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int interpolation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31초

디지털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옵셋과 반송파 위상의 간단한 동시 추정 알고리듬 (Low-Complexity Joint Estimation Algorithms of Frequency Offset and Carrier Phase for Digital Communication Systems)

  • 홍대기;강성진;주민철;김용성;조진웅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11C호
    • /
    • pp.1581-1591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주파수 옵셋 및 반송파 위상을 간단히 동시에 추정하기 위한 세 가지 알고리듬(low-complexity joint estimation algorithms : LJEAs)을 제안한다. 제안된 LJEA들의 핵심은 수신 신호의 주파수 및 위상 스펙트럼에서 주엽(main lobe)의 상관값을 이용하여 내분점을 기초로 보간한 후 주파수 옵셋 및 반송파 위상을 추정하되 주파수 옵셋을 먼저 추정하고 추정된 주파수 옵셋을 이용하여 반송파 위상을 동시에 추정하는 것이다. 제안된 LJEA들은 추정 범위( f$_{d}$${\times}$T$_{s}$ )가 1/2N$_{s}$ 혹은 1/N$_{s}$ 보다 작으며 이는 기존 알고리듬의 추정 범위와 비슷하다. 그러나 LJEA들은 오직 2N$_{s}$ 또는 4N$_{s}$ 의 복소 곱셈만이 필요하므로 기존 알고리듬에 비해서 매우 간단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LfEA들의 추정 성능은 기존 알고리듬의 성능보다도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제안된 LJEA들은 위성 통신 시스템과 같은 버스트 모드 디지털 전송을 하는 시스템에서 주파수 옵셋 및 반송파 위상을 동시에 추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A method for underwater image analysis using bi-dimensional empirical mode decomposition technique

  • Liu, Bo;Lin, Yan
    • Ocean Systems Engineering
    • /
    • 제2권2호
    • /
    • pp.137-145
    • /
    • 2012
  • Recent developments in underwater image recognition methods have received large attention by the ocean engineering researchers. In this paper, an improved bi-dimensional empirical mode decomposition (BEMD) approach is employed to decompose the given underwater image into intrinsic mode functions (IMFs) and residual. We developed a joint algorithm based on BEMD and Canny operator to extract multi-pixel edge features at multiple scales in IMFs sub-images. So the multiple pixel edge extraction is an advantage of our approach; the other contribution of this method is the realization of the bi-dimensional sifting process, which is realized utilizing regional-based operators to detect local extreme points and constructing radial basis function for curve surface interpolation. The performance of the multi-pixel edge extraction algorithm for processing underwater image is demonstrated in the contrast experiment with both the proposed method and the phase congruency edge detection.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이족보행로봇의 균형 궤적 생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eneration of balancing trajectory for biped robot using genetic algorithm)

  • 김종태;김진걸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5권8호
    • /
    • pp.969-976
    • /
    • 1999
  •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generation of a balancing trajectory for improving the walking performance. The balancing motion has been determined by solving a second -order differential equation. However, this method caused some difficulties in linearizing and approximating the equation and had restrictions on using various balancing trajectories. The proposed difficulties in linearizing and approximating the equation and had restrictions on using various balancing trajectories. The proposed method i this paper is based on the genetic algorithm for minimizing the motins of balancing joints, whose trajectories are generated by the fifth-order polynomial interpolation after planning leg trajectories. The real walking experiments are made on the biped robot IWR-III, developed by our Automatic Control Laboratory. The system has 8 degrees of freedom and the structure of three pitches in each leg, and one roll and one prismatic joint in the balancing joints. The experimental result shows the validity and applicability of the new proposed algorithm.

  • PDF

Ruled Surface의 곡률이론을 이용한 새로운 로봇궤적제어기법

  • 김재희;김상철;유범상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199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83-691
    • /
    • 1997
  • This paper presents a new robot trajectory generation method based on the curvatre theory of ruled surfacees. robot trajectory is represented as a ruled surface generated by the TCP (Tool center point ) and any one unit vector among the tool frame (usually denoted O, A,N). The curvature theory of ruled surfaces provides the robot control algorithm with the motion property oarameters. The proposed method eliminates the necessity of approximation technic of either joint or cartesian interpolation. This technic may give new methodology of precision robot control. Especially this is very efficient when the robot traces an analytical or form surface if the surface is geometrically modelled.

  • PDF

Ball 곡선을 이용한 Fitting 알고리즘 (Curve Fitting with Recursive Ball Curve)

  • 이아리;최영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8A권1호
    • /
    • pp.42-47
    • /
    • 2001
  • In this paper, we present a curve fitting algorithm using a ball curve. Our algorithm is recursive method for fitting, which is not a traditional ball function but a continuous ball function. This algorithm consists of two steps. The first step, it is classified the composite corner points to joint points until selected from the given data set. The second step is the curve fitting. The basis function for curve fitting is use to ball function. Also, the weighted least square method, to insert knot, is an efficient method for piecewise ball curve and ball curve segments will be smoothly connected at all composit points. The proposed algorithm will be applied to represent image representation, like fonts, digital image and GIS.

  • PDF

선택적 가중치를 이용한 깊이 영상 업샘플링 알고리즘 (Depth Image Upsampling Algorithm Using Selective Weight)

  • 신수연;김동명;서재원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1371-1378
    • /
    • 2017
  • 본 논문은 양방향 가중치를 이용하는 기존의 업샘플링 방법들에서 나타난 색상 텍스쳐 복사(color texture copy)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선택적 양방향 가중치와 라플라시안 함수를 이용한 색상 가중치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먼저 3차 회선 보간법(bicubic interpolation)을 통해 높은 해상도의 깊이영상을 생성한다. 그 후 색상영상과 깊이영상의 주변 화소값 차이를 이용하여 색상 텍스쳐 영역을 추정한다. 만일 보간 된 화소가 색상 텍스쳐 영역에 속한다면 해당화소를 포함하는 $3{\times}3$ 영역의 화소들에 대한 거리정보와 깊이정보의 가중치를 구하고 경계 화소값 결정을 위한 비용계산을 수행한다. 반면에 색상 텍스쳐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화소는 깊이정보 가중치 대신 색상정보 가중치를 구하여 비용계산을 수행한다. 아홉 개의 화소에 대한 비용계산이 끝나면 가장 작은 경계 화소값 결정 비용을 가지는 화소 값을 결과영상의 화소값으로 정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PSNR 및 주관적 화질 비교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8주간의 체중을 이용한 저항운동 시 전신진동 유·무에 따른 노인 여성하지의 발바닥쪽굽힘근의 생체역학적 특성 변화 (Changes in the Biomechanical Properties of Ankle Plantarflexors Following 8-week Resistance Training with or without Whole-Body Vibration in Older Women)

  • 한보람;이대연;정시우;이해동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99-415
    • /
    • 2014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sistance training with and without whole-body vibration(WBV) on the bio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lantarflexor in the elderly women (>60 yrs., n=35). Thirty-five volunteers were randomly assigned to a resistance training with WBV group (RVT, n=14), a resistance training without WBV (RT, n=11), and a non-training control group (CON, n=10). The RVT and the RT groups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sessions three times a week for 8 weeks, followed by a 4-week detraining period. The CON group was instructed to refrain from any type of resistance training. To assess strength and activation of the plantarflexor muscles, maximum isometric ankle plantarflexion torque and muscle activation of the triceps surae muscles were measured using dynamometry, twitch interpolation technique and electromyography at four different ankle joint angles. Also, the lower extremity function was assessed by vertical jumping. The measurements were performed prior to, 2 and 8 weeks after the training and after a 4-week detraining period. Following the 8-week training sessions, an increase in the isometric plantarflexion strength was found to be greater for the RVT compared with the RT group (p<.05). Muscle inhibi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raining than before training only for the RVT (p<.05). Following the detraining period, a decrease in isometric plantarflexors strength and a increases in muscle inhibition were significantly less in the RVT compared with the RT group. In conclusion, the exercise with WBV is a feasible training modality for the elderly and seems to have a boosting effect when used with conventional resistance training.

고품질의 고해상도 깊이 영상을 위한 컬러 영상과 깊이 영상을 결합한 깊이 영상 보간법 (Depth Image Interpolation using Fusion of color and depth Information)

  • 김지현;최진욱;손광훈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10
    • /
    • 2011
  • 3D 콘텐츠를 획득하는 여러 가지 방법 중 2D-plus-Depth 구조는 다시점 영상을 얻을 수 있는 장점 때문에 최근 이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 구조를 통해서 고품질의 3D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고품질의 깊이 영상을 구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깊이 영상을 얻기 위해서 Time-of-Flight(ToF)방식의 깊이 센서가 활용되고 있는데 이 깊이 센서는 실시간으로 깊이 정보를 획득할 수 있지만 낮은 해상도와 노이즈가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깊이 영상의 특성을 보존하는 상환 변환을 하여야지만 고품질의 3D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주로 깊이 영상의 해상도를 높이기 위해서 Joint Bilateral Upsampling(JBU)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 방식은 4배 이상의 고 해상도 깊이 영상을 획득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고해상도의 깊이 영상을 얻기 위해서 보간법을 수행하여 가이드 영상을 만든 후 Bilateral Filtering(BF)을 처리함으로써 영상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2D-plus-Depth 구조에서 얻은 컬러 영상과 깊이 영상을 결합한 보간법을 통해서 깊이 영상의 특성을 살린 가이드 영상을 구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는 제안 방법이 기존 보간법보다 경계 영역 및 평활한 영역에서 깊이 영상의 특성을 잘 보존하는 것을 보여준다.

  • PDF

고품질 및 고해상도 깊이 영상 구현을 위한 새로운 결합 보간법 (The new fusion interpolation for high resolution depth image)

  • 김지현;최진욱;류승철;김동현;손광훈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2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40-43
    • /
    • 2012
  • 3차원 영상 기술은 방송, 영화, 게임, 의료, 국방 등 다양한 기존 산업들과 융합하며 새로운 패러다임을 형성하고 있으며, 고품질 및 고해상도의 3차원 영상 획득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3차원 입체 영상을 제작 하는 방법 중 하나인 2D-plus-Depth 구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2D-plus-Depth 구조는 Charge-Coupled Device(CCD) 센서 등을 이용한 일반 카메라와 깊이 카메라를 결합한 형태로써 이 구조로부터 얻은 깊이 영상의 해상도를 상향 변환하기 위해서 Joint Bilateral Upsampling(JBU)[1], 컬러 영상의 정보를 활용한 보간법[2] 등의 방법들이 사용된다. 하지만 이 방법들은 깊이 영상을 높은 배율로 상향 변환할 경우 텍스처가 복사되거나 흐림 및 블록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2D-plus-Depth 구조에서 얻은 고해상도 컬러 영상에서 보간 정보를 구하고 이 정보를 저해상도의 깊이 영상에 적용하여 상향 변환된 가이드 깊이 영상을 제작한다. 이 가이드 깊이 영상을 Bilateral Filtering[8]을 이용함으로써 고품질의 고해상도 깊이 영상을 획득한다. 실험 결과 제안하는 방법으로 해상도를 상향 변환을 할 경우에 기존의 보간법들에 비해 깊이 영상의 특성을 잘 보존함을 확인할 수 있고, 가이드 깊이 영상에 필터링을 처리한 결과가 JBU의 결과보다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트랜스코더의 해상도 변환 모듈과 움직임 추정 모듈의 공동 최적화 (Joint Optimization of the Motion Estimation Module and the Up/Down Scaler in Transcoders television)

  • 한종기;곽상민;전동산;김재곤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70-285
    • /
    • 2005
  • 해상도 변환모듈과 움직임 예측모듈은 트랜스코더를 이루는 중요한 모듈이다. 본 논문에서는 트랜스코더 시스템의 이 두 가지 모듈을 공동 최적화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먼저 주어진 움직임 벡터에 대해 해상도 변환모듈을 최적화한 후, 최적화된 해상도 변환모듈에 대해 최적의 움직임 벡터를 결정한다. 기존 해상도 변환 기법들은 한 영상에 대해 변환함수를 최적화하여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해상도 변환 최적화를 위하여 적응적 3차 회선 변환기를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3차 회선 변환기의 인자값을 각 매크로블록 단위로 영상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적응적으로 조절한다. 움직임 예측모듈에서는 기존의 고속 트랜스코더 알고리듬에서 많이 연구된 움직임 벡터의 재사용 기법을 사용하였다. 입력 영상의 움직임 벡터를 재사용 함으로써 연산량을 줄일 수 있고 이를 기본 움직임 벡터로 사용해 작은 영역에서 재탐색해 움직임벡터를 결정할 경우 전역탐색기법과 거의 동일한 화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다. 해상도 변환모듈과 움직임 예측모듈의 공동 최적화를 통해서 트랜스코딩된 영상의 화질 열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공동 최적화 기법이 기존에 연구 되었던 다른 기법에 비해 화질의 열화가 적은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를 통해 다른 기법과 비교해 해상도 변환으로 인한 정보의 손실이 가장 적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