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eonlanam-do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9초

우잠(愚岑) 장태경(張泰慶) 생애(生涯) 연구(硏究) (A Study on the life of WooJam, Jang-Taegyung)

  • 박상영;이정화;권오민;한창현;안상우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7-62
    • /
    • 2011
  • With the discovery of WooJam JabJeo, Jang-Taegyung[1809~1887] was highlighted as a noted doctor who won fame in the neighborhood of Gwangju, but with 'WoodJam Mango' seeing the light of day, this study was able to confirm the appearance of a literary man enjoying a reputation enough to sway literary circles with his writing of poems. It's possible to confirm his past related to medical service only until age of 42, which is because description in "WooJam JabJeo" came to a halt there. The situation is that the contents of 'WooJam Mango' started from age of 46 and were carried on even until after his death by his followers. Therefore, there exists a very intense impression that he might have put a focus on the life as a literary man ever after his mid-40s. and considering that he breathed his last at the age of 79, it's not difficult for us to estimate that his life was predominantly a series of literary activities rather than a health care provider. The place names appearing in "WooJam JabJeo" and "WooJam Mango" are limited to today's Jeonlanam-do, and this researcher would say that the through-composed poems, which sang of the beauty of Gwangju area scenery are the works, deserve to get a spotlight in local history even today.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this study could prove that WooJam is a flawless figure enough to represent Gwangju and Jeonlanam-do as a health care provider and a literary person as well.

우리나라 차나무 품종육성 (Tea Breeding in Korea)

  • 박용구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4권
    • /
    • pp.1-8
    • /
    • 2006
  • When tea trees were introduced to Korea peninsular from China? Historically, Mr. Taeryum, an envoy of Shilla dynasty brought tea seeds from China during Tang dynasty and the seeds were planted at Jiri Mt. by the order of King Heungduk at AD828. During Koryo Dynasty(918 1392), Buddhism spread rapidly all over the country and the tea culture reached its highest stage of prosperity. At the Chosun Dynasty, however, the ceremonial drinking of tea vanished almost completely due to the flourishing Confucian tradition, a kind of substitution of Buddhism. But a few people have supported the traditional tea culture by themselves. Since the independence of Korea soon after the World War II at 1945, Korean War have been exploded at 1950. After economic evolution have been succeeded at 1980, the cultivation area of tea trees has been increased about 2,000ha and the cultural tradition of tea drinking has become popular again at a tea consume quantities amounted to 100g per capita at 2004. The northern limited area of tea plant is lined on the southern part of Korea peninsular. It is very small region compared to China about one million ha and to Japan over 60 thousand ha. It is problem not only the area of tea fields but also the methodology of tea cultivation, for examples without clonal cultivars and mechanical systems. WTO treatments was discussing with Korea, China and Japan government at 2005. Green tea custom is very high at 514% in Korea. If three countries will be agreed the imported tax will be cut off, the Korean tea farmers will be confused because of unstable situation of tea markets. All most of tea farmers should be made the tea fields by seeding not clonal propagation. Because of clonal cultivars have not developed in Korea, there have not been the research institutes for tea plants and manufactures before 1992. Now there are three research institute of tea in Korea; Tea Experiment Station at Bosung of Jeonnam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Mokpo Experimental Station of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and Green Tea Cluster Institute of Hadong. Mokpo and Hadong Research Station were established at 2004 and at 2005 but Bosung Station was established at 1992. Seven clonal tea cultivers were selected at Bosung Station; Bohyang, Myngsun, Chanlok, Sunhyang, Mihyang, Jinhyang and Ohsun until 2004. Mokpo Experimental Institute was started the tea provenance testing about 4 provenances: Kangwon-do, Jeonlabuk-do, Jeonlanam-do, and Kyungsangnam-do. Korean new tea cultivers should be selected because Koran wild tea population have been high genetic variation. If tea breeding research will be successful to select new clonal cultivers, the tea farmers of Korea will be stable after WTO treatment with each country.

  • PDF

조선후기(朝鮮後期) 상한(傷寒) 연구(硏究)의 일면(一面) - 조선후기(朝鮮後期) 상한(傷寒) 연구서(硏究書) "상한경험방요촬(傷寒經驗方要撮)"의 구성과 내용 - (Composition and Contents of the Monograph on Theory of Cold Damage - "Sanghankyeongheombangyochal"(傷寒經驗方要撮) in the Late Joseon Dynasty)

  • 오준호;박상영;김현구;권오민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25-34
    • /
    • 2012
  • Objective :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focus on written by Joh, Taek-seung (曺澤承) and Joh, Byeong-who(曺秉矦) in the relation of father and son in 1933. This book is a medical book including rare data, which has never been reported to academic circles all this while. Method : First, this study looked into the authors of this book and its history of publication. Further, this study analyzed the composition and contents of this book. Lastly, this study summed up the meaning of this book from the standpoint of medical history. Result : The authors were Confucian doctors who were active in the latter era of the Joseon Dynasty and also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They lived in Haenam district of Jeonlanam-do, and cured its neighboring local residents while studying. They published the book of by putting together their own medical experiences. The authors suggested their remedial prescription according to gender and age whereas Zhang Zhongjing(張仲景) suggested the remedial prescription according to Six-Meridian Pattern Identification & Syndrome Differentiation(六經辨證). In addition, the authors of gave weight to the relationship with internal damage. Additionally, the authors not only thought much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damage and external damage but also thought of the weakness and strength of the healthy qi, and the new and the old of a disease as an important clue to medical treatment. It seems that such contents was influenced by (東醫寶鑑). Conclusion : show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n which was spontaneously conducted in Joseon.

사전방재활동을 위한 태풍정보 콘텐츠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Preliminary study on Typhoon Information Contents Development for Pre-disaster Prevention Activities)

  • 김은별;박종길;정우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7권11호
    • /
    • pp.957-966
    • /
    • 2018
  • This study intend to induce citizen's voluntary preliminary disaster prevention activity to reduce damage of typhoon that occurs every year.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to develop Typhoon information contents. The number of samples used in the survey was set to 500 people, and citizens living in Jeju, Busan, and Jeonlanam-do were surveyed for areas with high typhoon disasters in order to develop practical and efficient information. The survey consisted of perception about natural disaster, how to get and use weather information, satisfaction with typhoon information and requirements. The general public perceived the typhoon as the first natural disaster. As a result of responding to the method of obtaining and utilizing weather information, the frequency of collecting weather information at the time of issuance of typhoon special report is higher than usual. The purpose of using weather information is clear and the response rate is high for the purpose of disaster prevention. The medium mainly collecting weather information is Internet portal site and mobile phone besides television. The current satisfaction with typhoon weather information is 34.8%, in addition to the accuracy of predict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information (that is content) provided. Specific responses to the content were investigated not only for single meteorological factors, but also for possible damage and potential countermeasures in the event of a disaster such as a typhoon.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results, people are requested to provide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to detect and cope with disasters. The development of new content using easy accessible media will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damages caused by the typhoon that will occur in the future, and also to the disaster prevention activity.

광주지방(光州地方)의 리기다소나무 및 리기테다소나무조림지(造林地)의 물질생산량(物質生産量)에 관(關)한 연구(研究) (Distribution of Biomass and Production of Pinus rigida and Pinus rigida×taeda Plantation in Kwangju District)

  • 이경재;김갑덕;김재생;박인협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9권1호
    • /
    • pp.28-35
    • /
    • 1985
  • 전남(全南) 광주(光州)에 소재(所在)하는 22년생(年生)의 리기다 및 리기테다소나무임분(林分)에 $200m^2$의 표준지(標準地)를 설정(設定)하고, 지상부(地上部)의 현존량(現存量) 및 년순생산량(年純生産量)을 분석(分析) 추정(推定)하였다. 각(各) 표준지(標準地)에 직경급별(直徑級別)로 안배한 9 주(株)의 표본목(標本木)을 벌채(伐採)하여 1m의 계층(階層)으로 절단(切斷)하고 간(幹)(Ws), 지(枝)(Wb), 엽(葉)(Wl) 부위(部位)로 나누어 건중량(乾重量)을 계산(計算), $D^2H$와의 상대생장식(相對生長式)을 이용(利用)하여 물질생산량(物質生産量)을 추정(推定)하였다. 생산구조면(生産構造面)에서 광합성부(光合成部)가 리기다소나무는 지상(地上) 6.2m, 리기테다소나무는 지상(地上) 9.2m 높이에서 시작되었고, 수관(樹冠)의 최대광합성층(最太光合成層)은 각각(各各) 11.2m, 12.2m 높이에서 나타났다. 지상부(地上部)의 현존량(現存量)은 리기다소나무가 71.61 t/ha, 리기테다소나무가 142.32 t/ha이었고, 년순생산량(年純生産量)은 각각(各各) 10.81 t/ha/yr, 10.46 t/ha/yr이었다. 현존량밀도(現存量密度)는 리기다소나무가 $0.56kg/m^3$, 리기테다소나무가 $0.96kg/m^3$ 이었다. 잎의 생산능률(生産能率)을 추정(推定)한 바 NAR은 리기다소나무가 1.32 kg/kg/yr, 리기테다소나무가 1.00 kg/kg/yr이었고, 잎의 간재생산능률(幹材生産能率)은 각각(各各) 0.97 kg/kg/yr, 0.81 kg/kg/yr 이었다.

  • PDF

담양 하천습지 내 단위 생태계의 분류 (Classification of Unit Ecosystems in Damyang Riverine Wetland)

  • 손명원;장문기;윤광성;최태봉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3
    • /
    • 2013
  • 담양습지보호지역은 전남 담양군과 광주광역시 북구 일원에 지정되어 있으며, 그 면적은 $980,575m^2$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담양하천습지를 세부 지형단위로 나누고, 각 지형단위에 대한 퇴적물을 분석하여, 하천습지를 이루는 단위 생태계를 세분화하는 것이다. 하천습지는 하도습지와 범람원, 구하도 습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담양하천습지는 하도습지의 유형에 속한다. 하도습지의 세부 지형단위를 분류하기 위하여, 1단계로 항공영상을 획득하여 세부 지형단위를 분류하였으며, 2단계로 현지 연구를 통해 분류 내용을 수정 보완하였다. 본 연구에서 담양습지보호지역은 22개의 생태계 단위로 구분된다. 그들의 퇴적물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은 공간적으로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이는 담양하천습지의 서식환경이 다양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담양하천습지보호지역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전략을 세울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담양습지에 형성된 다양한 하천지형과 이들을 서식지로 하는 생물들 간의 관계에 대한 학제적 연구가 필요하다.

  • PDF

기후변화에 따른 국내 키위 품종 '해금'의 개화시기 변동과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 전남 키위 주산지역을 중심으로 (Preliminary Result of Uncertainty on Variation of Flowering Date of Kiwifruit: Case Study of Kiwifruit Growing Area of Jeonlanam-do)

  • 김광형;정여민;조윤섭;정유란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2-54
    • /
    • 2016
  • 최근 국내에서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있는 골드키위 해금의 개화시기를 예측할 수 있는 휴면시계모형의 모수를 추정하고 해금 주산지에서 미래 기후변화에 의한 개화시기의 변화와 불확실성을 전망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해금 개화시기 예측을 위한 휴면시계모형의 모수는 $6.3^{\circ}C$(base temperature, $T_b$), 102.5(chill requirement, $R_c$), 575(heat requirement, $R_h$)로 추정되었다. 2가지 방법으로 추정된 모수를 검증하였는데, 4개 표준기상관측소의 3년 동안(2013-2015)의 기상자료로부터 해금의 개화시기를 예측하고 25개 해금 노지 재배농가에서 수집된 2년 동안(2014-2015)의 관측 개화일과 비교한 결과 5.2일의 추정오차를 보였다. 또한 격자형 기후표면에 의해 계산된 격자형 개화시기 표면으로부터 25개 해금 노지 재배농가가 위치한 격자들의 예상 개화시기를 추출하여 비교한 결과, 3.4일의 추정오차를 보였다. 이 모수를 2021-2040년 동안의 6개 GCMs의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와 결합하여 해금의 미래 개화시기를 예측하였다. 전남 키위 주산지역에서 가장 빠른 개화시기는 4월 21일(111일), 가장 늦은 개화시기는 6월 2일(153일)로 나타났다. 6개 개별 GCM 중에서 RCP 4.5의 CanESM2과 GFDL-ESM2G, RCP 8.5의 HadGEM2-AO에서 20년 후 전남 키위 주산지역에서 해금의 개화시기는 현재보다 2-3일 단축될 뿐 현재와 큰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전망되었다. 그러나 RCP 4.5와 RCP 8.5의 6개 GCMs의 평균 미래 개화시기에서 현재보다 10일 이상 단축되고 현재와 같은 개화시기는 전북 및 충남 해안지역 등 북쪽으로 약 150km 이상까지 확대될 수 있는 것으로 전망되었다. 본 연구의 예비 결과는 국내 육종 과수의 생장발육 및 개화시기 예측 등을 위한 생물계절 연구와 기후변화에 대한 영향평가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면역효소진단법을 이용한 폐흡충증 유행의 역학조사 (An epidemiological study of human paragonimiasis by means of micro-ELISA)

  • 조승열;이동근강신영김석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1권2호
    • /
    • pp.246-256
    • /
    • 1983
  • 폐흡충증의 유행정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하여 온 피내반응과 충란검사가 각각 특이도와 민감도에 문제를 갖고 있어 주민 중 현증 환자를 적절히 찾았다고 하기가 어렵게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는 방법으로 폐흡충 특이 IgG항체를 검사함으로써 항체양성자의 수를 현증 환자의 수로 하는 방법을 폐흡충증 역학조사에 응용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특이항체를 면역효소진단법으로 측정하였을 때 그 효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과 북일면의 6개 국민학교, 2개 중학교, 1개 고등학교 학생과 2개 부락 주민 등 모두 4,285명을 우선 피내 반응으로 검사하고 폐흡충 피내반응 양성자에서 가래 검사를 한번 실시하였고 혈청을 채취하여 면역효소진단법으로 폐흡충 특이 IgG항체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총 대상자 4,285명 중 폐홉충 피내반응 양성자는 244명 (5.7%)이었고, 피내반응 양성자 중 충란 양성자는 7명 (4.2%), 면역효소진단법에 의한 특이 IgG항체 양성자는 40명 (16.7%)이었다. 전체 조사 대상자에 대한 충란 양성자의 비율은 0. 16%, 특이 IgG항체 양성자는 0.93%에 해당하였다. 2. 폐흡충 특이 IgG항체 양성자는 충란 양성자에서는 100%, 폐흡충 피내 반응은 양성이나 충란검사 음성자에서는 14.2%에서 나타났으나, 간흡충 피내반응 양성자 또는 피내반응 음성 자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3. 폐흡충 특이 IgG항체 양성자는 피내반응 구진의 크기 9mrn이하에서는 없었고, 10mm에서는 5.5%, 11∼12mm에서는 26.1% 및 18.2%, 13mm이상에서는 평균 42.4%에서 양성이었다. 4. 특이항체 양성자 31명을 임상적으로 조사한 바 검사소건(흉부 X-선, 충란검사 및 호산구 비율)에서 폐흡충증에 합치하는 이상소견이 24례에서 나타나 현증 폐홉충증 환자로 생각할 수 있었고, 나머지 7례중 3례는 폐흡충증의 과거력이나 쳔증 증상을 갖고 있었으며 4례에서는 특이항체 양성소견 이외에는 어느 검사로도 폐흡충증임을 증명할 수가 없었다. 5. 폐홉충 특이 IgG항체 양성자 수의 피내반응 양성자 수에 대한 비율은 연령별로 7∼9세에서는 16.6%, 10∼14세에서 25.4%, 15w18세 군에서는 18.3%이었고 20세 이상에서는 10.0%로 떨어지고 있었다. 6. 체홉충 특이 IgG항체 양성자는 북평면의 산골 마을에서 주로 나타나고 있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에서 면역효소 진단법에 의하여 폐흡충 특이 IgG항체 양성자를 조사함으로써 어느 지역의 폐흡충중 현증 환자를 피내 반응이나 충란 검사보다도 더 사실에 가깝게 측정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이 연구를 수행하는데 현지조사를 직접 간접으로 도와 주신 해남군 보건소 민 경 소장님과 김용팔 주사, 북평면 면사무소 직원여러분과 해남군 교육청, 각급학교 교직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환자의 흉부 X-선 사진을 판독하여 주신 중앙의대 부속 성심병원 방사선과 과장 정전상 부교수께 도 감사드립니다. )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