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eolabuk-do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4초

전북 광상의 납 동위원소 조성에 대한 고찰 (Pb Isotopic Composition of the Ore Deposits Distributed in Jeonbuk Province)

  • 정재일;박계헌
    • 암석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1-89
    • /
    • 2006
  • 전라북도 지방에 분포하는 번암, 동진, 적상 및 북창 광산에서 채취한 납광석광물에 대한 납 동위원소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광상별로 상당히 다른 납 동위원소 조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번암광산, 북창광산 및 동진광산의 납 동위원소값이 형성하는 선형변화는 그 기울기가 매우 급하기 때문에 연대로 해석하기는 곤란하며 이 광상들의 납은 주로 선캠브리아 기저지각과 중생대 화강암질암의 두 종류 단성분들로부터 유래하였을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광상의 형성시 이러한 근원물질들로부터 유래한 납의 혼합비율은 광상마다 상당히 다른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광화작용시 존재했던 유체의 순환이 매우 국지적인 범위에서 제한적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동진 광상의 경우는 광상에 배태된 납의 근원이 상당부분 기저지각에서 용출된 것임을 시사하며, 광화작용시 화성암은 운광암으로서보다는 유체의 순환을 야기한 열원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 수달(Lutra lutra)의 분포 현황 (Distribution of Eurasian Otter Lutra lutra in Korea)

  • 조영석;원창만;김주필
    • 환경생물
    • /
    • 제24권1호
    • /
    • pp.89-94
    • /
    • 2006
  • 본 연구는 수달의 배설물에 근거해 한국 수달의 서식지 분포 및 그 패턴을 유추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분포 조사에 사용한 총 750개의 조사 격자 (13.75X11\;km) 중 34%에 이르는 255개의 구획에서 수달의 배설물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수달 배설물의 지역적 분포 빈도는 경상북도(49.62%), 강원도 (49.56%), 충청북도 (41.67%), 경상남도 (38.00%), 전라북도 (37.93%), 전라남도 (24.24%), 충청남도 (20.29%), 경기도(7.36%)순이었다. 수달의 배설물이 발견된 대부분 지역에서 아주 적은 수(평균 1.7 spraints/sprainting site)의 배설물만을 확인하였으므로 지역별 개체군의 크기는 크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수달의 배설물에 근거해 유추한 수달 서식지의 분포 패턴은 한국에 서식하는 수달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초 생태자료로써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