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int closure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35초

C형 경골천정 골절에 대한 일리자로브 외고정술 (ILIZAROV FIXATION FOR THE TYPE C TIBIAL PLAFOND FRACTURES)

  • 조헌오;곽경덕;조성도;김병용;오장호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1-58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te the efficacy af the Ilizarov external fixation for the surgical treatment. of the tibial plafond fractures. We reviewed retrospectively fourteen cases of tibial plafond fractures with moderate to severe soft. tissue damage, which were fixed with Ilizarov external fixator. Using the AO Muler classification, there were four Type C1 fractures, six Type C2 and four Type C3. In most, of the cases, the ankles were operated on with other associated fractures within a few days after injury. We reduced the fracture indirectly by soft issue taxis and fixed externally across the ankle joint. using the circular external fixator with tensioned wires and ankle hinge. In cases of inadequate closed reduction, we applied limited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Range of motion exercise began immediately. Postoperative follow-up averaged fourteen months (ranges, 8-30 months). Overall clinical results rated good or excellent in 7 cases, fair in 4 and poor in 3. There were three cases of pin tract infection which were resolved with short-term antibiotics and local care; one delayed wound closure in a patient. whose fracture was associated with Type III open wound; one wound slough in a patient associated with Type II open wound, which was closed later by skin graft; and one osteoarthritis. From this review, we concluded that cross-ankle circular external fixation with tensioned wires with or without. limited open reduction is a reasonable alternative for the treatment of the tibial plafond fractures with severe soft tissue damage.

  • PDF

수족부 연부조직 결손의 재건에 있어서 지방근막피판술의 유용성 (Versatility of Adipofascial Flap for the Reconstruction of Soft Tissue Defect on Hand or Foot)

  • 천남주;김철한;신호성;강상규;탁민성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4권6호
    • /
    • pp.759-764
    • /
    • 2007
  • Purpose: Various types of flaps, with their own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have been described for reconstruction of soft tissue defect with exposure of tendons, bones, or joints in the hand or foot. Local flaps with random vascularity have a limitation by their length. Free flaps are time-consuming procedure that may require the sacrifice of some major vessels. The ideal flap for covering soft tissue defects of the hand or foot must provide subcutaneous tissue that tendons can glide through which, supply enough subcutaneous tissue for cover of vital neural, bony, vascular and joint structures, and it has to be aesthetically pleasing. The adipofascial flap fulfills these criteria. It allows immediate or early closure of difficult wound of hand and foot in an easy way, and is especially indicated for small to medium-sized defects. Methods: From October 2005 to December 2006, seven cases underwent this procedure to reconstruct soft tissue defect on hand or foot. Results: All flaps survived completely, and no complications were observed. Conclusion: The adipofascial flap is a convenient flap for coverage of soft tissue with exposure of vital structure in the hand or foot, and provide several advantages, as following; easy and safe, short operating time, one stage procedure, thinness and good pliability of the flap, preservation of the major vascular pedicles, skin preservation at the donor site, thus preserve the shape of the limb and minimize donor site scar.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지하채광 확정선외 혼입 예측과 분석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Prediction and Analysis of Unplanned Dilution in an Underground Stoping Mine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 장형두;양형식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4권4호
    • /
    • pp.282-288
    • /
    • 2014
  • 스토핑 채광법은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지하 금속광 채광법 중 하나이다. 그러나 채광과정에서 발생하는 확정선외 혼입은 광산 전반의 생산성을 떨어뜨리며 때때로 폐광의 주요 원인을 제공하기도 하여 그 예측과 관리가 시급한 실정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 호주의 한 지하광산에서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인공 신경망(ANN)을 이용하여 보다 신뢰성 있는 확정선외 혼입 예측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연결가중 알고리즘(CWA)에 의한 요인분석을 통해 확정선외 혼입의 영향인자에 대한 기여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제안된 확정선 외 혼입 예측 ANN 모델의 학습과 시험 단계의 상관계수는 0.9641과 0.7933으로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CWA분석결과 발파공 길이(BHL)과 절리 방향 안전계수(SFJ)의 기여도가 18.78%와 17.99%로 다른 인자에 비해 비교적 중요한 영향인자 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오각형피판과 최소한의 피부이식을 이용한 합지증의 교정 (Correction of Syndactyly using Pentagonal Flap with Minimal Skin Graft)

  • 배병만;어수락;김인규;고성훈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4권1호
    • /
    • pp.64-69
    • /
    • 2007
  • Purpose: The key of treatment in syndactyly is to separate the fused digits safely, and to create a normal web space with enough cutaneous coverage. Despite many techniques have described the correction of syndactyly, skin graft still remains the annoying one. We designed the pentagonal flap from hand dorsum to reconstruct the web space reliably and try to minimize the need for skin graft. Methods: Between July 2003 and August 2005, six cases of syndactyly were corrected at UCLA Medical Center and Hallym University Sacred Heart Hospital using dorsal pentagonal flap for web space reconstruction and straight incisions for the sides of digits to minimize the need for skin graft. The proximal edge of the pentagonal flap was designed in V shape to allow for easy closure of the donor site after advancement. The pentagonal flap was advanced volarly with the underlying dermofat tissues to form a digital web. In some cases, skin defects were unavoidable and covered with full thickness skin graft from the inguinal area. Results: Syndactyly were seen in 4 cases of Apert syndrome, 1 postburn scar webbing with PIP joint contracture and 1 recurrence after the incomplete reconstruction. In all Apert syndrome, straight line incision was used along the sides of the fingers and skin graft was needed. But, in 2 cases of incomplete type, we could save the need for skin graft only for the correction of syndactyly. We could get a good looking web space without any complications such as flap or graft loss. Conclusion: As a modification of Sherif's V-Y dorsal metacarpal flap, we believe pentagonal flap could be one of the easiest and safest way to reconstruct the web space of syndactyly in functional and cosmetic standpoint.

광범위한 안면외상 환자에서의 미세술기를 이용한 재건술 (Microsurgical reconstruction of posttraumatic large soft tissue defects on face)

  • 백우열;송승용;노태석;이원재
    • 대한의사협회지
    • /
    • 제61권12호
    • /
    • pp.724-731
    • /
    • 2018
  • Our faces can express a remarkable range of subtle emotions and silent messages. Because the face is so essential for complex social interactions that are part of our everyday lives, aesthetic repair and restoration of function are an important tasks that we must not take lightly. Soft-tissue defects occur in trauma patients and require thorough evaluation, planning, and surgical treatment to achieve optimal functional and aesthetic outcomes, while minimizing the risk of complications. Recognizing the full nature of the injury and developing a logical treatment plan help determine whether there will be future aesthetic or functional deformities. Proper classification of the wound enables appropriate treatment, and helps predict the postoperative appearance and function. Comprehensive care of trauma patients requires a diverse breadth of skills, beginning with an initial evaluation, followed by resuscitation. Traditionally, facial defects have been managed with closure or grafting, and prosthetic obturators. Sometimes, however, large defects cannot be closed using simple methods. Such cases, which involve exposure of critical structures, bone, joint spaces, and neurovascular structures, requires more complex treatment. We reviewed and classified causes of significant trauma resulting in facial injuries that were reconstructed by microsurgical techniques without simple sutures or coverage with partial flaps. A local flap is a good choice for reconstruction, but large defects are hard to cover with a local flap alone. Early microsurgical reconstruction of a large facial defect is an excellent choice for aesthetic and functional outcomes.

복합재료/금속 접착 계면의 파괴인성치 측정 (Interfacial Fracture Toughness Measurement of Composite/metal Bonding)

  • 김원석;이정주
    • Composites Research
    • /
    • 제21권4호
    • /
    • pp.7-14
    • /
    • 2008
  • 접착제 이용 결합 조인트의 하중지지 능력 예측 기법은 점착제를 이용한 접합 조인트 설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기술이다. 본 연구 계면 파괴역학을 이용하여 복합재료/금속 접착 조인트의 하중지시 능력을 예측하는 기법을 소개한다. 구체적으로 복합재료/탄소강 결합의 접착 강도를 계면 균열의 에너지 방출률과 계면 파괴인성치 개념을 사용하여 평가하는 방법을 제시 검증하였다. 계면 균열의 에너지 방출률은 유한요소해선 결과를 이용한 가상 균열 닫음 기법 (VCCT)을 사용하여 계산하였으며, 게면 파괴인성치는 이종재료 ENF (end-notched flexure) 시편을 고안하여 측정하였다. 고안된 이종 재료 ENF 시편을 사용하여 시편의 두께에 상관없이 일관된 Mode II 계면 파괴인성치를 측정할 수 있음과 양면 겹치기 접합 조인트의 특성 에너지 방출률이 측정된 계면 파괴인성치와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에너지 방출률에 근거한 계면 균열 진전 기준은 접착 조인트의 하중지지 능력을 신뢰성 있게 예측하는 실제적인 설계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다.

남해 대륙붕 제주분지의 3-D 석유시스템 모델링 (3-D petroleum system modeling of the Jeju Basin, offshore southern Korea)

  • 손병국;이호영
    • 지질학회지
    • /
    • 제54권6호
    • /
    • pp.587-603
    • /
    • 2018
  • 남해 대륙붕 제주분지의 각 퇴적층에 대한 심층 구조도를 작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3-D 석유시스템 모델링을 수행하여, 이 지역의 석유와 가스의 생성과 배출, 그리고 이동과 집적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최하부 퇴적층인 에오세층을 근원암으로 설정하였으며, 하천-호수의 퇴적환경을 고려하여 타입 II와 III가 혼합된 케로젠으로부터 석유와 가스가 생성되는 것으로 입력하여 모델링을 실시하였다. 초기 유기탄소 함량은 기존의 시추공 자료들과 퇴적환경을 고려하여 4%로 입력하였다. 모델링 결과 많은 양의 석유와 가스가 생성되는 지역은 제주분지 내 한일공동개발광구(Joint Development Zone; 이하 JDZ) 4소구 서쪽지역으로, 20 Ma에 많은 양의 석유와 가스가 이곳의 근원암으로부터 배출되어 상위의 저류층으로 이동하였다. JDZ 4소구 지역의 근원암에서 배출되어 나온 석유와 가스는 주변에 이미 형성되어 있는 크고 작은 폐쇄형 유망구조(closure)로 이동하여 집적되었다. JDZ 1소구와 2소구가 접한 지역의 동쪽부분도 석유와 가스가 많이 생성되는 지역이다. 이곳에서 생성된 석유와 가스는 10 Ma에 주로 배출되었으며 근원암에서 배출된 석유와 가스는 상위의 퇴적층으로 이동하여 집적되었다. JDZ 1소구와 2소구가 접한 지역은 JDZ 4소구 지역보다 석유와 가스의 배출이 상대적으로 늦게 이루어지고 저류암으로의 이동도 상대적으로 늦게 나타나는 것으로 모델링되었다. 석유의 경우는 비교적 짧은 수평거리를 이동하는 것에 비하여 가스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먼 수평거리를 이동하였으며 수직이동도 활발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석유와 가스의 이동이 활발했던 시기는 마이오세 시기이며 이때는 광역적인 덮개암이 형성되기 이전이므로 많은 양의 석유와 가스가 지표로 유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올리고세층과 마이오세층은 사질암과 이질암이 교호되는 지층으로, 폐쇄형 유망구조가 잘 형성된 곳에서는 석유와 가스가 집적된 것으로 모델링 되었다.

무릎 관절경 수술 후 관절강내로 주입된 Ketamine의 효과 (Effect of Intraarticular Ketamine after Knee Arthroscopy)

  • 강건;신철호;이영희;조영우;박순은;손희원;조성도;박세훈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8권2호
    • /
    • pp.198-203
    • /
    • 2005
  • Background: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monstrate the peripheral effect of ketamine on the synovia of the knee joint and evaluate the analgesic effect of an intraarticular ketamine injection following knee arthroscopy. Methods: In a double blind randomized study, 80 ASA class 1 or 2 patients were selected for elective arthroscopic knee surgery. The patients received either 20 ml of normal saline (Group C, n = 19), 20 ml of 0.5% ropivacaine (Group R, n = 21), 1 mg/kg of ketamine mixed with 20 ml of normal saline (Group K, n = 20) or 1 mg/kg of ketamine mixed with 20 ml of 0.5% ropivacaine (Group RK, n = 20), intraarticularly, just prior to wound closure. Postoperative pain was evaluated using a visual analogue scale (VAS 0 to 100) score at 1, 2, 6, 12, 24 and 48 hours after the intraarticular injection, with the side effects found in the four groups also evaluated. The patients' requests for rescue analgesic were recorded, total doses of tarasyn calculated and the overall patient satisfaction also evaluated. Results: The difference in the VAS scores for all time periods was not significant. The number of patients receiving rescue analgesics and the total doses received in Group C were greater than those for the other groups, but this was not significant. No side effects were observed in any of the patients. Conclusions: Ketamine and local anesthetics have been reported to have peripheral analgesic effects, with variable duration in the measurements of pain and hyperalgesia. However, we failed to demonstrate a peripheral analgesic effect on postoperative arthroscopic pain.

터널 굴착으로 인한 터널인접 절리암반 투수계수 감소를 고려한 터널 내 지하수 유입량 산정방법 (Groundwater inflow rate estimation considering excavation-induced permeability reduction in the vicinity of a tunnel)

  • 문준식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333-34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절리 암반 내 터널굴착 시 지하수 유출량 예측량이 실제 계측치와 큰 차이가 나는 이유 중 하나인 터널주변 절리암반의 투수계수의 감소 현상에 대해 논의하였다. 현재 터널 설계 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지하수 유출량 산정식은 터널주변 암반이 등방, 균질하고 일정한 투수계수를 유지한다고 가정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터널주변 절리암반의 투수계수는 터널주변 유효응력 상태에 따라 변화하며, 절리 내 지하수 흐름에 따라 다시 터널주변 유효응력 분포가 영향을 받는 수리-역학적 상호거동을 보인다. 터널굴착 직후 터널 접선방향 유효응력이 응력집중과 간극수압 감소로 인해 급증하고 그에 따라 절리의 닫힘현상이 발생하며, 결과적으로 터널인접 절리암반 링 구간에서 투수계수가 급격히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터널인접 링 구간 내에서 상당히 큰 간극수압 감소가 발생하게 되어 터널주변 간극수압 분포는 등방 균질의 절리암반으로 가정한 산정식과 큰 차이를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절리암반의 수리-역학적 상호거동의 개념을 도입하여 터널주변 간극수압 분포와 터널 내 지하수 유입량 산정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수치해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경찰 종사자의 측두하악장애환자에서 T-scan II System을 이용한 교합분석 (Occlusal Analysis in the Policemen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Using T-scan II System)

  • 임현대;정승아;이유미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1권4호
    • /
    • pp.365-373
    • /
    • 2006
  • 이 연구는 경찰사회에서의 측두장애환자의 교합상태를 평가하여 습관적인 최대교합시에 교합접촉 시기와 접촉수, 접촉힘을 분석하여 과도한 개구나 이악물기등의 악습관 교정을 제시 하는데 있다. 경찰사회에서는 일반 사회에는 다른 양상의 최대 개구, 습관적인 긴밀한 최대 교합상태 등으로 인하여 측두하악장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반복적인 훈련이나 일상생활에서의 변화는 그동안 유지되어 오던 저작근을 비롯한 악구강계 평형 상태에 변화를 초래하여 측두하악관절과 그에 따른 구조물에 동통을 유발 내지는 악화 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측두하악장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합상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T-scan II system(Tekscan Co., USA)을 이용하였으며, 최대 교합력을 발휘하기 위하여 약 20 mm 정도의 개구 상태에서 최대교합시까지 물었다. 경찰종사자의 측두하악장애환자는 일반 측두장애환자보다 최초 접촉부터 최대 접촉까지 걸리는 시간은 오래 걸리며, 최종 접촉까지의 시간은 보다 짧았으며, 최종 교합접촉력은 더 강하여, 더 짧은 시간에 강한 힘을 유지한 채 폐구가 이루어져 측두하악관절에 더 많은 잔존한 부하를 전달하였다. 이환 측과 교합접촉 시간, 교합 접촉 힘등의 교합양상과는 관계가 미약하였으며, 최대 접촉력이 가해진 시기에서 우측이 이환 측이면 우측 악궁에, 좌측이 이환측일 경우 좌측 악궁에 집중되는 좌, 우 악궁간 불균형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측두하악장애를 가진 경찰 종사자들의 하악 운동에 보다 부드러운 움직임과 습관적인 최대 교합상태에서의 보다 적은 힘을 유지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