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eju-do (Province)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8초

연한 청색의 동시개화성 절화 용담 ‘스카이블루볼’ 육성 (Breeding of ‘Skyblueball’, a New Gentiana spp. Cultivar with the Same Time Flower and Violet Blue Petals)

  • 서종택;유동림;김수정;류승열;남춘우;권영석;장석우;김원배;이응호;최창학;김정선;성문석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630-633
    • /
    • 2016
  • 용담 신품종 “스카이블루볼(Skyblueball)”은 청색 꽃을 가진 Jinbu-65호를 모본으로 하고 역시 청색 꽃을 가진 Jinbu-1호를 부본으로 하여 2000년에 교배하여 선발하였다. 그 후 조직배양을 통해 증식후 2002년부터 지역적응성 검정까지 5년에 걸쳐 그 특성이 조사되었다. 화색은 연한 청색(VB 96C)으로 횡계1호(VB96B)보다 밝으며 꽃잎에 반점이 없다. 꽃대 줄기는 자주색을 띠며 잎 모양은 피침형이다. 꽃은 밤에 반폐쇄형이고 거의 동시에 개화하는 습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반면 횡계1호는 아래부터 위로 개화하는 습성이 있다. 초장은 62.9 cm로 횡계1호보다 약간 작고 주당 화경수는 8.3개로 약간 많은 편이다. 화경당 화단수는 5.3단으로 같으며 화경당 화수는 21. 7개로 횡계1호의 36.0개 보다 14개 정도 적다(Table 2). 개화기는 대관령이 7월 26일, 진부가 8월 3일, 남원도 8월 3일 그리고 제주도가 6월 28일로 가장 빨리 피어, 전 지역에서 횡계1호 보다 빨리 핀다.

Distribution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copolia japonica Maxim. in Korea

  • Jang, Chang Gee;Park, Myung Soon;Nam, Bo Mi;Pak, Hubert H.;Eom, Jeong Ae;Chung, Gyu Young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71-279
    • /
    • 2011
  •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Scopolia japonica Maxim., commonly known as 'Mi-chi-gwang-i-pul' in Korean, were re-evaluated in comparison with results from previous research, while the distribution map was formulated according to existing flora and voucher specimens. The result of the re-evaluation has shown that there are some distinctive discrepancies compared to the previous reports of some characteristics such as the color of the basal stem, numbers of lateral veins, apex shape of calyx and corolla including the color of corolla. The Korean Scopolia japonica Maxim is found throughout Korea except Jeju-do province. The intra-specific species such as S. parviflora (Dunn.) Nakai, S. lutescens Y.N. Lee and S. kwangdokensis Y.N. Lee were treated as synonyms of S. japonica Maxim. in this research.

First report of the branchiobdellidan Holtodrilus truncatus (Annelida: Clitellata) found on the freshwater atyid shrimp Neocaridina sp. from Korea

  • Ahn, Dong-Ha;Min, Gi-Sik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5권3호
    • /
    • pp.459-462
    • /
    • 2016
  • The branchiobdellidan species Holtodrilus truncatus (Liang, 1963)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e genus Holtodrilus Gelder and Brinkhurst, 1990 is monotypic within the family Xironodrilidae, and the genus and family of this species are also new to the Korean fauna. The branchiobdellidan specimens were collected from the exoskeletons of the freshwater atyid shrimp, Neocaridina sp., sampled from the 'Andeok Valley', Jeju-do Province, South Korea. Holtodrilus truncatus is characterized by its terete body form, 7/7 dental formula (with a large medial tooth and three pairs of smaller lateral teeth), and no trunk appendages. In addition, we determined a partial sequence of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1 (CO1) gene as a DNA barcode marker for H. truncatus. The present study is the first record of the branchiobdellidan occurrence on a non-crayfish host (shrimp) in Korea. To date, seven species (four genera in three families) of branchiobdellidans have been reported in the Korean fauna.

DNA Barcoding of Scolelepis (Parascolelepis) papillosa (Annelida, Spionidae) in Korea, with Additional Taxonomic Notes

  • Lee, Geon Hyeok;Lee, Ha-Eun;Min, Gi-Sik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7권4호
    • /
    • pp.349-353
    • /
    • 2021
  • Scolelepis (Parascolelepis) papillosa (Okuda, 1937), originally described from a single incomplete individual from Jeju Island in Korea, was collected from the intertidal sandflats of Soan Island (Jeollanam-do province) in Korea. The examined specimens of S. (P.) papillosa agree well with the original description in having the papillae on the basal sheath of the palps, presence of occipital antenna, absence of notochaetae in chaetiger 1, branchiae completely fused with notopodial postchaetal lamellae at the anterior chaetigers, and neuropodial hooded hooks appearing from chaetiger 16. In this study, the sequences of partial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COI), 16S ribosomal DNA (16S rDNA), and the nuclear 18S ribosomal DNA (18S rDNA) of the species were determined. We also provide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illustrations on this species based on the complete specimens newly collected in this study.

제주지역 내 중국 및 일본 관광객의 선택속성의 차이분석 : 구조방정식 이용 (A Comparison Analysis of Chinese and Japanese Tourists' Motivation Factors in Jeju-do(province) : A Structural Equation Model)

  • 김민철;부창산;김영훈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26-140
    • /
    • 2008
  • 본 연구는 제주지역 내 중국 및 일본 관광객의 두 집단 간 비교 분석으로서 선택속성 관린 요인들 간의 구조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위하여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분석을 하였으며 각 집단별로 서비스가치를 매개 요인으로 고려하여 그 영향 요인을 고려하였다. 즉 중국 관광객 및 일본 관광객별로 경로계수에 따른 차이검증을 통해 집단 간 비교를 가설검증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국 관광객은 일본 괸광객과는 달리 관광자 편리성이 서비스 가치에, 그리고 문화체험이 만족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침을 최종 확인할 수 있었다. 반대로 일본 관광객은 중국 관광객과는 달리 관광자 편리성이 만족에, 서비스가치가 의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침을 최종 확인할 수 있다. 이 같은 결론을 통해 향후 정책적인 방향을 설정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PDF

제주 문화·관광·체육·교통 정보를 융합한 유비쿼터스 서비스 모델 (Ubiquitous Service Model for Information Convergence of Jeju Island Culture, Tourism, Sport and Traffic)

  • 이창영;양진석;김도현;안병구;김남수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97-104
    • /
    • 2008
  • 최근 내비게이션과 위치 기반 서비스는 이동 단말에서 지도 기반으로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인터넷에서 지도 공개 API를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지도 기반의 서비스와 인터넷 상의 여러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여러 응용 서비스나 인터넷 웹이나 지리 정보를 검색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다양한 문화 관광 교육 체육 교통 등의 정보를 지도 상에서 종합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지도 기반의 정보 융합 서비스 모델을 제시하고, 이 모델을 기반으로 공개 API를 이용하여 지도 상에서 문화 관광 교통 정보를 융합하여 사용자에게 통합된 융합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제안된 정보 융합 서비스 모델을 이용하여 제주도의 관광지와 문화 활동 시설에서 개최되는 행사, 공연, 스포츠 경기에 관한 정보와 교통 정보를 융합하는 서비스 모델을 제시한다. 그리고 리녹스 환경에서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지리 공개 API를 이용하여 제주의 관광지와 문화 장소의 행사, 공연, 스포츠 정보와 버스노선 정보를 융합한 제주 문화 관광 대중교통 정보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지도 상에서 문화 관광 콘텐츠와 더불어 교통 및 체육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편리한 문화 및 관광 활동을 지원할 수 있다.

  • PDF

거푸집 양생 조건에 따른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특성 (Characteristics of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due to Form Curing Condition)

  • 김경남;박상렬;문경태;심재용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8권1호
    • /
    • pp.19-28
    • /
    • 2018
  • 거푸집의 탈형 시기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품질과 공사기간, 공사비에 영향을 주는 직접적인 요인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성과 경제성을 확보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국내 규정에서 거푸집 존치에 대한 규정을 제시하고 있으나 조기에 거푸집을 해체하여 콘크리트의 품질이 저하되고 있다. 이는 양생조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공사기간이 단축되길 원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의 거푸집 탈형시기에 따른 양생조건이 압축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거푸집의 12시간 후 조기 탈형은 콘크리트의 28일 압축강도를 최대 약 40% 정도까지 저하시켰으며, 거푸집을 28일 동안 장기간 존치할 경우에는 28일 표준압축강도 대비 약 7%의 강도저하를 가져왔다. 결론으로 본 논문에서는 양생온도를 등가재령으로 고려하여 거푸집 해체 시기에 따른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추정식을 제안하였다. 이 제안식은 현장에서 거푸집 제거 후의 콘크리트 압축강도 평가에 활용될 수 있다.

추자도(제주도) 지역의 관속식물 (The vascular plants of Chujado Island (Jeju-do), Korea)

  • 선은미;박유철;이강협;송국화;손동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45-370
    • /
    • 2019
  • 본 연구는 제주도 제주시 추자면에 위치한 추자도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하기 위해 2013년 4월부터 동년 9월, 2018년 5월부터 동년 9월까지 총 11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 추자도의 관속식물은 총 97과 311속 481종 2아종 65변종 10품종의 558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한반도 특산식물은 7분류군이며, 희귀식물은 8분류군이다. 식물구계학적등급종은 109분류군이었으며, 귀화식물은 62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추자도와 인접한 7개 지역과의 식물상 유사도는 생일도가 51.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숨은물뱅듸 습지(제주도)의 식물 다양성 (Flora of Sumeunmulbaengdui wetland in Jeju-do, Korea)

  • 고성철;손동찬;박범균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22-232
    • /
    • 2014
  • 한라산국립공원에 위치한 숨은물뱅듸 습지의 관속식물상 조사를 2010월 9월부터 2014년 5월까지 계절별로 총 9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숨은물뱅듸 습지에 생육하는 관속식물은 69과 148속 202종 2아종 27변종 5품종의 총 236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된 식물들을 생활형에 따라 구분하면 대형지상식물 37분류군, 소형지상식물 26분류군, 착생식물 2분류군, 지표식물 3분류군, 반지중식물 84분류군, 지중식물 33분류군, 수생식물 21분류군, 일년생식물 30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이중 한국특산식물은 10분류군이,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9분류군이 각각 채집되었다.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은 5등급 3분류군, 4등급 7분류군, 3등급 12분류군, 2등급 8분류군, 그리고 1등급 13분류군의 총 43분류군이, 귀화식물은 붉은서나물과 서양민들레 2분류군이 각각 발견되었다. 숨은물뱅듸 습지는 제주도 내 람사르 습지들과 비교해 볼 때 습지의 규모가 크고, 종 다양성이 우수하여, 식물학적으로 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지속적인 관심과 구체적인 보호 관리 방안이 요구된다.

제주도 침입외래생물 Nutria (Mycastor coypus Molina, 1782)의 퇴치 사례 보고 - 제주시 송당지역의 사례 - (Report on the Eradication of Nutria (Myocastor coypus Molina, 1782), an Invasive Alien Species, from Jeju-do, South Korea - Case of Songdang-ri, Jeju-si -)

  • 김가람;이준원;박선미;최성환;정영훈;오홍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82-591
    • /
    • 2022
  •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에 유입된 Myocastor coypus Molina, 1782 (Nutria)의 퇴치를 위해 이루어졌다. 서식확인 및 퇴치는 2013년 9월부터 2013년 11월까지 이루어졌고, 그후 퇴치 성공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2022년 6월까지 조사가 이루어졌다. 서식 확인 및 포획은 무인카메라, 청문조사, 문헌조사, 먹이유인을 통한 트랩 포획법을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후속조사는 Nutria의 행동반경을 감안하여 조사범위를 비교적 넓게 설정하여 서식지역(퇴치지역)을 중심으로 4.0km2 내 습지 및 하천 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서식 확인지역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송당리 소재의 송당목장에서만 발견되었으며, 방목장 내 수로와 연못에서 서식흔적(족적, 배설물, 굴)이 확인되었다. 포획개체는 총 8개체였으며, 암컷 4개체, 수컷 3개체였다. 1개체는 서식확인 시 확인되어 부패 정도가 심해 암·수의 구별이 어려웠다. 후속조사는 설정한 조사범위 내 항시 물이 있는 성읍저수지, 천미천, 몰순이못을 중심으로 서식지와 그 주변을 정밀조사하였으나 서식흔적이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제주도에 서식하는 Nutria는 완전히 퇴치된 것으로 판단된다. 제주특별자치도에서 Nutria의 퇴치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것은 Nutria의 서식 확인 후 빠른 포획을 통해 정착단계 초기에 퇴치가 이루진 것과 제주도 지질 특성상 물이 항시 고여있는 습지가 드물어 확장의 시기가 늦어진 것이 시너지 효과를 일으켜 성공적인 퇴치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이 결과들은 외래종의 유입에 대한 대처는 그 종의 생태특성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올바른 대처를 통해 확장단계 이전 정착 초기 단계에서 관리 및 퇴치를 통해 교란이 일어나기 전 또는 교란 초기에 차단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인 방법임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