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b form

검색결과 413건 처리시간 0.027초

취업준비생 토픽 분석을 통한 취업난 원인의 재탐색 (Revisiting the cause of unemployment problem in Korea's labor market: The job seeker's interests-based topic analysis)

  • 김정수;이석준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5권1호
    • /
    • pp.85-116
    • /
    • 2016
  • 본 연구는 개인-환경 부합 관점에서 취업시장변화에 따른 취업준비생의 관심사를 토대로 의사결정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취업난의 원인을 탐색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3개년(2013~2015) 간 취업 관련 커뮤니티 내 이용자 게시글(소셜미디어)을 웹 크롤링을 통해 수집하고, 텍스트 마이닝 기법 중 토픽 분석을 통해 취업준비생의 주요 관심사 유형 및 심리적 반응 변화추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취업준비생의 주요 관심사가 '희망직업(세계)에 대한 인식, 취업사전준비활동, 노동시장에 대한 인식, 취업 스트레스'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타나는 것을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 이들은 직업가치나 미래 진로에 대한 탐색보다 희망직업과 관련하여 금전적 보상이나 직장근무형태(근무 및 생활환경)에 관해 관심을 두고 있어 불확실한 환경에 직면하면서 특정 언어적 사용(예: 비속어, 은어)을 토대로 불안정한 심리적 상태를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 취업준비생들은 취업 성공을 위한 전략적 선택차원에서 주로 스펙준비에 치중하고 있어 취업불안에 따른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현재 취업난은 총체적으로 개인과 사회 조직의 가치추구 부재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결국 개인은 자신의 직업 가치관을 확립하지 못한 상황에서 일부 기업들은 인적자원의 중요성에 대해 자각하지 못하며, 사회적으로는 직업위세란 장애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난 문제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취업난이란 특정 상황과 현상의 원인을 다각적으로 이해하고 다수의 취업준비생 관심사를 도출하기 위한 토픽분석과 이들의 다양한 반응의 의미를 언어 심리적 이론을 토대로 해석하는 접근방법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 PDF

직장 내 따돌림이 민간경비원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Impact of Mobbing On Private Security Guards Job Attitude)

  • 오세연;송혜진
    • 시큐리티연구
    • /
    • 제40호
    • /
    • pp.87-10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민간경비원을 대상으로 직장 내 집단따돌림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직장 내 집단따돌림에 의한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강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달성을 위한 분석결과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경비원의 직장 내 집단따돌림이 직무태도 중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인간관계 따돌림과 직무 따돌림 모두가 직무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간관계 따돌림과 직무 따돌림이 증가할수록 직무만족도는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민간경비원의 직장 내 집단따돌림이 직무태도 중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인간관계 따돌림과 직무 따돌림 모두가 이직의도에 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인간관계 따돌림에 비해 직무관계에서 오는 따돌림이 이직의도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어 기존의 선행연구와는 다소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와 같이 민간경비원의 직장 내 집단따돌림으로 인하여 민간경비원의 조직에 대한 직무만족도에 부정적인 반응이나 행동을 유발하게 되고 다른 직장으로 이직을 고려하게 된다. 따라서 민간경비원의 직무만족도를 높이는 동시에 이직의도를 감소시키는 것은 범죄의 위험성에 노출된 현대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것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한다. 첫째, 직장 내 집단따돌림에 대한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민간경비원의 인적자원 효율성을 높이고, 긍정적인 조직분위기와 명확한 책임권한에 따른 실질적인 업무 부담으로 인한 업무의 모호성을 줄여야 될 것이다. 둘째, 부서 간 직무순환을 통한 인사교류를 실시하고 공통된 관심을 집중시킬 수 있는 목표를 설정하여 주기적인 만남을 통해 협력적 관계를 구축하는 동시에 따돌림으로 인한 피해자에 대한 심리적 카운셀링의 도입하여 민간경비원의 사후복지나 근무환경의 향상시킨다.

  • PDF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이 간호사의 직무소진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upervisor's Abusive Behavior on Job Exhaus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Nurses.)

  • 강천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438-446
    • /
    • 2019
  • 본 연구는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이 간호사의 직무소진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2014년 9월 20일부터 10월 31일까지 서울, 경기, 경북지역에 위치한 종합병원 3곳에 근무하는 간호사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이 간호사의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이 간호사의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은 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셋째, 직무소진이 간호사의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은 직무만족, 직무소진, 조직시민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이 간호사의 직무소진 및 조직유효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병원에서 간호사들이 차지하는 인력 및 업무가 광범위하기 때문에 조직차원에서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간호사들의 직무소진을 줄이고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직장 상사가 갖추어야 할 바람직한 리더십 교육 및 모델을 개발하여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여야 할 것이다.

3 차 의료기관에서의 영양업무 분석 : 업무수행 시간 및 적정인원 산출 (A Study for Dietetic Practitioner's Job Analysis : labor Time Spent and Staffing Need Indices)

  • 조미란;구정민;이혜옥;조여원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7권1호
    • /
    • pp.38-49
    • /
    • 2001
  •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dietetic practitioner's job in the over 600-ed hospitals in korea and to assess their labor time spent and staffing need indices. The actual time spent and expected labor time spent on dietitians'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and the proper dietic staffing needs in the hospitals was also calculated. A job analysis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and mailed to 20 hospitals.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received form 12 hospitals for a response rate of 60%. The followings are summary of the results. 1. The jobs dietitians at the hospitals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7 areas, direct patient care, indirect patient care, therapeutic patient care, education & counseling, meeting & research, delay & movement, and administration & food services. 2. The actual time spent on dietetic practice was 48.6 hours and expected labor time spent was 99.2 hours, Therefore, the proper time required to conduct classified jobs was 2.1 times higher than the time spent. Especially, the time required for performing clinical nutrition services including direct patient care, indirect patient care, therapeutic patient car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time needed. 3. The average times required for the direct patient care was 1334.6min, for the indirect patient care was 796.3min, for the therapeutic patient care was 1634.5min, for the education & counseling was 265.2min, for the meeting & research was 366.7min, for the delay & movement was 327.3min, and for the administration & food services was 1170min. The staffing need indices was 12.3. As a conclusion, the standardized job descriptions for the dietitian to carry out their job at the hospital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 clinical dietitians as nutrition professionals have to be recruited to provide systematically hospitalized patients with medical nutrition therapy at each hospital.

  • PDF

교대근무 간호사의 혈액과 체액 노출 경험과 수면장애, 피로, 직무스트레스와 상관성 (Association of Sleep Disturbance, Fatigue, Job Stress and Exposure to Blood and Body Fluid in Shift-work Nurses)

  • 류재금;최스미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0권3호
    • /
    • pp.187-195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ssociations among the sleep disturbance, fatigue, job stress, and blood and body fluid (BBF) exposure of shift-work nurses. Methods: A total of 299 shift-work nurses from two tertiary hospital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We used the Insomnia Severity Index (ISI), and the Fatigue Severity Scale (FSS), and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Short Form (KOSS-SF) to evaluate sleep disturbance, fatigue, and job stress, respectivel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or chi-squared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3.0 program. Results: We found that 43.8% of participants reported BBF exposure over the past year. Splash or exposure to broken skin of BBF were most frequent (56.9%), and followed by needlestick injuries (30.4%) and sharp injuries (12.8%). Age, hospital, working period, level of stress, sleep disturbance ($ISI{\geq}15$), fatigue (FSS $score{\geq}4$), job demand and organizational climate subset in KOSS-SF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BF exposure in shift-work nurses. In multivariate analysis after adjusting age and hospital, the risk factors of BBF exposure in shift-work nurses were the level of stress and fatigue (FSS $score{\geq}4$). Conclusion: Fatigue and job stress were related to BBF exposure in shift-work nurses. Our results suggest that management of sleep disturbance, fatigue, and high job stress in shift-work nurses is needed to reduce risk of BBF exposure.

호텔기업에서 고용관계특성과 직무몰입의 관계에 대한 고용형태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 of Employment Typ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Employment Relations Characteristics and Job Involvement in Hotel Corporations)

  • 김용순;황규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314-321
    • /
    • 2009
  • 최근 사상초유의 글로벌 금융위기를 맞아 고용환경은 급변하고 있으며, 비정규직 근로자의 비중은 나날이 증가하고 있어 고용시장 전체가 비정규직 바다를 이루고 있다. 이에 비정규직이 정규직에 비해 갖는 낮은 고용보장성 등의 고용관계특성은 직무에 대한 만족을 감소시켜 기업 전체의 생산성 저하로 이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규직과 비정규직으고 대별되는 고용형태에 따른 고용관계특성과 직무몰입과의 영향의 정도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소재 10개 특급호텔에 종사하고 있는 238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규직 근로자의 경우 비정규직 근로자보다 고용관계특성 수준에서 고용보장성과 동료관계 등의 수준이 더 높았고, 직무몰입에서도 정규직 근로자가 비정규직 근로자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 그러나 고용형태에 따라 고용관계특성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즉 고용형태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특히 고용관계특성 요인중에서 정규직 근로자의 경우에는 고용보장성이 직무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비정규직 근로자의 경우에는 고용보장성과 동료관계가 직무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간호사의 근무형태와 주간수면과다증에 따른 직무몰입 (A Study on Job Involvement according to Working Pattern and Daytime Sleepiness among Hospital Nurses)

  • 황은희;강지숙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17권2호
    • /
    • pp.81-86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job involvement according to working pattern and daytime sleepiness in hospital nurses. Methods: At 2 hospitals in affiliation of university, after obtaining participant's consent form,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to November, 2007. Twohundred fifty nurses participated in the study. Questionnaire consisted of Epworth Sleepiness Scale (ESS), Job Involvement.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SPSS 14.0 program, which was used for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nurses for 3 shift work was 172 (68.8%), the nurses for 2 shift work was 3 (1.2%) and the nurses for day fixation was 75 (30.0%). 2) Mean of ESS was 5.94 (3.28), daytime sleepiness was 13.2% and Job involvement had a mean of $21.27.{\pm}4.61.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hift work and day fixed work on ESS (t=4.33, p<.001), job involvement (t=6.54, p<.001). Higher ES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lower job involvement (r=-.185, p=.003). Conclusion: The finding of this study gives useful informations about sleep and work involvement of hospital nurses. It is need to develop systemic management for shift work nurses by hospital, nurse organization, and government.

직무스트레스와 우울 및 불안 증상의 연관성 (Association of Self-Reported Job Stress with Depression and Anxiety)

  • 김윤신;김은진;임세원;신동원;오강섭;신영철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8-46
    • /
    • 2015
  • Objective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job stress and their association with depression and anxiety among Korean employees. Method : We retrospectively studied 80,842 employees, who receive regular checkups in the Health Screening Center of a one hospital from May, 2012 to April, 2013. A total of 73,975 people were analyzed, who completed a short form of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KOSS),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y-Depression (CES-D) and Beck Anxiety Inventory (BAI). Results : Each of the seven subscales of KOSS was categorized into 4 quartile groups. Higher quartile of KOSS was associated with higher CES-D and BAI score an individual reported. The significantly increased odds ratios (ORs) in the higher scoring group compared to the lower scoring group for the effect of job stress on depression and anxiety remained after adjusting for age, sex, marital status, education, income, BMI, and smoking status. Conclusion : These results from a large number of respondents suggested that job stress might be related to depression and anxiety. Future investigations should design a prospective study to understand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psychiatric symptoms or disorders.

HPC 환경에서 사용자 로그 분석을 통한 작업 성공률 개선 (Improving the Job Success Rate through Analysis of User Logs in HPC)

  • 윤준원;홍태영;공기식;박찬열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691-697
    • /
    • 2015
  • 슈퍼컴퓨터는 대량의 계산이 필요한 첨단 과학기술분야의 수치계산뿐만 아니라 산업분야의 신제품 설계 및 개발에도 다양하게 접목되어 사용되고 있다. KISTI의 슈퍼컴퓨터 4호기 Tachyon은 SUN Blade 서버기반으로 구성된 초병렬 컴퓨팅 시스템으로 3,200개의 컴퓨팅 노드와 인프라 노드들로 구분된다. 이 시스템은 현재 만여 명의 사용자와 170여개의 기관이 사용 중에 있으며, 수많은 작업들이 스케줄러를 통해 배치형태로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Tachyon에서는 작업 제출부터 종료까지 관련된 해당 스크립트와 수행 환경, 라이브러리, 작업수행로그 등을 저장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스케줄러로 사용되고 있는 Sun Grid Engine의 배치작업정보와 Tachyon 작업수행로그를 가지고 분석을 진행하였다. 특히, Tachyon에서 사용자가 수행했던 작업 결과 중 실패 작업을 구분하여 원인을 분석하고 그중 일부 작업에 대한 개선을 통해 정상 작업을 추출함으로써 시스템의 전체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직무모형을 중심으로 한 4년제 대학 실내디자인 관련 전공교육과정 개발 연구 -K대학교 실내디자인전공 사례를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of a Job Model Centric Educational Program for a 4 Year Interior Design University Course: Based on a Case Study of an Interior Design Major at K University)

  • 정성욱;김석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546-555
    • /
    • 2019
  • 본 연구는 K대학교 디자인대학 실내디자인전공의 교육이 산업계의 요구에 부합하는 전문인을 양성하도록 교육과정의 개발절차 및 그 결과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먼저 내 외부 환경분석을 거쳐 문제점과 발전방향을 수립하였다. 이어서 실내디자인분야 직무모형을 구축하고 직무에 따라 교과목을 도출하여 4년제 교육과정에 따라 교과목을 편성하였다. 실내디자인 직무에 따라 수립한 인재상은 '실내디자인분야 경영 및 마케팅 전문가', '실내디자인분야 공간기획 전문가' 그리고 '실내디자인분야 시공관리 전문가'이다. 세부 직무모형에 따라 40개 교과목을 도출하였다. 1학년은 학부 공통교과목, 2학년은 전공기초, 3학년은 전공심화, 4학년은 전공응용으로 전체 교육과정을 편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내디자인분야의 산업체 조직구성현황 및 직무표준의 모형을 기준으로 교과목을 개발하는 과정 자체를 제안하고 구체적 결과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실용적 의의를 찾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