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b classification system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31초

농약물질 중 살충제 관련 농업 종사자들의 직무 -노출 매트릭스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 조사 연구 (II) : 채소류 (Fundamental Research for Establishing Job-Exposure Matrix (JEM) of Farmer Related to Insecticide of Pesticide (II) : Vegetable)

  • 김기연;조만수;임병서;이상길;강동묵;김종은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93-299
    • /
    • 2014
  • Objectives: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omestic usage amount of insecticide for vegetable cultivation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establishing job-exposure matrix(JEM) related to farmers treating agricultural insecticide. Materials and Methods: The survey on domestic usage amount of insecticide for vegetable cultivation was conducted by two research methods. The first method is to utilize agricultural pesticides published annually from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KCPA). The second method is to apply cultivation area of vegetable announced officially from Statistics Korea(SK). An estimation of domestic usage amount of insecticide for vegetable cultivation through the second method was done by multiplying total cultivation area of vegetable($m^2$) with optimal spray amount of insecticide for vegetable cultivation per unit cultivation area of vegetable ($kg/m^2$). Results: As a result of analysis of public data related to insecticide for vegetable cultivation, it was found that its domestic usage amount has decreased gradually from the first sale year(1969) to current year(2012). There is, however, a considerable difference of annual usage trend of insecticide for vegetable cultivation between shipments and estimation. The annual usage trends of insecticide for vegetable cultivation based on regional classification were different from those based on total aspect. Conclusions: The region which used insecticide for vegetable cultivation the most in Korea was Jeolla-do, followed by Gyeonsang-do, Chungcheong-do, Seoul/Gyeonggi-do, Gangwon-do and Jeju-do. Substantially, mean ratio of usage amounts of insecticide based on shipments and those based on estimation by cultivation area was $281{\pm}115%$, which indicates that usage amounts of insecticide estimated by cultivation area are three times lower than those based on shipments.

농약물질 중 살충제 관련 농업 종사자들의 직무 -노출 매트릭스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 조사 연구 (I) : 수도작 (Fundamental Research for Establishing a Job-Exposure Matrix (JEM) for Farmers Related to Insecticides (I): Rice Cultivation)

  • 김기연;조만수;이상길;강동묵;김종은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9-64
    • /
    • 2014
  • Objectives: The principal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domestic usage amounts of insecticide in rice cultivation in order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establishing a job-exposure matrix(JEM) related to farmers working with agricultural insecticides. Materials and Methods: An investigation of domestic usage amounts of insecticides rice cultivation was performed through two methods. The first method utilized information on agricultural pesticides published annually by the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KCPA). The second method made use of area of cultivation of rice as officially determined by Statistics Korea(SK). An estimation of domestic usage of insecticides in rice cultivation through the second method was determined by multiplying the total cultivation area of rice($m^2$) by the optimal spray volume of insecticides for rice cultivation per unit of cultivation area($kg/m^2$).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public data regarding insecticides in rice cultivation, it was found that the domestic usage amount has decreased sharply from the first year of market sales(1969) to the final data year(2012). There is little difference in the annual usage trend of insecticides in rice cultivation between shipment and estimation. Also, the annual usage trends of insecticides in rice cultivation based on regional classification were nearly similar to those based on the overall aspect. Conclusions: The region which used the largest volume of insecticide in rice cultivation in Korea was the Jeolla Provinces, followed by the Gyeonsang Provinces, the Chungcheong Provinces, Seoul/Gyeonggi Province, Gangwon Province and Jeju Province. Substantially, the mean ratio of usage amounts of insecticide based on shipments and those based on estimation by cultivation area was $96{\pm}29%$, which indicates that the domestic usage amount of insecticide for rice cultivation corresponded to the optimal spray standard per unit area.

노인일자리 전담기관 참여자의 위험사고 발생가능성과 대응 전략: 업무상 위험사고와 코로나-19 위험사고를 중심으로 (Possibility of Risk Accidents and Response Strategies for Participants in Agencies in Charge of Employment for the Elderly: Focusing on occupational risk accidents and COVID-19 risk accidents)

  • 박재영;윤기혁;이진열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65-73
    • /
    • 2022
  •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 전담기관인 시니어클럽에 활동하고 있는 참여 노인을 대상으로 업무상 위험사고와 코로나-19로 인한 위험사고 발생 가능성을 실증 분석하여 위험사고에 대한 인식 정도를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일자리 전담기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사고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과 위험사고 예방을 위한 대응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대상과 자료수집은 부산광역시 소재 16개 시니어클럽 참여 노인으로 하였고, 수거된 430부 중 최종적으로 425부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노인일자리 전담기관 참여 노인은 업무상 위험사고 발생 가능성과 코로나-19로 인한 위험요인 발생 가능성은 대체적으로 낮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업무상 위험사고 발생 가능성은 참여기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코로나-19와 위험사고 발생 가능성은 참여노인 구분과 연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업담당자는 안전사고 관리기록지 작성, 위험관리 매뉴얼 마련, 참여자의 개인적 특성을 반영한 위험관리 시스템 구축 등을 제언하였다.

병원의 비정규직 고용정책과 경영전략 (Employment Policy & Strategy of Irregular Workers in Hospital)

  • 문영전;안인환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19-145
    • /
    • 2008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spect how the law effected on hospital employment system and which policy and strategy are needed to cope with the present situation as the law regarding irregular workers law has enacted for a year. To grasp the changes of employment style in hospital, 56 hospitals among 311 general hospitals were questioned in this study. And employment policy and strategy were developed by referencing examples of developed nations and other industries. The survey showed that the wage and welfare level of irregular workers in hospitals was improved compared to that in the other industries. But there were still much discrimination between regular and irregular workers. The policy direction of government is, first of all, to follow the principle of equal treatment to equal value of labour. The first feasible policy is to enforce social security. The second one is an employment promotion policy which reduces or exempts hospitals employing irregular workers from tax and insurance fee. The third one is to extend employment contract period to 3 years. and finally there are policies to permit more dispatched jobs and to expand the social insurance coverage. The strategies to solve the problem of irregular workers are as follows; 1) performance wage system, 2) guaranteeing employment by unlimited contract, 3) creating new category of workers, 4) the wage system of management by object, 5) the method of job classification. This study has a meaning in the point that it was studied on hospital which is special industrial part and analyzed the changes after enacting irregular workers law and presented management strategy for countermeaure program. In this study, it was expected to contribute to decisions-making in hospital management, especially when using human resources.

  • PDF

초점거리 정보를 이용한 디지털 사진 분류 알고리즘 (A Smart Image Classification Algorithm for Digital Camera by Exploiting Focal Length Information)

  • 주영호;조환규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23-32
    • /
    • 2006
  • 최근 들어 디지털 카메라의 대중화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이 손쉽게 다량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게 되었다. 수백 장의 사진을 수작업으로 분류, 관리하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며, 따라서 이를 자동으로 수행해주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디지털 이미지를 분류하는 이전 연구들은 대부분 일반적인 사진에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디지털 사진을 분류하기 위해서는 사용하기 힘들다. 최근에는 특정 조건 내에서 디지털 이미지를 분류하는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이 알고리즘들은 대부분 시간차를 이용하여 사진을 분류하며 대부분 좋은 결과를 보이고 있지만 개선해야할 여지가 많이 남아있다. 예를 들면 초점거리와 같은 정보들은 사진을 분류할 때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EXIF의 초점거리 정보를 이용한 사진 분류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매칭 벡터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사진을 분류한다. 제안한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95%의 사진 분류 성공률을 보였다.

  • PDF

한국, 일본, 미국 안과검사인력의 현황 (Current Status of Ophthalmic Optometry Laboratory Personnel in Korea, Japan, and the United States)

  • 전옥환;박준범;김대진;김대은;문철;구본경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285-292
    • /
    • 2022
  • 국제표준직업분류나 일본·미국의 법률시스템, 양성시스템를 통해서 본 안과검사인력은 안과전문의, 검안사, 시능훈련사, 검안기사, 안과기사가 포함된다. 국가통계포털 자료에 의하면 2022년 안과에 근무하는 안경사의 수는 의료기관 종별에 따라 파악이 가능하지만, 임상병리사의 수는 파악이 불가능하다. 다만, 본 연구를 통해서 상급종합병원의 경우 임상병리사가 안경사보다 많이 근무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우리나라 안과검사실 인력의 경우 국제표준직업분류, 국제표준교육분류, 의료법,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및 고등교육법에 비추어 봤을 때, 미국의 검안사는 비교 대상이 아니며 안과전문의나 검안사의 지도를 받아 업무수행하는 검안기사가 부합되는 직업일 것이다. 민간자격으로 대한안과학회 및 대한검안학회에서 안과검사실에 종사하는 임상병리사 및 안경사에게 '임상검안사'라는 호칭을 부여하여 새로이 자격관리를 정립한다면 국민 안(眼)보건 향상에 더욱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의사결정 트리 기법을 이용한 그리드 자원선택 시스템 (Grid Resource Selection System Using Decision Tree Method)

  • 노창현;조규철;마용범;이종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10
    • /
    • 2008
  • 이 기종의 네트워크와 시스템 자원으로 구성된 그리드 컴퓨팅 환경에서 대용량 데이터를 빠르고 정확하게 처리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그리드 자원선택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의사결정 트리 기법을 이용한 그리드 자원선택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자원 정보를 기록한 데이터 셋을 바탕으로 사용자들이 선택하는 자원들을 처리 할 데이터의 특성과 사용자의 요구사항으로 분석해서 자원선택을 위한 의사결정 트리를 구축한다. 그리드 사용자의 자원 요청 시 의사결정 트리를 탐색하여 사용자 요구 및 작업 특성에 적합한 자원들을 선택하여 작업을 할당함으로써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킴은 물론 전체 그리드 시스템의 성능을 개선한다. 실험결과는 본 논문에서 제안한 의사결정 트리 기반의 그리드 자원선택 시스템이 기존 그리드 자원선택 시스템인 Condor-G 및 Nimrod-G와 비교하여 더 높은 작업 처리율 및 자원 이용률과 더 적은 작업 손실 및 처리시간을 제공함으로써 그리드 자원선택 및 데이터 분산 처리에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증명한다

  • PDF

경호분야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National Competency Steandards(NCS) in the Guard)

  • 김동호;김신혜;김민수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35-53
    • /
    • 2016
  •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 기술 소양 등의 교육훈련 내용을 체계화하여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직무능력표준 개발은, 재교육을 통해 재차 투자되는 시간과 비용의 해결과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양질의 인력을 양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분류체계를 기준으로 세분류 중 업무와 직무를 1:1로 분류한 경호분야에 대하여 직무수행자를 중심으로 한 교육훈련과정 개발을 위해, 실제업무와의 '상관성'과 경과의 '적용성' 및 비용과 시간에 대한 '효율성'이 고려되는 작업자 중심 직무분석인 DACUM 기법과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매뉴얼을 활용하여 경호분야 교육의 현장적합성을 제고하고, 산업체가 요구하는 실질적인 교육훈련과정 개발을 제안한다.

유닛모듈러 기반 도시형 생활주택의 BIM 모델링 프로세스 개발 연구 (The Study on the Developing Process of BIM Modeling for Urban-life-housing Based on Unit Modular)

  • 이창재;임석호
    • KIEAE Journal
    • /
    • 제12권6호
    • /
    • pp.77-84
    • /
    • 2012
  • The current architectural design of unit modular has been based on 2D of CAD program, so unit modular character which needs unit information management, as a dried-member system, has no effect on design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We have developed a suitable BIM design process, according to various works of construction, then tried to contribute to supply and activation of the urban-life-housing based on unit modular. The BIM modeling process based on unit modular has been in order of unit combination with preparing manual classification, and, it has been constructed, at construction site, from housing foundation to roof finish by Bottom-up method. At a manufacturing factory, it has been produced in order of 1) grouping materials and parts, 2) fabricating unit boxes, and 3) interference examination of unit boxes, and each order has been classified as housing structure, architecture, plumbing process separately. At a construction site, the fabrication has been done in order of, like as a real housing construction scenario, 1) RC foundation work 2) unit module job-site-fabrication work, 3) roof truss work, 4) plumbing and HVAC work, and 5) housing interior finish work. After modeling process, the interference examination on each work of construction has finally completed modeling. The Unit modular utilizing BIM modeling can make easy housing maintenance through systematic control with preparing manual of unit module information, and securing accurate and speedy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it will promote design credibility and create maximum effect of unit modular construction method, such as construction period reduction and upgrade of construction quality, etc., through the computer simulation as real as construction environment in cyber space, and with the interfering examination.

방통융합 공공서비스 플랫폼 구축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An Analysis of the Economic Effects of the Project which Constructs the Platfonn for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Convergence Public Service)

  • 정우수;이승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7B호
    • /
    • pp.734-743
    • /
    • 2009
  • 본 논문은 정부의 방통융합 공공서비스 플랫폼 구축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을 위하여 방통융합 산업 분류체계를 재분류한 후 한국은행에서 발행하는 2003년 산업연관표를 RAS 기법을 이용하여 2009년 산업연관표를 재작성하였다. 그리고, 방통융합 공공서비스 플랫폼 구축에 따른 경제적 파급 효과를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방통융합 공공서비스 플랫폼 구축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로 나타나는 총생산유발효괴는 2009-2014년까지 약 3조 3,251 억원,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2조 9,760억원, 고용유발효과는 약 13,806명의 고용창출이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방통융합 공공서비스 플랫폼 구축사업은 향후 국민의 생활개선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본 연구는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가치가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