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inhae

검색결과 385건 처리시간 0.024초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igh School Students' Consciousness of the Family Strength)

  • 김현경;장상옥;유태명;최정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99-109
    • /
    • 2009
  • 본 연구는 변화하는 현대사회에서 고등학생의 가족건강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경남지역의 고등학생 598명이며,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가족건강성은 5점 만점에 평균 3.28점으로서 보통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의 가족건강성에 유의한 관련변인은 한달 용돈, 아버지의 직업, 자아존중감, 효의식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생의 가족건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효의식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볼 때,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이 보통수준으로 나타나, 고등학생의 가족건강성을 좀 더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고 본다. 또한 고등학생의 가족건강성에 가장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이 효의식으로 규명되었으므로, 고등학교 가정교과 수업을 통해 효의식을 강화하여 고등학생의 가족건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하겠다.

  • PDF

경남해안지역 연약점토의 토질특성과 압축지수와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Properties of Soil and the Compression Index of Soft Clay in Gyungnam Coastal Region)

  • 장정욱;최성민;박춘식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82-289
    • /
    • 2001
  • 본 연구는 경남해안지역 연약점토의 토질특성과 압축지수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김해지역 82개소, 진해지역 18개소, 거제지역 27개소의 불교란 상태의 시료를 채취하여 물성실험 및 역학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경남해안지역 연약점토의 압축지수는 Terzaghi & Peck이 제안한 경험식을 적용할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경남 해안지역 연약점토의 압축지수는 자연함수비, 액성한계, 초기간극비와 상관성이 있었으며, 이들 중 압축지수는 초 기간극비와 상관성이 가장 컸다. (1) 경남해안지역 연약점토의 압축지수는 $C_c=0.74(e_o-0.7$로 나타낼 수 있다. (2) 경남해안지역 연약점토의 압축지수와 팽창지수와의 관계는 $C_s=(1/8-1/15)C_c$이다.

  • PDF

Spatial-temporal distributions of the newly described mixotrophic dinoflagellate Gymnodinium smaydae in Korean coastal waters

  • Lee, Sung Yeon;Jeong, Hae Jin;Ok, Jin Hee;Kang, Hee Chang;You, Ji Hyun
    • ALGAE
    • /
    • 제35권3호
    • /
    • pp.225-236
    • /
    • 2020
  • Gymnodinium smaydae is a newly described mixotrophic dinoflagellate that feeds on only Heterocapsa spp. and Scrippsiella acuminata among 19 tested algal prey. It is one of the fastest growing dinoflagellates when feeding, but does not grow well without prey. To investigate its spatial-temporal distributions in Korean waters, we quantified its abundance in water samples that were seasonally collected from 28 stations along the Korean Peninsula from April 2015 to October 2018, using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s. This dinoflagellate had a wide distribution, as reflected by the detection of G. smaydae cells at 23 of the sampling stations. However, this distribution had a strong seasonality; it was detected at 21 stations in the summer and only one station in winter. The abundance of G. smaydae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chlorophyll a concentration as well as with water temperature.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abundance of G. smaydae and salinity, concentrations of nutrients, or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During the study period, G. smaydae was present when water temperatures were 7.6-28.0℃, salinities were 9.6-34.1, concentrations of NO3 were not detectable-106.0 μM, and concentrations of PO4 were not detectable-3.4 μM. The highest abundance of G. smaydae was 18.5 cells mL-1 in the coastal waters of Jinhae in July 2017 when the chlorophyll a concentration was 127 mg m-3 and water temperature was 23.8℃. Therefore, the spatial-temporal distribution of G. smaydae in Korean coastal waters may be affected by chlorophyll a concentration and water temperature.

인조기판 위에서 해양 부착생물의 발달 및 천이 (Development and Succession of Marine Fouling Organisms on Artificial Substrata)

  • 심재형;정문섭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57-270
    • /
    • 1987
  • 1982-1983년 진해항 및 마산만에서 발달하는 부착생물 군집을 슬라이드 글라스 및 浸漬基板실험에 의하여 연구하였다. 15일의 침적실험후 세균의 개체수는 1.7$\times$$10^{4}$CFU/$cm^{2}$로 산출되었고, 微小生物群集에서 발달한 저생 규조류 는 총 46분류군이었다. 부착생물군집의 順次的 변화과정을 명백히 볼 수 있었고, 우 점 규조류 종은 Licmophora flavellata, Navicula grevillei, 및 Nitzschia closterium 로 나타났다. 대형생물군집의 주요 종은 Mytilus edulis, Balanus amphitrite mphitrite, Hydroides ezoensis및Celleporina sp. 로서 5개월의 침적후에 500g/100cm $^{2}$이상의 생물량을 보였다. 두 조사해역에서의 군집발달양상이 큰 차이를 보이 는데 이는 주로 주변수의 물리화학적 안정성 및 영양상태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 된다. 부착생물군집의 발달과정은 유생의 생성시기 및 성장률에 매우 큰 영향을 받 는 것으로 밝혀졌고, 군집발달의 전 과정은 다음과 같이 요약이 된다. 세균 및 규조류-다세포해조류-따개비류, 홍합류 및 다모류-해면류, 말미잘류 및 해초류.

  • PDF

식물성 생약재 열수추출물이 어병 원인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및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식세포의 활성산소 생산에 미치는 in vitro 효과 (In vitro Effect of Water Extract of Medicinal herbs on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Fish Pathogenic Bacteria and Superoxide Production of Kidney Phagocytes in Oliver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정승희;손영찬;김이청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10
    • /
    • 2001
  • 식물성 생약재의 항균력과 활성산소(superoxide anion, $O_2^-$)의 생산에 미치는 in vitro 효과를 조사하여 금후 in vivo 실험에 적용할 때, 어류 체내 자연 저항성 증진을 꾀할 수 있는 식물성 생약재를 발굴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식물성 생약재는 고삼, 귀전우, 구절초, 박하, 방풍, 연교, 약쑥, 지유, 삼백초, 삼지구엽초, 상백피, 소회향, 편축, 팔각 등 14종류로 이들을 열수추출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항균력 시험에는 어병세균 Listonella anguillarum(Vibrio anguillarum), Vibrio sp., Vibrio alginolyticus, Edwardsiella tarda, Streptococcus sp., Lactcoccus garvieae를 대상으로 disk법을 사용하였으며, 활성산소의 생산능은 넙치 신장 대식세포를 이용한 nitroblue tetrazolium(NBT) 반응으로써 조사하였다. 그 결과,약쑥이 다른 생약재에 비하여 시험에 사용된 어병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월등히 뛰어났으며, 또한 넙치 대식세포의 활성산소 생산능을 크게 자극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동중국해에 분포하는 개조개의 생식생물학적 연구 (Reproductive Biology of the Purplish Washington Clam, Saxidomus prupuratus in the East China Sea)

  • 김영섭;김영혜;김종빈;장대수;이동우;강현정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61-265
    • /
    • 2010
  • 개조개 표본은 동중국해의 진해만에서 잠수선에 의해 어획된 것을 2002년 1월부터 12월까지 매월 120개체씩 채집된 것이다. 생식소 발달단계는 비활성기 (11월-12월), 초기활성기 (11월-이듬해 1월), 후기활성기 (12월-이듬해 2월), 성숙기 (2월-5월과 10월), 산란기 (4월-12월) 등 5단계로 구분되었다. 주산란시기 6월부터 8월까지이었다. 성숙각장은 71-85mm로 추정되었다. 암컷과 수컷 성비는 유의한 차가 없었으므로 1:1이었다.

유독와편모조류 Alexandrium tamarense와 Alexandrium catenella의 성장에 미치는 조도의 영향 (Effects of Irradiance on the Growth of the Toxic Dinoflagellates Alexandrium tamarense and Alexandrium catenella)

  • 권형규;박지아;양한섭;오석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2권12호
    • /
    • pp.1571-1577
    • /
    • 2013
  • The effects of irradiance on the growth of toxic dinoflagellates Alexandrium tamarense (Masan Bay strain) and Alexandrium catenella (Jinhae Bay strain) were investigated in the laboratory. At $15^{\circ}C$ and 30 psu for A. tamarense and $25^{\circ}C$ and 30 psu for A. catenella, the irradiance-growth curve showed the maximum growth rate (${\mu}_{max}$) of 0.31 $day^{-1}$ with half-saturation photon flux density (PFD) ($K_I$) of 44.53 ${\mu}molm^{-2}s^{-1}$, and a compensation PFD ($I_c$) was 20.67 ${\mu}molm^{-2}s^{-1}$ for A. tamarense, and ${\mu}_{max}$ of 0.38 $day^{-1}$ with $K_I$ of 59.53 ${\mu}molm^{-2}s^{-1}$, and $I_c$ was 40.80 ${\mu}molm^{-2}s^{-1}$ for A. catenella. The $I_c$ equated to a depth of 8~9 m from March to June for A. tamarense and 6~7 m from March to June for A. catenella. These responses suggested that irradiance at the depth near the middle layer in Masan Bay would provide favorable conditions for two species.

Analysis of Polybrominated Diphenyl Ethers (PBDEs) in Sediments from the Southeastern Coastal Areas of Korea

  • Choi, Hee-Gu;Kim, Sang-Soo;Jeong, Seung-Ryul;Lee, Pil-Yong;Moon, Hyo-Ba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6권4호
    • /
    • pp.101-108
    • /
    • 2001
  • Polybrominated diphenylether (PBDEs) congeners, 2,4,4'-TrBDE, 2,2',4,4'-TeBDE, 2,2',4,4',5-PeBDE, 2,2',4,4',5,5'-HXBDE, and 2,2',4,4',5,6-HxBDE, were measured in sediments from 52 stations in the southeastern coastal areas of Korea. Sediment samples were analyzed using gas chromatography coupled to mass spectrometer detector (GC/MSD) with positive electron impact (PEI) mode. New analytical methodology for PBDEs by the isotope dilution method was established using a multi-layer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Total PBDEs levels in sediments for Pohang coast ranged from 1,1 to 33.8 ng/g dry weight (mean 5.3 ng/g dry), from 1.6 to 36.4 ng/g dry weight (mean 5.7 ng/g dry) for Ulsan coast, from 0.8 to 20.3 ng/g dry weight (mean 4.9 ng/g dry) for Busan coast, and from 0.8 to 10.3 ng/g dry weight (mean 4.4 ng/g dry) for Jinhae Bay. PBDEs contamination in surface sediments from Korean southeastern coasts was relatively moderate in comparison to that of other marine environment in the world. The predominant PBDE congeners were 2,2',4,4'-TeBDE and 2,2',4,4',5-PeBDE.

  • PDF

대화 패턴 연구를 통한 스마트TV 음성 상호작용 모델의 탐구 (Examination of a Voice Interaction Model for Smart TV through Conversation Patterns)

  • 최진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96-104
    • /
    • 2017
  • 최근의 스마트 기기들은 사용자의 의도와 사용 맥락을 반영하는 지능형 에이전트의 형태로 발전하고 있으며, 기능을 더 쉽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사용자 경험 설계가 경쟁력의 핵심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인간중심의 내추럴 인터랙션이 최적의 스마트TV 경험에 필수적이라는 전제하에 TV에 특화된 음성 인터랙션 방식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사용자가 자연스러운 행태로 TV를 조작하는 모델을 구축하기 위하여 스마트TV의 주요 기능을 지능형 에이전트에 명령하도록 하였고 대화 패턴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문장은 CfA 모델에 대입하여 기능 실행을 위한 반응 별로 분류하였다. 분류된 5가지 대화 패턴은 스마트TV가 실행하는 기능 특성에 따라 '기능 실행'과 '정보 검색'으로 나눌 수 있었다. 사용자와 TV간의 음성 상호작용에서 모호한 요청의 경우 재확인을 위한 CfC1이 발생하고, 복합 의도나 조건부 요청에 대한 대응이 필요한 경우는 CfC2가 발생한다는 부분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스마트TV에서의 음성 UI 설계에서 Simple Request Type이 가장 효율적 모델이라는 점과 대화형 인터랙션은 가능한 사용자의 모호한 요청을 구체화하기 위한 단계에서만 활용되는 것이 적합하다는 것이다.

해상 담수화 공장에서 배출되는 고온고염 해수의 확산예측 (Dispersion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Salinity Water Discharged from Offshore Desalination Plant)

  • 이문진;홍기용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33-40
    • /
    • 2000
  • 해상에 설치되는 담수화 공장의 가동에 따른 환경영향평가를 위하여 고온고염 배출수의 확산을 예측하였다. 진해만에 설치될 담수화 공장에서는 200ton/일의 해수를 유입하여 50ton은 담수화 하고 150ton은 고온고염수로서 배출한다. 배출되는 해수의 수온은 15℃ 상승되며, 염분은 약 1.33배 증가된다. 배출수의 확산예측에서는 2차원 조류모델로 이류를 계산하며, 몬테카르로 방법으로 난류확산을 재현한다. 배출수에 의한 수온상승의 예측에서는 대기를 통한 열량 방출을 감소요인으로 고려하였으며, 100일간의 계산을 통하여 평형상태의 확산분포를 재현하였다. 고염수에 의한 확산에서는 감쇠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였으며, 약 1년간의 계산을 통하여 평형상태의 확산분포를 재현하였다. 평형상태에서 배출수에 의한 수은상승과 염분상승은 배수구 근처에 국한되어 나타났으며, 각각 약 0.01℃와 0.001‰의 상승폭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