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eiu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6초

제주-해남 HVDC 시스템에 STATCOM 적용 타당성 분석 (Feasibility Analysis of STATCOM Application for Jeju-Haenam HVDC System)

  • 백승택;한병문;장길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5년도 제36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A
    • /
    • pp.60-62
    • /
    • 2005
  • This paper describes a feasibility analysis result of STATCOM application for the Jeiu-Haenam HVDC system. The Jeju-Haenam HVDC system is one of the typical HVDC system interconnected with the low short-circuit-ratio AC system, which is vulnerable to the commutation failure due to the AC voltage variation. STATCOM has been considered as an effective reactive-power compensator to increase short-circuit-ratio of the interconnected AC system. In this study, a simulation model of Jeju-Haenam HVDC system with STATCOM was developed using PSCAD/EMTDC. The developed simulation model was utilized to analyze the dynamic performance analysis of Jeju-Haenam HVDC system with STATCOM.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STATCOM can improve the dynamic performance of Jeju-Haenam HVDC system, such as load-change recovery performance and fault recovery performance.

  • PDF

물질순환모델을 이용한 제주항의 수질관리(III) - 오염부하의 정량적 관리 - (Water quality management of Jeiu Harbor using material cycle model(III) - Quantitative Management of Pollutant Loadings -)

  • 조은일;강기봉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07-317
    • /
    • 2003
  • In this study, the material cycle model was applied to suggest alternative management of water quality for Jeju Harbor. The distribution of COD, DIN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and DIP (dissolved inorganic phosphorus) concentrations was reasonably reproduced by simulations on the model area of the Jeju Harbor using a material cycle model. The simulations of COD, DIN and DIP concentrations were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s of 20∼100% pollution loadings reductions from pollution sources. In case of the 100% reduction of the input loads from Sanzi river, concentrations of COD, DM and DIP were reduced to 39%, 78% and 52%, respectively at Jeju harbor. In contrast, in case of the pollutant loadings reductions from sediment, the effect of DIN and DIP reduction relatively seemed to increase around the center of study area. The 95% reduction of the pollutant loadings from river and sediment is required to meet the COD and nutrients concentration of second grade of ocean water quality criteria.

제주도 고산지역과 한라산 1100고지 대기 에어로졸의 특성 비교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for Atmospheric Aerosols between Gosan Site and 1100 Site in Mt. Halla, Jeiu Isalnd)

  • 고희철;강창희;고선영;고수연;김용표;한진석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4-375
    • /
    • 2003
  • 산업화에 따른 화석 연료의 연소, 기타 오염원에 의하여 생성되는 대류권의 에어로졸은 전 지구적인 평균값으로 볼 때, 약 -0.5 W/$m^2$의 복사강제력(radiative forcing)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음의 복사강제력은 일산화탄소, 염화불화탄소, 메탄 등과 같은 온실기체에 의한 양의 복사강제력을 상쇄시키는 정도보다 더 클 수 있다고 추측되고 있어 지속적으로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청정지역으로 꼽히고 있는 제주도 고산 측정소와 한라산 1100 고지 지역에서 에어로졸 시료를 채취하고, 고도에 따라 에어로졸 조성이 어느 정도 차이를 보이는지, 그리고 고도에 따라 에어로졸 성분의 특성이 어떻게 다른지를 비교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중략)

  • PDF

제주도 사빈 해수욕장의 해양환경 조건에 관한 기초조사 (A Fundamental Investigation on the Marin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Bathing Beach in Jeju)

  • 김남형;장성훈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53-64
    • /
    • 2001
  • 해수욕장은 여름철에 사람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해양성 리조트의 하나이다. 제주도 3개 해수욕장에서 해안공학적 기법을 사용하여 자연환경 조건과 해수욕객의 앙케이트 조사를 수행하였다. 또한 입경, 파고, 수온, 투명도, 해저경사 등에 관한 만족도가 조사되었다. 이 연구로부터 얻어진 결과는 앞으로 새로운 인공 해수욕장을 만드는데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제주 지역의 모바일서비스 융합 및 발전방향 연구 (Research regarding mobile service fusion technology and develpement on jeju area)

  • 김홍두;이동철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6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672-674
    • /
    • 2006
  • 첨단 정보통신 기술이 발전과 더불어 관광객이 이용하는 모바일서비스 패턴은 매우 다양하게 변화되고 있으며, 향후 그 패턴이 모바일시장에서의 변화를 예측 가능하게 한다. 제주 지역은 연간 500만명이 방문하는 국내 최대의 관광지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 최대의 산업인 관광산업과 연계한 모바일 서비스 시장에 대한 현장 분석을 통하여 위치기반과 연계한 다양한 모바일 융합기술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 PDF

제주도 지하수 유역의 적절성 평가와 수리학적 유역설정 (Hydraulic Watershed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Flow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on Jeju Island)

  • 김민철;양성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23-433
    • /
    • 201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problems of the underground watersheds on Jeju Island, and to establish the hydraulic groundwater basin to be used as basis for the analysis of the groundwater model. In order to evaluate the adequacy of the groundwater basin on Jeju Island,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elevation and groundwater level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125 observation wells. The analysis, conducted with an elevation step of 100 m, exhibited values of R2 in the range 0.1653-0.8011. No clear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elevation and groundwater level. In particular, the eastern and western areas showed an inverse proportionality between elevation and groundwater level. The Kriging technique was used to analyze the underground water level data and to define the equipotential lines for all areas of Jeju Island. Eight groundwater watersheds were delineated by considering the direction of groundwater flow, the positions of the observation wells, and the long and short axes of the watersheds.

제주도 탐라층의 구성광물 (Mineral Composition of the Tamna Formation, Jeju Island)

  • 현원학;황진연;이진현;손병서;오지호;양경희;김광희
    • 암석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35-348
    • /
    • 2016
  • 제주도의 전 지역에 걸쳐 넓게 분포하고 있는 하성 퇴적층인 탐라층은 역암, 사암, 이암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부분의 탐라층 이암 내에 다양한 크기의 석영이 다량 함유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XRD 분석의 결과, 탐라층에는 석영, 사장석, 칼륨장석, 운모, 자철석, 적철석, 감람석, 휘석, 깁사이트, 방해석, 아날심, 그리고 점토광물로서 일라이트, 카올린나이트, 버미큘라이트, 스멕타이트, 녹니석, $10{\AA}$-할로이사이트 등의 다양한 광물들이 산출되었다. 석영이 많은 곳일수록 카올린나이트, 버미큘라이트, 녹니석의 함량이 많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로 보아 탐라층의 근원암은 제주도의 화산암에서 기원된 것만이 아니며, 석영을 다량 함유한 기반암이 포함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탐라층은 이전에 존재했던 기반암과 함께 제주도 화산암류의 물질들이 첨가되어 퇴적된 후, 속성작용, 열수작용, 풍화작용 등의 변질작용을 받아 형성된 것으로 생각된다.

한라산 구린굴의 천장 함몰로 인한 병문천의 유로 변경 (Channel Migration of Byeongmun River Caused by Roof Collapse of Gurin Cave in Mount Halla, Jeiu Island)

  • 김태호;안중기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66-476
    • /
    • 2008
  • 한라산 북사면에 소재하는 구린굴의 천장이 함몰되고, 동굴 지상을 흐르던 병문천이 동굴 안으로 유입되면서 442m 길이의 구린굴 가운데 73m 구간이 하천 유로로 바뀌었다. 구린굴 유로의 폭과 높이는 각각 447cm 및 501cm이며, 벽면은 용암선반이 발달한 전형적인 용암동굴의 모습을 보이나 바닥에는 기반암 하도 특유의 마식지형이 나타난다. 거북등 모양의 절리가 발달한 동굴 천장의 암반 두께는 $30{\sim}60cm$에 불과하며, 이런 장소에서는 천장이 함몰하기 쉬워 유로 구간에는 전부 4개 지점에 윈도우가 발달한다. 구린굴 유로가 출현하기 이전의 지상 유로는 병문천의 지류로서 제4함몰 윈도우 지점을 지나 표고 660m 지점에서 구린굴 동쪽 유역으로부터 흘러나오는 본류에 합류하였다. 그러나 구린굴 지상 유로의 하상에 윈도우가 형성되면서 지상 유로는 구린굴 유로로 대체되고, 새로운 유로는 표고 660m 지점에서 본류에 합류하게 되었다. 이후 구린굴 상류 쪽으로 병문천 유역이 확대되면서 구린굴을 통과하는 유로가 본류로 바뀌었다. 그러나 홍수류가 발생하면 구린굴 지상 유로에도 유수가 발생하므로 병문천은 제4함몰 윈도우 지점에서 일시적으로 분기 하천의 형태를 이룬다. 제주도 용암동굴의 천장에서는 낙반 현상이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으므로 제주도의 수계 발달에 미치는 용암동굴의 영향은 현재 진행형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산 Xiphinema 속선충(Dorylaimida : Longidoridae)의 분류 (The Nematode Genus Xiphinema(Dorylaimida : Longidoridae) From Korea)

  • 이영배;한상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7-21
    • /
    • 1976
  • 식물 virus병 매개체로서 그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Xiphinema 속선충(Dorylaimida: Longidoridae)을 분류한 결과 우리나라에서는 X. radicicola, X. bakeri, X. pini와 X. americanum의 4종이 밟혀졌으며, 이중에서 X. radicicola, X. bakeri 및 X. pini의 3종은 우리나라 말기fhr종들이 있다. X. radicicola는 수원, 평택의진위, 경북의 대구 및 의성등지의 사과과수원과 제주도 한라산의 느릅나무와 보리수나무에서 채집되었으며 X. bakeri는 수원잠업시험장의 뽕나무밭에서 그리고 X.pini는 계룡산의 동학사부근에 있는 때총나무와 단풍나무의 뿌리부근토양에서 발견되었다. 4종의 Xiphinema속선충중에서 X. americanum은 유일한 우리나라 기록종으로서 편의상 여기서는 X. americanum과 X. mediterraneum에 유사한 개체군을 모두 포함시켰다.

  • PDF

제주도 한림항내 표층퇴적물 중의 부틸주석화합물의 분포 (Distribution of Butyltin Compounds in Surface Sediments inside Hallim Harbor of Jeiu Island, Korea)

  • 감상규;김현정;허철구;최영찬;이민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7호
    • /
    • pp.753-762
    • /
    • 2003
  • Butyltin compounds (BTs), namely tributyltin (TBT), dibutyltin (DBT) and monobutyltin (MBT), were measured in surface sediments collected in 2001 inside Hallim Harbor where a lot of shipping occurs as one of major harbors of Jeju Island, in order to evaluate their distribution. BTs were detected in surface sediments of all stations and their concentrations were comparable to those in surface sediments of other sites of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The main species among BTs was MBT, although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with a survey site. No correlations were obtained between organic matter or particles size of surface sediments and total BTs, indicating that these factors did not affect on the distribution of BTs. It was estimated that more complex factors including BTs loads and surrounding sedimentary environments, affected on the distribution of BTs. The high correlations between BTs indicated that DBT and MBT were mainly degraded from TBT based on antifouling paints of vessel etc. and other sources, such as DBT and MBT, could be ignored. The butyltin degradation indexes ([DBT] + [MBT]/[TBT]) Ivere in the range of 1.5∼3.3 (mean 2.5), indicating that the parent compound, TBT, were inflowed into the surface sediments a long years ago and degra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