induced liver damage in mice. The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nd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ctivities were determined in the plasma of mice. The effect of Joo-Juk on lipid peroxidation product thiobarbituric reacting substances (TBARS) and some antioxidant enzymes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d-aminolevulinate dehydratase ($\sigma$-ALA-D) activities, and gluthathione peroxidase (GPx), were also evaluated in the mouse liver homogenate. AP caused liver damage as evident by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d in plasma activities of AST and AL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losses in the activities of SOD, catalase, $\sigma$-ALA-D, and GPx and an increase in TBARS in the liver of AP-treated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However, Joo-Juk was able to counteract these effec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Joo-juk can act as hepato-protectant against AP toxicity and is a good candidate for further evaluation as an effective chemotherapeutic agent.

  • PDF

「승정원일기」에 기록된 녹두죽 활용에 대한 고찰 (Study on Use of Mung Bean Porridge Reported in Daily Records of Royal Secretariat of Joseon Dynasty)

  • 박주영;이향영;이진철;안상우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41-553
    • /
    • 2016
  • Medicinal porridge (藥粥) is made by putting rice or grains into a pot and boiling with water until a semi-liquid texture is obtained. Porridge is digested fast and absorbed by the body. Children or elderly people with weak digestive ability can eat it without difficulty. The authors of this literature focused on utilization of mung bean porridge (Nokdu-juk) based on SeungjeongwonIlgi (承政院日記), which is the daily record of the Royal Secretariat of the Joseon Dynasty from 1623 to 1910. Four cases were found. The first case used mungbean for treating fever diseases (熱症), the second as a meal alternative, the third for wound recovery, and the last case described the culture of the joseon dynasty. According to the actual cases in SeungjeongwonIlgi (承政院日記), mung bean porridge (Nokdu-juk) was actively used to lower fever and strengthen the spleen and stomach. When suffering from the after effects of a malignant tumor or serious liver disease (肝病), an infectious disease, or a serious physical wound, people ate mung bean porridge (Nokdu-juk). It is suggested that mung bean porridge (Nokdu-juk)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food treatment for the current medical field due to the prevalence of pain-killers and psychotropic drug abuse.

남해안 죽방렴의 세계중요농어업유산 등재 및 보존 방안 (A Scheme for listing on FAO GIAHS and Preservation of Juk-Bang-Ryeum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 이경주;권호종;정대율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325-336
    • /
    • 2019
  • 사천과 남해섬을 잇는 한려해상국립공원지역에는 우리나라에서 농어업유산으로 가장 보존가치가 높은 죽방렴이 있다. 남해안의 죽방렴은 국가 문화재 명승 제71호로 지정되었으며, 또한 국가중요 어업유산 제3호로 등재된 우리의 중요한 어업자산이다. 죽방렴은 지역주민들의 공동체적 자산으로서, 자연의 섭리에 순응하면서 환경을 보호하는 독특한 전통적 어로방식을 가진 어업형태로서, 바다에 아름답게 펼쳐진 경관은 미래에도 전해주어야 할 중요한 문화유산인 것이다. 본 연구는 남해안 죽방렴의 가치를 재평가하고, 이를 전통, 계승, 발전하고자 국제연합(UN)의 전문기구인 국제 연합의 식량농업기구(FAO)에서 인증하는 세계중요농어업유산(GIAHS)의 등재를 위한 요구사항 분석을 통하여 신청서 작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만들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FAO의 GIAHS 등재를 위한 주요 특성과 요건들을 하나씩 검토하고, 죽방렴이 이러한 특징들을 갖추었는가를 분석한다. 그리고 죽방렴의 역사성과 현재 상태를 살펴보고 이것을 효과적으로 보존하기 위한 방안들 제시한다.

주류 제조를 위한 효소 당화에 쌀의 전처리가 미치는 영향 (Effect of Rice Pre-treatment on Enzymatic Saccharification in the Brewing Process)

  • 안진옥;정장호;이승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77-283
    • /
    • 2017
  • 전통 양조법을 활용하여 인공감미료를 첨가하지 않고 단맛이 보완된 전통주를 개발하기 위하여 고문헌에 기록된 주류 제조 시 쌀의 전처리 8가지 방법 즉, 죽, 범벅, 설기떡, 구멍떡, 물송편, 인절미, 개떡, 고두밥과 누룩에 존재하는 당화효소인 ${\alpha}$-, ${\beta}$-glucoamylase에 의한 당의 생성을 확인하였다. ${\alpha}$-amylase에 의해 생성된 maltose의 경우 반응 초기에는 개떡 > 설기떡 > 범벅 > 물송편 > 죽 > 인절미 > 구멍떡 > 고두밥의 순이었으나 48시간 후에는 인절미 > 범벅 = 고두밥 > 구멍떡 > 개떡 = 물송편 > 설기떡 > 죽의 순서로 생성양의 차이를 보였다. ${\beta}$-amylase 처리구의 maltose 생성은 ${\alpha}$-amylase 처리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며, glucoamylase는 고두밥에서 약 10 mg/ml의 glucose가 생성되어 maltose의 생성과는 달리 8가지 전처리 방법 중 최대의 glucose 생성을 보였다. ${\alpha}$-amylase, ${\beta}$-amylase, glucoamylase 병행 처리한 경우는 ${\alpha}$-와 ${\beta}$-amylase에 의해 가수분해 되어 생긴 말단에 glucoamylase가 작용하여 glucose의 생성이 증가되었다. 술덧의 당 함량 변화를 보면 쌀의 전처리 방법에 따라 최종 잔당 함량에 차이를 보여 감미료를 첨가하지 않고 멥쌀로도 단맛이 보완된 술을 제조할 수 있는 배합비와 제조공정이 가능하게 되었다.

남해안의 전통적인 수산 어로방식인 죽방렴의 문헌적 고찰 (A Literature Review of Traditional Fishing Instrument with Bamboo Weir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Peninsula)

  • 이경주;권호종;정대율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469-480
    • /
    • 2019
  • 본 연구는 죽방렴에 관한 역사적 근거를 찾고자 문헌적 고찰을 통하여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를 보다 높이고, 그 기원을 증명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농업과 수산업을 중심으로 살아왔다. 과거 어로기술의 부족으로 어로도구가 충분치 않았던 시절에는 죽방렴은 국가의 중요한 어업자원이자 자산이었다. 죽방렴은 과학적 구조원리에 의해 만들어져 있어 우리 조상들의 지혜를 엿볼 수 있다. 죽방렴은 자연의 섭리에 순응하고 환경을 보호하는 어로방식이자 지역주민들의 공동체적 자산으로서 미래에도 전해주어야 할 문화유산이다. 문헌상 죽방렴의 기원은'어량' 또는 '방염'에서 찾을 수 있다. 이에 관한 기록은 고려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나 그 문헌적 기록이 희귀하며, 대부분이 조선시대의 기록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의 남해안 지역의 문헌적 기록들을 중심으로 조사, 연구하였다. 죽방렴에 대한 문헌적 기록에 대한 본 연구는 친환경적인 어로방식을 추구한 우리조상들의 문화자산을 지키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며, 세계기록유산의 등재를 위한 기록물에 근거한 객관적인 자료를 만드는데도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죽방렴의 문화유산적 가치와 비즈니스적 가치 탐색 연구 (A Research of Cultural Heritage and Business Value of the Juk-Bang-Ryeum(Fishing Instrument made-by Bamboo Weir))

  • 강명화;이경주;권호종;정대율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425-435
    • /
    • 2018
  • 본 연구는 경남 사천지역에 잔존해 있는 죽방렴의 실제 현황조사와 여러 역사적 문헌 고찰을 통해 죽방렴의 문화적 가치와 비즈니스 가치를 연구하여 지역문화자원으로서의 가치를 입증하고 세계농어업유산과 세계문화유산의 등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만드는 것이 목적이다. 농업과 더불어 수산업은 인류 역사에 있어 지대한 의미를 가진다. 특히,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의 지정학적 요인으로 인하여 매우 중요한 산업으로 발전하여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르는 양식산업 이전 원시산업의 채집, 수렵할 때부터 이어온 여러 어로방식 중 실제로 남아있는 것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경남 남해안의 사천과 남해지역에는 오백년 이전부터 지금까지 존재하여 실제로 운영하는 '죽방렴'이 있다. 이것은 예전부터 국가의 중요한 어업자원으로 관리되어져 왔다는 것을 여러 문헌적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다. 죽방렴은 자연지리적인 해협의 조류 흐름을 이용하여 고기를 채집하는 과학적 원리에 기초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우리조상들의 지혜가 담긴 것이다. 조사결과, 죽방렴과 관련한 독특한 지역공동체의 문화가 존재하였으며, 주민들에게도 중요한 자산으로 관리되어져 왔다. 죽방렴은 이러한 역사, 인문학적 가치뿐만 아니라, 과학적 어로원리 이해교육과 해양어로작업 체험장과 같은 교육적 가치와 주변의 역사유적 및 지질환경자원과 연계하여 지역의 중요한 관광자원으로서 비즈니스적 가치를 지닌다. 결론적으로 죽방렴은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으로서 전승해야할 주요 자산인 것이다.

A Genome Wide Association Study on Age at First Calving Using High Density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Chips in Hanwoo (Bos taurus coreanae)

  • Hyeong, K.E.;Iqbal, A.;Kim, Jong-Jo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10호
    • /
    • pp.1406-1410
    • /
    • 2014
  • Age at first calving is an important trait for achieving earlier reproductive performance. To detect quantitative trait loci (QTL) for reproductive traits, a genome wide association study was conducted on the 96 Hanwoo cows that were born between 2008 and 2010 from 13 sires in a local farm (Juk-Am Hanwoo farm, Suncheon, Korea) and genotyped with the Illumina 50K bovin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chips. Phenotypes were regressed on additive and dominance effects for each SNP using a simple linear regression model after the effects of birth-year-month and polygenes were considered. A forward regression procedure was applied to determine the best set of SNPs for age at first calving. A total of 15 QTL were detected at the comparison-wise 0.001 level. Two QTL with strong statistical evidence were found at 128.9 Mb and 111.1 Mb on bovine chromosomes (BTA) 2 and 7, respectively, each of which accounted for 22% of the phenotypic variance. Also, five significant SNPs were detected on BTAs 10, 16, 20, 26, and 29. Multiple QTL were found on BTAs 1, 2, 7, and 14. The significant QTLs may be applied via marker assisted selection to increase rate of genetic gain for the trait, after validation tests in other Hanwoo cow populations.

요통 치방에 대한 문헌적 고찰 (The Literatural Study on Prescription about Low Back Pain)

  • 이성환;김영일;양기영;김정호;허윤경;이현
    • 혜화의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1-59
    • /
    • 2007
  • From the study of prescription on low back pain,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obtained. 1. Among classified cause of low back pain, ShinHur(腎虛) lowback pain and its prescription was most mentioned. 2. Prescriptions such as ChungAWhan(靑娥丸), KookBangAnShinWhan(局方安腎丸) BoSooDan(補髓丹) BaekBaeWhan(百倍丸) DooChungWhan(杜沖丸) JangBonDan(壯本丹) NokKakWhan(鹿角丸) were used in ShinHur(腎虛) type low back pain. 3. Prescription such as TaekRanTang(澤蘭湯) JiRyongSan(地龍散) YoeShinSan(如神散) ShinKookJoo(神麴酒) SoeGuenSan(舒筋散) were used in JwaSumJilBak(閃挫跌撲) type low back pain. 4. Prescription such as ChangChulTang(蒼朮湯) JumTongTang(拈痛湯) ChulBuTang(朮附湯) YiChoChangBaekSan(二炒蒼栢散) were used in SeupYoel(濕熱) type low back pain. 5. Prescription such as ChunGoongYookGaeTang(川芎肉桂湯) GaMiSaMulTang(加味四物湯) PaHoelSanDongTang(破血散疼湯) JiRyongSan(地龍散) were used in UhHoel(瘀血) type low back pain. 6. Prescription such as (蒼術復煎散) (五積散) (摩腰丹) (滲濕湯) were used in HanSeup(寒濕) type low back pain. 7. Prescription such as GaMiYiJinTang(加味二陳湯) GongYeonDan(控涎丹) SaMoolTangHapYiJinTangGaMi(四物湯合二陳湯加味) were used in DamUem(痰飮) type low back pain. 8. Prescription such as OhJukSanGaMi(五積散加味) OhYakSoonGiSanGaMi(烏藥順氣散加味) GaMiYongHoSan(加味龍虎散) SoSokMyoungTang(小續命湯) were used in Poong(風) type low back pain. 9. Prescription such as (四物湯合二陳湯) (仰腰湯) were used in SikJuk(食積) type low back pain and (五積散) (煨腎散) (三花神祐丸) in Seup(濕) type low back pain. 10. Prescription such as ChilKiTang(七氣湯) ChimHyangGangKiTang(沈香降氣湯) ChoKiSan(調氣散) InSamSoonKiSan(人參順氣散) were used in Ki(氣) type low back pain.

  • PDF

독락당(獨樂堂) 일곽(一郭)의 계획개념과 설계원리 (The Planning Concepts and Design Principles of Dok-Rak-Dang Block)

  • 장선주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93-101
    • /
    • 2013
  • This research purposes to understand architectural aim which the owners of buildings in the Doa-Rak-Dang block pursue through the history of family and construction. Moreover its other purpose is to find the design concepts which were selected to achieve the aim and the design elements which were applied to realize the design concepts. To accomplish the objects, it got rid of a stationary viewpoint but it approached with a dynamic viewpoint which can read the changes in the steps during various periods. Through the 100-year history of construction, the architectural aim of the Doa-Rak-Dang block is to establish the tradition of the Ok-San-Pa family to get over the social limitations of the family of a child by a concubine which began from Lee, Eun-Juk's mistress. The design concepts which were used by the owners of the Dok-Rak-Dang block to achieve the purpose are the extension of public territory and the enrichment of territoriality which have social-political, economical and symbolic means. The geometric applications such as axises and regulating lines were the design elements which were chosen to fulfill the concepts. If the establishment of the architectural aim and design concepts, the process of selecting and constructing proper design elements, and the geometric application in the process are the design principles of the Doa-Rak-Dang block, the principles can be summarized as the geometric applications of axises and regulating lines interacting as the standard of the extension of public area.

미기록 외래잡초 영국갯끈풀의 국내 분포와 식물학적 특성 (Distribution and Botanical Characteristics of Unrecorded Alien Weed Spartina anglica in Korea)

  • 김은규;길지현;주영규;정영상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1호
    • /
    • pp.65-70
    • /
    • 2015
  • 영국갯끈풀(Spartina anglica)은 영국 남부해안 원산의 다년생 염생 잡초로, 2012년 강화도 동막 해변에서 분포가 최초로 확인되었다. 이에 분포 및 확산실태를 보고하며 식별을 위한 식물학적 특성을 제시하였다. Spartina 속은 중국을 포함한 세계 여러 나라에 도입되어 생태공학적 측면의 장점이 인정되었으나, 갯벌을 단일 초지화시키면서 염습지의 생태적 기능을 상실시키는 침입성이 강한 식물로 알려졌고, 제거가 쉽지 않아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국의 서해안 갯벌에서 출현한 영국갯끈풀의 확산은 국내 갯벌 생태계에 심각한 위협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적극적인 제거방안 수립과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