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b classification system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3초

구인구직사이트의 구인정보 기반 지능형 직무분류체계의 구축 (Development of Intelligent Job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Job Posting on Job Sites)

  • 이정승
    • 지능정보연구
    • /
    • 제25권4호
    • /
    • pp.123-139
    • /
    • 2019
  • 주요 구인구직사이트의 직무분류체계가 사이트마다 상이하고 SW분야에서 제안한 'SQF(Sectoral Qualifications Framework)'의 직무분류체계와도 달라 SW산업에서 SW기업, SW구직자, 구인구직사이트가 모두 납득할 수 있는 새로운 직무분류체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주요 구인구직사이트의 구인정보와 'NCS(National Competaency Standars)'에 기반을 둔 SQF를 분석하여 시장 수요를 반영한 표준 직무분류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주요 구인구직사이트의 직종 간 연관분석과 SQF와 직종 간 연관분석을 실시하여 직종 간 연관규칙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 연관규칙을 이용하여 주요 구인구직사이트의 직무분류체계를 맵핑하고 SQF와 직무 분류체계를 맵핑함으로써 데이터 기반의 지능형 직무분류체계를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주요 구인구직사이트인 '워크넷,' '잡코리아,' '사람인'에서 3만여 건의 구인정보를 open API를 이용하여 XML 형태로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했다. 이 중 복수의 구인구직사이트에 동시 게시된 구인정보 900여 건을 필터링한 후 빈발 패턴 마이닝(frequent pattern mining)인 Apriori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800여 개의 연관규칙을 도출하였다. 800여 개의 연관규칙을 바탕으로 워크넷, 잡코리아, 사람인의 직무분류체계와 SQF의 직무분류체계를 맵핑하여 1~4차로 분류하되 분류의 단계가 유연한 표준 직무분류체계를 새롭게 구축했다. 본 연구는 일부 전문가의 직관이 아닌 직종 간 연관분석을 통해 데이터를 기반으로 직종 간 맵핑을 시도함으로써 시장 수요를 반영하는 새로운 직무분류체계를 제안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다만 본 연구는 데이터 수집 시점이 일시적이기 때문에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시장의 수요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계절적 요인과 주요 공채 시기 등 시간에 따라 시장의 요구하는 변해갈 것이기에 더욱 정확한 매칭을 얻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데이터 모니터링과 반복적인 실험이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SW산업 분야에서 SQF의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활용될 수 있고, SW산업 분야에서 성공을 경험삼아 타 산업으로 확장 이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utomatic Linkage Model of Classification Systems Based on a Pretraining Language Model for Interconnecting Science and Technology with Job Information

  • Jeong, Hyun Ji;Jang, Gwangseon;Shin, Donggu;Kim, Tae Hyun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10권spc호
    • /
    • pp.39-45
    • /
    • 2022
  • For national industrial development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researchers with appropriate job information. This can be achieved by interconnecting the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used for management of research activity with the Korean Employment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used for job information management. In the present study, an automatic linkage model of classification systems is introduced based on a pre-trained language model for interconnecting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with job information. We propose for the first time an automatic model for linkage of classification systems. Our model effectively maps similar classes between the National Science & Technology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and Korean Employment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Moreover, the model increases interconnection performance by considering hierarchical features of classification system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precision and recall of the proposed model are about 0.82 and 0.84, respectively.

국가기술자격 직무분야 분류체계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plans for improving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job field in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 조정윤;박종성
    • 공학교육연구
    • /
    • 제5권2호
    • /
    • pp.54-62
    • /
    • 2002
  • 이 연구에서는 국가기술자격의 분류체계가 21세기 산업구조와 기술변화에 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현행 26개로 설정되어 있는 직무분야의 적절성을 검토하였으며, 이에 터하여 국가기술자격제도 관리 운영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일뿐만 아니라 자격취득자의 취업을 촉진할 수 있는 새로운 직무분야 분류체계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가기술자격제도와 관련된 문헌 및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고, 국가기술자격 직무분야의 적절성에 대한 전문가 의견 등을 수렴하여 26개 국가기술자격 직무분야를 13개 분야로 새롭게 구분 제시하였다.

지식활동의 관계식별을 위한 연계형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 연구-기술-산업과 연구-전공-취업 연계 - (A New Model for Connecting the Classification Systems of Knowledge Activities - Linking Research-Technology-Industry and Research-Major-Job -)

  • 설성수;송충한;노환진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531-554
    • /
    • 2007
  • 본고는 그간 독립적으로 존재해 왔던 학문분류 연구분류 기술분류 산업분류 전공분류 및 취업 분류와 같은 지식활동과 관련된 분류체계를 상호 연계시켜 종합적으로 보는 새로운 모형을 제시하고 그를 구체적으로 구현하는 방법을 다룬 것이다. 중 분야 이상의 의미를 갖는 학문분류와 소 분야 이하의 의미를 갖는 연구분류를 통합시킨 학문/연구분류는, 자체가 연구분야와 적용분야로 구성되는 2차원형이지만, 한편으로는 다양한 기술분류와 산업분류로 연계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전공(교육)분류와 취업분류로 연계된다. 연계시키는 방법은 두 개 이상의 분류체계를 동시에 기재하도록 하고, 그러한 기재를 허용하는 정보시스템과 데이터베이스를 갖추고, 필요에 따라 몇 개의 분류체계를 선택하여 동시에 사용하면 된다. 본고는 새로운 분류체계를 보이고자 한 것이지만 기본적인 의도는 분류체계를 넘어선다. 지식사회의 기본적인 활동인 지식활동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수단을 강구하고자 한 것이다.

  • PDF

중장년층 일자리 요구사항 분석 및 인력 고용 매칭 시스템 개발 (Job Preference Analysis and Job Matching System Development for the Middle Aged Class)

  • 김성찬;장진철;김성중;진효진;이문용
    • 지능정보연구
    • /
    • 제22권4호
    • /
    • pp.247-264
    • /
    • 2016
  • 저출산 및 인구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중장년 퇴직자 등 노동 소외 계층의 취업난 해결은 우리 사회의 핵심 과제로 등장하고 있다. 온라인에는 수많은 일자리 요구 정보가 산재해 있으나, 이를 중장년 구직자에게 제대로 매칭시키지는 못하고 있다. 워크넷 취업 로그에 따르면 구직자가 선호하는 직종에 취업하는 경우는 약 24%에 불과하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구직자에게 일자리 정보를 매칭시킬 때 선호하는 직종과 유사한 직종들을 추천하는 소프트 매칭 기법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중장년층에 특화된 소프트 직업 매칭 알고리즘과 서비스를 고안하고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1) 대용량의 구직 활동 기록인 워크넷 로그로부터 중장년층의 일자리 특성 및 요구 추세를 분석하였다. 2) 중장년층의 일자리 추천을 위해 직종 유사도 기준으로 일자리 분류표(KOCM)를 재정렬하였다. 이 결과를 이용하여, 3) 중장년에 특화된 인력 고용 소프트 매칭 직업 추천 알고리즘(MOMA)을 개발하여 구인 구직 웹사이트에 적용하였다. 자체 저작한 중장년층 특화 일자리 분류표(KOCM)를 이용한 소프트 일자리 매칭 시스템의 정확도를 측정하였을 때, 실제 고용 결과 기준, 하드 매칭 대비 약 20여 배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 본 연구내용을 적용하여 개발한 중장년층 특화 구직 사이트는 중장년층의 구직 과정에서 입력 정보 부담을 최소화하고 소프트 매칭을 통해 사용자의 요구직종에 적합한 일자리를 정확하고 폭넓게 추천함으로 중장년층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공무원 순환보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Job Rotation in Civil Service)

  • 김광호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0권2호
    • /
    • pp.61-97
    • /
    • 2008
  • 본 연구는 공무원의 전문성 축적을 저해하는 것으로 지속적으로 지적되는 순환보직의 실태를 파악하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리나라 중앙부처 과장급 이상 공무원의 평균재직기간은 1년 남짓으로 매우 짧아 업무의 인수 인계에서 오는 비효율 및 업무공백, 전문성 축적기회의 감소, 책임성 저하, 정책의 일관성 및 연속성 결여 등 여러 문제를 낳으며, 특히 고도의 전문성을 요하는 대외 협상 분야에서 큰 국가적 손실을 낳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의 개선을 위해서는 전문성을 고려하는 보직이동, 전보범위의 축소, 전보제한기간의 강화 등의 조치가 필요하나, 근본적으로 현재와 같은 과도한 순환보직이 연공서열에 기초한 계급제에 기인하므로 장기적으로 공직분류제도를 계급제에서 직위분류제로 전환하고 실적주의적 요소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 PDF

국내기업의 실무지침서 유지 및 활용실태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usage & control status of Job Instructions of the domestic business companies)

  • 신동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25-432
    • /
    • 2007
  • In the policy management of the safety&health, the environment and the quality, the documentation of the management system is required in every international regulatory guides. In case of 3 level classification of the system documents, it generally will be identified such name as the manual, the procedure and the job instruction. Each document has the unique role and usage though, the job instructions, especially, would be developed to support the practical job worker. So, the job instructions should be reflect the latest know-how of the job-handling methods. And that, it should be used at any times by the practical job worker. This study is planned to survey the actual usage status of the job instructions of the domestic enterprises, and tried to suggest the effective way of maintaining the documents.

  • PDF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 직업 매칭 서비스 Catch Job 구현 (An Implementation of Smart Job Matching System Catch Job Based on Cloud System)

  • 윤경섭;김동현;김정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5년도 제51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3권1호
    • /
    • pp.143-145
    • /
    • 2015
  • 본 논문은 대기업에 편중된 구직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대학교의 학생 정보를 통해 중소기업과의 취업으로 연계하는 스마트 매칭 시스템의 설계를 제안한다. 기존 취업 포탈 사이트 에서는 업종과 직종을 직접 찾아들어가야 하는 매칭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학교 DB에 있는 학생 정보를 직업들과 매칭하여 주는 스마트 매칭 시스템의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제안한 스마트 매칭 시스템은 업종과 직종을 찾아 들어가야 하는 기존에 시스템을 로그인만 하면 바로 학과 정보, 지역 정보에 맞는 채용 공고를 자동으로 보여주는 방식으로 변경하여 대학생과 중소기업 간의 취업률을 높일 것으로 예측한다.

  • PDF

국내 실내디자인분야 관련법의 현황과 제도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Issues and System Improvements of Interior Design-Related Law in Korea)

  • 이창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211-221
    • /
    • 2013
  •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domestic interior design (interior architecture) field-related laws, it was found that interior design (interior architecture) is not recognized as in independent area due to weak classification standards by Korean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and job classification. Korean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is applied as a standard setting limits to applicable targets and industrial fields for laws related to general administration and industrial policy other than various statistic purposes. Also, the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s regarding the industry field determines the laws or applicable tax rates, government support and such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and thus is very important. Moreover, interior architecture field is largely different from general architecture due to specialization and distinct characteristics, but due to the comprehensive concept of architecture industry regulations, it is considered the proper assessment for the professionalism is not conducted. Also, interior architecture field has irrational contradictions that is not independent with a clear definition and industry field classification not only in legal system and trade customs. Therefore, The following is proposed as the plan to strengthen the domestic/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nd system improvements for interior architecture. (1)interior design (interior architecture) must be amended as an industrial classification that can coexist with architecture. (2)interior design (interior architecture) must be amended as a job classification that can coexist with architecture. (3)Among the design tasks of an architect, approval for the design task field of interior architecture field must be legislated. -In architect design standard contract (the existing architecture design task scope and quality standard table) of a structure, among the tasks by request of the owner, (1)interior design tasks shall be legislated. It should be legislated so that interior design (interior architecture) majors can be included as well. (4)The task field of interior design that coexists with design must be amended. (5)National contract law - among contract method by negotiation, specialty item must be vital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