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b Preparation Activities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8초

직업가치에 따른 취업준비행동 분석 (The Analysis of Job Preparation Activities by Work Value)

  • 조윤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690-1698
    • /
    • 2013
  • 본 연구는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GOMS: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2010년도를 활용하여 대학생 6847명의 직업가치가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직업가치는 내재적 중요도, 실제적 중요도, 외재적 중요도 등으로 설정하였고, 취업준비행동을 취업목표 설정 유무, 진로/취업에 관해 학점 인정되는 교과목 참여 유무, 직장체험 프로그램 참여 유무, 인/적성검사 등 직업심리 검사 참여 유무, 교내 취업 박람회 참여 유무, 진로 관련 개인/집단상담 프로그램 참여 유무, 면접기술/이력서 작성 프로그램 참여 유무, 취업캠프 참여 유무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졸자의 성별, 학교유형, 학교소재지, 전공에 따라 직업가치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직업가치 중 실제적 중요도가 취업준비행동에 정(+)의 영향을 끼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내재적 중요도와 외재적 중요도는 취업준비행동에 부(-)의 영향을 끼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취업준비에 대한 세분화된 분석 자료를 제공하고 직업탐색의 중요한 요소인 직업가치에 대한 새로운 검증에 의미가 있다.

The Effects of College Life Adaptabilit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Mediating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Job Stress, and Self-Directed Learning

  • Il-Hyun, 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4호
    • /
    • pp.245-254
    • /
    • 2022
  • This study is a study to empirically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n college life adapt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multi-mediated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job stress, and self-directed learning. For this study, 216 university students were enrolled. For the collected data, SPSS Process macro was use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re were multiple parallel mediating effects and multiple serial mediating effects on major satisfaction, job stress, and self-directed learning between college life adapta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the path of simple mediation and double mediation effect was found between college life adapt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the research, the necessity of revitalizing the program for revitalization of teaching activities and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activities in the major field and improvement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ability and follow-up research were suggested.

금융기관 종사자의 이직 및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A Study on Factors Having Effect on the Turnover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Financial Institution Workers)

  • 이재명;강신기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5호
    • /
    • pp.151-163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금융기관 종사자의 이직 및 창업의도의 영향 요인을 밝히는데 있으며, 직무만족과 직무불안정, 은퇴기대 및 은퇴준비활동이 이직 및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금융기관 종사자이며, 총 508명의 표본이 분석 자료로 활용되었다. 금융기관 종사자의 이직 및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직무만족, 직무불안정, 은퇴기대, 은퇴준비활동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첫째, 직무만족의 모든 요인이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보상만족과 대인관계만족이 창업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직무불안정은 이직의도와 창업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직무가 불안정할수록 이직 및 창업의도가 높아지고 있었다. 셋째, 은퇴기대의 강요된 좌절과 계속이 이직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강요된 좌절과 새로운 출발, 계속은 창업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은퇴준비활동의 창업준비와 사회적 준비, 신체적 준비가 이직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경제적 준비는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창업준비는 창업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은퇴를 대비하여 창업준비를 많이 할수록 이직 및 창업의도가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금융기관 종사자 특성상 타 업종 대비 높은 임금에도 불구하고 이직의도와 창업의도에 대해 나타난 유의미한 결과는 직무만족과 직무불안정, 은퇴에 대한 기대와 준비활동이 이직 및 창업의도와의 관계에서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금융기관 종사자들이 실제 창업을 했을 때의 성공사례와 실패사례에 대한 이해를 증가 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과 이직 및 창업지원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 PDF

대학생의 조직지원인식과 취업준비활동이 좋은 일자리 인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Employment Preparation Activities for their Awareness of Good Job)

  • 배성숙;장석인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6권1호
    • /
    • pp.59-80
    • /
    • 2017
  • 최근 심화되고 있는 청년실업의 여파로 정부, 기업, 대학 등의 관계기관은 청년실업 해소 및 일자리 창출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그러나 대학생들이 선호하는 좋은 일자리는 한정적이며, 장기간 경기침체에 따른 청년실업률 급등이 20년 전 일본의 상황과 유사하다는 지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한국과 일본 대학생의 조직지원인식과 취업준비활동이 좋은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은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2013 GOMS 5,380부를 활용하였으며, 일본은 2016년 3월 대학생 대상 설문지 256부를 회수하여, 총 5,636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조직지원인식과 좋은 일자리 인식 간의 영향관계는 한국과 일본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준비활동과 좋은 일자리 인식 간의 영향관계는 한국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일본은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준비활동과 좋은 일자리 인식 간의 관계에서 성별과 전공계열의 조절효과는 한국과 일본 모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의 지원이 대학생들의 좋은 일자리 인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기 때문에, 대학에서는 학생들의 복지향상과 교육만족을 위한 지원 및 지원제도를 강화하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둘째, 취업준비활동과 좋은 일자리 인식은 한국과 일본의 사회구조나 복지 및 임금 등의 격차가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였다. 따라서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을 마련한다면 청년층의 좋은 일자리에 대한 인식도 변화될 것이다.

  • PDF

대학 휴학기간의 취업 및 임금효과 (Employment and Wage Effects of the Duration of Leave of Absence from College)

  • 정수연;박기성
    • 노동경제논집
    • /
    • 제36권3호
    • /
    • pp.1-27
    • /
    • 2013
  • 2009GOMS1 자료를 사용하여 "취업준비를 위한 휴학"과 "경제적 어려움에 의한 휴학"을 구분하고 각각의 휴학기간이 대학졸업 후 취업 및 임금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한다. 휴학기간의 내생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대학입학 당시 가구소득과 일반계 고등학교 졸업 여부를 도구변수로 사용한다. 도구변수 추정에 의하면 취업준비를 위한 휴학기간을 1개월 연장하면 취업할 확률은 1.6%포인트 상승하고, 임금은 4.0% 증가한다. 경제적 어려움에 의한 휴학기간을 1개월 연장하면 취업할 확률은 3.6%포인트 하락하고, 임금은 7.2% 감소한다.

  • PDF

중년기 여성의 사회활동에 관한 일 고찰 (The Social Activities of the Middle-aged Women)

  • 이기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4권1호
    • /
    • pp.163-176
    • /
    • 1996
  • This study explores the overall social activities of the middle-aged women. The middle-aged married women of this study are the 40-59 years old and having youngest child above 10 years. Their social activities are categorized into work activities leisure avtivities social network with kin friends and neighbors and religious activiti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work activities of he middle-aged married women are characterized by stable employment preparation of reentry to the job worries of unemployment and preparation of retirement(2) The leisure activities of the middle-aged married women are devided into two styles; family oriented activities and self developing activities. (3) In social networks especially the social relation with neighbor are increased and the relation with kinship tends to be bilineages. (4) Their religious activities are more supported by families than other activities. From he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at : (1) The middle-aged m rried women might accept their midlife as a developmental stage. (2) The volunteer activities might be extended throughout the social activities (3) New social education programs for helping women's growth might be developed.

  • PDF

심장외과 중환자실 일반간호사의 업무분석 (Job Analysis of the Staff Nurse in Cardiac Surgery Intensive Care Unit)

  • 고유경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65-282
    • /
    • 2003
  • Purpos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for a basic resource, which can be used to set up a efficient management system in Cardiac Surgery Intensive Care Units(CSICU). Method: 1)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and observation methods were used, to examine the nursing activities performed in the CSICU after having reviewed related literatures and a review by the experts. Thus, the nursing activities were designating 254 activities and classified into 28 categories. 2)The 22 nurses in the 2 CSICUs filled out questionnaires about nursing activities from 12 April, 2002 to 17 April, 2002. The frequency of the nursing activities in the 28 categories counted and new nursing activities added by directly observing 12 nurses by two trained research staffs for 4 day. 3)In terms of validity, the 264 nursing activities were analysed by the 25 experts. As a result, 231 nursing activities were found valid and remained as appropriate nursing activities to be used for the careful analysis of the nursing activities in CSICUs. Result: The 22 categories are as below: assessment, monitoring, respiration management, nutrition management, elimination/drainage management, mobility management, sanitation management, safety management, temperature management, specimens collection, preparation and assistance of treatment, skin/wound management, infection management, medication management, education/support, dying patient care, recording/keeping, supplies management, environment management, communications, evaluations, professional development Conclusion : The manifest job description of the staff nurse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nursing activities and to reducing the role conflicts among the medical staffs.

  • PDF

전문대학생의 취업준비활동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n Employment of Employment Preparation Activities in College Graduates)

  • 최선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556-2563
    • /
    • 2015
  •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이 경험하는 취업준비활동의 취업 효과를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특히 학생이 개인차원에서 준비하는 자격증, 직업훈련 등과 함께 대학 차원에서 운영하는 진로선택 및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취업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1대졸자 직업이동경로조사 자료의 전문대졸자 3,249명을 대상으로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특성에서는 졸업학점이 높을수록, 출신대학이 비수도권일수록 취업 확률이 더 높았다. 전공계열은 준거집단 대비 의약, 교육, 공학, 사회, 자연 계열 순으로 취업 확률이 높았다. 취업준비활동에서는 국가 자격증 수가 많을수록, 면접기술 & 이력서작성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있는 경우, 졸업 전 후 구직활동 경험이 있는 경우가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직업훈련, 진로 취업관련 교과목, 직장체험 프로그램, 진로상담 프로그램, 취업캠프, 대학 재학 중 일자리 경험, 졸업 전 취업목표 유무 등은 취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

Student Factors on Employment of Engineering Graduates: A Korean University Case

  • Park, Cheol Kyun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4권3호
    • /
    • pp.288-306
    • /
    • 2015
  • This study analyzes the determinants on employment of 4-year college graduates. Data were collected from nine semesters from 2009 to 2014 totaling 4,176 engineering graduates of University ‘A’ in the capital area of Korea. Employment is analyzed on three levels reflecting the quality of employment such as total employment, preferred jobs and the top 500 companies. Eighteen variables we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such as private attributes, curriculum activities, non-curriculum activities, and job preparation activities. The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Model was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op determinants included in each definition of employment are departments group, gender, employment program, and internship program. Also, grade points in major and basic courses were added as a result of curriculum activities. There i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household income, club activities and employment preparation activities. Also, the curriculum for major intensive courses and multi-majoring imposed by the university are not effective.

지식활동의 관계식별을 위한 연계형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 연구-기술-산업과 연구-전공-취업 연계 - (A New Model for Connecting the Classification Systems of Knowledge Activities - Linking Research-Technology-Industry and Research-Major-Job -)

  • 설성수;송충한;노환진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531-554
    • /
    • 2007
  • 본고는 그간 독립적으로 존재해 왔던 학문분류 연구분류 기술분류 산업분류 전공분류 및 취업 분류와 같은 지식활동과 관련된 분류체계를 상호 연계시켜 종합적으로 보는 새로운 모형을 제시하고 그를 구체적으로 구현하는 방법을 다룬 것이다. 중 분야 이상의 의미를 갖는 학문분류와 소 분야 이하의 의미를 갖는 연구분류를 통합시킨 학문/연구분류는, 자체가 연구분야와 적용분야로 구성되는 2차원형이지만, 한편으로는 다양한 기술분류와 산업분류로 연계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전공(교육)분류와 취업분류로 연계된다. 연계시키는 방법은 두 개 이상의 분류체계를 동시에 기재하도록 하고, 그러한 기재를 허용하는 정보시스템과 데이터베이스를 갖추고, 필요에 따라 몇 개의 분류체계를 선택하여 동시에 사용하면 된다. 본고는 새로운 분류체계를 보이고자 한 것이지만 기본적인 의도는 분류체계를 넘어선다. 지식사회의 기본적인 활동인 지식활동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수단을 강구하고자 한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