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e-Han Medical Center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39초

Four Times of Relapse of Plasmodium vivax Malaria Despite Primaquine Treatment in a Patient with Impaired Cytochrome P450 2D6 Function

  • Choi, Sungim;Choi, Heun;Park, Seong Yeon;Kwak, Yee Gyung;Song, Je Eun;Shin, So Youn;Baek, Ji Hyeon;Shin, Hyun-IL;Oh, Hong Sang;Kim, Yong Chan;Yeom, Joon-Sup;Han, Jin-Hee;Kim, Min Jae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60권1호
    • /
    • pp.39-43
    • /
    • 2022
  • Plasmodium vivax exhibits dormant liver-stage parasites, called hypnozoites, which can cause relapse of malaria. The only drug currently used for eliminating hypnozoites is primaquine. The antimalarial properties of primaquine are dependent on the production of oxidized metabolites by the cytochrome P450 isoenzyme 2D6 (CYP2D6). Reduced primaquine metabolism may be related to P. vivax relapses. We describe a case of 4 episodes of recurrence of vivax malaria in a patient with decreased CYP2D6 function. The patient was 52-year-old male with body weight of 52 kg. He received total gastrectomy and splenectomy 7 months before the first episode and was under chemotherapy for the gastric cancer. The first episode occurred in March 2019 and each episode had intervals of 34, 41, and 97 days, respectively. At the first and second episodes, primaquine was administered as 15 mg for 14 days. The primaquine dose was increased with 30 mg for 14 days at the third and fourth episodes. Seven gene sequences of P. vivax were analyzed and revealed totally identical for all the 4 samples. The CYP2D6 genotype was analyzed and intermediate metabolizer phenotype with decreased function was identified.

내과 전공의가 시행한 초음파 이용 흉수천자를 포함한 흉수의 진단적 접근 (Diagnostic Approach to a Patient with a Pleural Effusion Including Ultrasound-guided Paracentesis Performed by a Medical Resident)

  • 이윤영;최원제;유창민;서승오;김은실;안석진;정준오;박상준;김윤권;김소연;김영중;이세한;허헌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4권6호
    • /
    • pp.439-444
    • /
    • 2008
  • 연구배경: 일반적으로 고식적 흉수천자가 어렵다고 판단되는 경우 초음파를 이용한 흉수천자를 영상의학과에 의뢰해 왔다. 영상의학과에 의뢰할 경우 검사를 위해 환자가 직접 이동해야 된다는 불편함과 영상의학과 스케줄에 따라 검사가 지연되거나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이에 저자들은 병실에서 내과 전공의들이 직접 초음파를 이용해서 흉수천자를 시행하는 단계를 포함해서 흉수가 있는 환자에게 접근해보았다. 방 법: 2003년 3월부터 2005년 6월까지 입원한 환자중 흉수가 확인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흉수의 양이 중등도 이상일 경우에는 고식적 천자를, 흉수의 양이 소량 이거나 소방이 형성된 경우 또는 고식적 천자를 실패 하였을 때에는 초음파를 이용한 천자를 시행하였다. 결 과: 총 89예의 연구대상 가운데 소방의 형성이 없으며 흉수의 양이 대량과 중등도의 양인 79예에서 고식적 흉수천자를 시행하여 74예에서 성공하였다. 고식적 흉수 천자가 실패한 5예와 흉수의 양이 소량인 7예 그리고 소방형성이 있는 3예를 합한 15예에서 초음파를 이용해서 흉수천자를 시행하였고 10예에서 성공하였다(66.7%). 소방이 형성된 3예는 모두 실패하였다. 이 3예를 제외하면 12예 중 10예에서 성공하여 83%의 성공률을 보였다. 2예(기흉 1예, 혈기흉 1예)에서 합병증이 발생하였다(13.3%). 결 론: 고식적 흉수천자가 실패하였거나 흉수의 양이 소량인 경우, 병실에서 내과 전공의가 초음파를 이용하여 흉수천자를 시행하는 것이 비교적 효과적이고 안전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소방이 형성된 경우에는 영상의학과에 먼저 의뢰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脾氣虛證(비기허증) 진단평가도구 개발 연구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tandard Instrument of Diagnosis and Assessment for Spleen Qi Deficiency Pattern)

  • 오혜원;이지원;김제신;송은영;신승원;한가진;노환옥;이준희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57-170
    • /
    • 2014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tandard instrument of diagnosis and assessment for spleen qi deficiency pattern. Methods: Reports published in Korea and China related to spleen qi deficiency pattern were selected. Assessments of selected references were performed to select major symptoms of spleen qi deficiency pattern. Korean translation and review by a Korean linguist were performed to create a draft of [Standard instrument of diagnosis and assessment for spleen qi deficiency (for subject)]. The final [Standard instrument of diagnosis and assessment for spleen qi deficiency (for subject)] was completed after assessment on inclusion or exclusion, on importance of items and on validity of translation by an expert committee, consisting of professors from the National College of Korean Medicine. Results & Conclusions: 1. 14 major symptoms were selected by frequency from 45 references which were related to standard identification of spleen qi deficiency pattern, translated into Korean and reviewed by a Korean linguist. 2. 11 symptoms were selected after assessment on inclusion yes or no by the expert group. Items were listed in order of importance: tiredness of extremities (肢体倦怠), sallow complexion (面色萎黃), reduced appetite (食欲减退), abdominal distension after eating (腹胀食後尤甚), inability to eat (納少), pale tongue and white fur (舌淡苔白), lethargy (神疲), emaciation (消瘦), loose stool (大便溏薄), shortness of breath and reluctance to speak (少氣懶言), and weak pulse (脈緩弱). 3. Final [Standard instrument of diagnosis and assessment for spleen qi deficiency (for subject)] was completed after assessment of translation validity, reflection of individual opinions by the expert committee, and application of weighted value computed from assessment on importance of items.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of Upper Third Gastric Cancer during a 21-Year Period (Single Center Analysis)

  • Jang, Je-Ho;Beron, Reinaldo Isaacs;Ahn, Hye-Seong;Kong, Seong-Ho;Lee, Hyuk-Joon;Kim, Woo-Ho;Lee, Kuhn-Uk;Yang, Han-Kwang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0권4호
    • /
    • pp.212-218
    • /
    • 2010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proportions of upper third gastric cancer (UTG) among all gastric cancers and analyze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of the disease. Materials and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12,300 patients who underwent gastric surgery between 1986 and 2006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NUH)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of 1,260 patients with UTG and 9,929 patients with middle or lower third gastric cancer (MLG) were compared, and annual proportions of UTG were evaluated. Results: The proportion of patients with UTG rapidly increased from 2.6% in 1986 to 12.5% in 1992. However, linear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rate of increase was reduced (0.21%/year) after 1992 (12.5% to 14.2% from 1992 to 2006). Compared with the MLG group, the UTG group had a lower proportion of (22.3% vs. 39.7%, P<0.001) and a greater proportion of stage III/IV disease (39.4% vs. 31.7%, P<0.001). The UTG group also had larger tumors than the MLG group in stages I/II and III (3.5 cm/5.3 cm/6.5 cm vs. 3.2 cm/5.0 cm/5.8 cm, P=0.020/0.028 /<0.001), a higher proportion of undifferentiated cancer (63.1% vs. 53.7%, P<0.001), and less intestinal Lauren's type (38.8% vs. 47.4%, P<0.001). The 5-year survival rate of the UTG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MLG group in stages I/II and III (85.6%/63.1%/34.2% vs. 91.6%/ 69.2%/44.7%, P<0.001/0.028/0.006). Conclusions: The proportion of UTGs has increased over the last two decades at SNUH, but the rate of increase has been greatly reduced since 1992. The UTG group showed a poorer prognosis compared with the MLG group in stages I/II and III.

T-형 $Ca^{2+}$ 채널 길항제인 Mibefradil을 첨가한 인간 정자의 첨체반응 관찰 (Observation of the Incidence of Acrosome Reaction in Human Spermatozoa Treated with Mibefradil as a T-type $Ca^{2+}i$ Channels Inhibitor)

  • 이재호;손원영;이정하;이인선;김영찬;한징택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7권1호
    • /
    • pp.9-14
    • /
    • 2000
  • Objective: The sperm acrosome reaction is a $Ca^{2+}$-dependent exocytotic event that is triggered by adhesion to the mammalian egg's zona pellucida. Previous studies suggested a role of $Ca^{2+}$ channels in acrosome reac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T-type calcium channel is operated in acrosome reaction of human spermatozoa. Method: Human semen samples were obtained from healthy donors with normal criteria. The spermatozoa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Group 1 were non-treated as a control; Group 2 where spermatozoa were exposed to 5 ${\mu}M$ $Ca^{2+}$ A23187 $(Ca^{2+}i)$; Group 3 where spermatozoa were exposed 5 ${\mu}M$ $Ca^{2+}i$ and mibefradil; Group 4 where spermatozoa were exposed 5 ${\mu}M$ $Ca^{2+}i$ and nifedipine, and Group 5 where spermatozoa were treated with 5 ${\mu}M$ $Ca^{2+}i$ and both of mibefradil and nifedipine. Spermatozoa in all groups were retrieved after incubation for 15 and 30 minutes at $37^{\circ}C$. After staining with PSA-FITC, fluorescence was observed under a fluorescence microscope, and AR was evaluated on a total>100 spermatozoa/side. Result and Conclusion: We observed on acrosome reaction inhibition rate in human spermatozoa the various of concentration of mibefradil, nifedipine. Maximum response was noted with 1.0 ${\mu}M$ mibefradil and the decrease of acrosome reaction inhibition rate 45%. Nifedipine in acrosome reaction inhibition rate was only about 25%. The $Ca^{2+}i$-induced AR of spermatozoa was significantly suppressed by mibefradil. Incidence of the suppression was depending on concentration of mibefradil. Results from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the human spermatozoa possess T-type channel. The observation that reversible inhibitor of T channels in male germ cells provides a new mechanism of contraceptive action.

  • PDF

신체형 장애에서의 Testosterone과 통각 역치의 상관관계 (Correlation of Testosterone and Pain Threshold in the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

  • 박재홍;김명정;박제민;김용기;한귀원;박성화;윤경일;정영인;김성곤
    • 정신신체의학
    • /
    • 제6권1호
    • /
    • pp.22-27
    • /
    • 1998
  • DSM-IV 진단 기준에 의하여 신체화 장애, 미분화 신체형 장애, 그리고 달리 분류되지 않은 신체형 장애여성 환자 13명과 정상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압통에 대한 통각 역치와 혈청 testosterone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가변 하중 압통 예민도 측정기 (Variable Weight Pressure Algometer)로 측정한 통각 역치는 환자군이 153.8${\pm}$39.5gm/$0.05mm^2$로서 대조군의 197.5${\pm}$66.7gm/$0.05mm^2$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2) 혈청 testosterone치는 환자군에서는 0.175${\pm}$0.081ng/ml였고, 대조군에서는 0.174${\pm}$0.108ng/ml로서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Testosterone과 통각 역치와의 상관관계를 보면, 환자군에서는 혈청 testosterone치와 통각 역치 사이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나(r=0.632, p<0.05, two tailed, Pearson's correlation test), 대조군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r=-0.4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신체화 장애 환자와 정상인 사이에 통각 예민도 조절 기전이 서로 다를 수 있다고 사료 된다.

  • PDF

8체질의학과 질병생태학의 공통성에 관한 연구: 의료지리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A Search of the Community between Eight Constitution Medicine and Disease Ecology: A Perspective from Medical Geography)

  • 김창근;류제헌;김영훈;박수경;장영훈;한정훈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897-916
    • /
    • 2014
  • 8체질의학과 질병생태학은 질병의 원인을 병균 이외의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문화적 요인의 상호관계, 즉 인간과 환경의 관계에서 접근한다는 점에서 상당한 유사성을 공유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의학의 8체질의학과 지리학의 질병생태학 간의 공통성을 실증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두었다. 한의원을 내방하는 환자 647명의 임상 데이터와 전라남도 영광군의 사례를 분석하고 검증한 결과 도출된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각 시도별로 체질의 지리적 분포는 상이하게 나타나며, 이러한 분포 양상은 크게 해양형과 내륙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둘째, 체질에 따라 잘 걸릴 수 있는 질환과 태생지의 상호관련성은 비교적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렇지만 특정한 질환이 모든 체질에게 동일하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지리적 환경의 특성에 영향을 받는 식생활이나 생활습관에 따라 사람들에게 차별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유전, 자연환경, 문화 등 요인의 상호연관성을 면밀하게 분석하기 위하여 전라남도 영광군의 사례를 실험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자신의 체질에 맞는 식습관이나 생활습관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비교적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다양한 질환에 노출되어 있었다. 8체질의학과 질병생태학의 공통성에 관한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에 있으므로 앞으로 이러한 공통성을 규명하는 방법과 노력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투여되어야 할 것이다.

  • PDF

경기지역 소아에서 발생된 삼일열 말라리아의 역학 및 임상적 특성 (Epidemiologic and Clinical Features of Indigenous Vivax Malaria in Children in Kyonggi-do Province Area)

  • 김종호;이윤경;김종현;허재균;장기영;강혜련;강진한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7권2호
    • /
    • pp.218-224
    • /
    • 2000
  • 목 적 : 1970년대 이후 약 20년간 발생이 없었던 삼일열 말라리아가 1993년부터 발생되어 점차 확산되는 추세에 있어 과거와 같은 토착화에 대한 우려가 높다. 국내에서 말라리아의 토착화를 막기 위하여는 현재 발생되는 말라리아 대한 역학 및 임상 특성에 관한 연구가 제일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성인에 비해 발생율은 낮으나 소아에서도 환자가 증가되는 추세에 있어 소아에서도 동일한 관점에서 역학 및 임상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말라리아 다발생 지역인 경기지역의 소아에 발생된 말라리아의 역학 연구를 후향적으로 실시하였다. 방 법 : 1998년 9월부터 1999년 8월까지 경기지역 종합병원 및 국공립 의료기관에서 말초 혈액도말 검사상 말라리아로 진단된 15세 이하의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발생 연령 및 성별, 발생 시기, 발생 지역, 발생 역학적 배경, 발열의 양상, 동반 증상, 진찰상 특이 소견, 일반검사 소견, 말초혈액 도말검사 소견, 치료와 연관된 사항 및 예후에 관한 내용의 의무기록을 통하여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연구대상수는 총 21명으로서 남녀비는 2:1이었고 5세 이하에서도 삼일열 말라리아가 발생되었으나 11세 이상 15세 이하의 연령에서제일 많이 발생(14명;66.7%)되었다. 발생시기는 2월, 5,월, 6월, 10월에 각 1명씩 발생하였고 4월, 9월에 각 2명이 그리고 8월에 4명, 7월에 9명이 발생되었다. 환아가 발생된 동일 거주지역과 가족내에서 성인 환자 발생이 있었고, 지역적으로 파주, 의정부, 부평, 연천, 동두천, 포천, 철원, 부천의 순으로 다발생하였다. 임상적으로 발열의 양상은 48시간 간격의 주기성 발열이 15명, 24시간 간격의 주기성 발열이 4명, 비주기성 발열이 2명에서 보였고 발열외에 두통, 구토, 식욕부진, 오심, 오한, 권태감, 복통, 설사 등의 증상이 동반되었다. 진찰 소견상 비장비대가 제일 흔히 발현되었고, 검사 소견상 빈혈, 혈소판 감소증, 비정상 간기능, 백혈구 감소, 혈뇨의 순으로 이상 소견이 나타났다. 말초혈액 도말검사에서 Plasmodium vivax의 원충 단계는 young trophozite, gametocyte, schizont순으로 확인되었다. 전 예에서 chlorquine 약제의 치료반응이 좋았고 합병증이 없었으며 추적 가능한 8례에서도 재발은 없었다. 결 론 : 1998년 9월부터 1999년 8월 사이에 경기지역 소아에서 발생된 말라리아는 경기 북부지역의 10세 이상 고연령 소아에서 주로 하계절에 발생되며, 주기성 발열이 임상적으로 주된 증상이며 진찰상 비장비대가 주된 양성 소견이었으며 말초 혈액 도말검사상 young trphozoite가 제일 많이 발견됨을 알 수 있었다. 전반적으로 소아 환자에서의 치료 약제 반응은 좋고 합병증이 없이 양호한 경과를 보이며 재발도 거의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장중첩증에서 비수술적 정복의 실패 위험인자 (Risk Factors for the Failure of Non-operative Reduction of Intussusceptions)

  • 고광민;송영우;제보경;한재준;우찬욱;최병민;이정화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1권2호
    • /
    • pp.110-115
    • /
    • 2008
  • 목 적: 장중첩증의 일차적인 치료로 사용되는 비수술적 관장 정복은 장천공, 쇼크 그리고 복막염 등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과 불필요한 스트레스 및 과도한 방사선 노출의 위험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리한 비수술적 정복의 시도를 피하기 위하여 장중첩증 환자의 임상 양상 및 검사 소견 중 비수술적 정복 실패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 법: 고려대학교 의료원 안산병원에서 1998년 3월에서 2006년 7월까지 장중첩증으로 진단되어 치료받았던 환자 314명 중 비수술적 정복이 시도되었던 3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비수술적 정복의 성공 군과 실패군으로 나누어 성별, 연령, 임상증상 및 이학적 소견 그리고 증상의 시작에서 비수술적 정복술을 시도하기까지의 시간과 비수술적 정복 실패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 과: 비수술적 정복 실패 군의 경우 성공 군에 비해 연령이 어렸고(12.3${\pm}$17.2개월 vs 18.0${\pm}$15.8개월, p=0.03), 정복 시도까지의 시간 경과가 길었으며(33.6${\pm}$29.0시간 vs 21.5${\pm}$20.3시간, p<0.01), 구토, 기면은 많았음(p<0.01)에 비해 복통이나 보챔은 적었다(p<0.01). 이러한 인자들의 다중회귀분석에서 비수술적 정복 실패와 연관된 인자는 6개월 미만 연령(odds ratio: 2.5, 95% confidence interval: 1.2~5.2, p=0.01), 24시간 경과(odds ratio: 2.1, 95% confidence interval: 1.2~4.2, p=0.03), 혈변(odds ratio: 4.8, 95% confidence interval: 1.9~12.2, p<0.01), 기면(odds ratio: 3.4, 95% confidence interval: 1.1~10.4, p=0.04), 복통 또는 보챔(odds ratio: 0.2, 95% confidence interval: 0.1~0.4, p<0.01)이었다. 결 론: 장중첩증에서 6개월 미만 어린 연령, 혈변이나 기면의 소견, 증상 시작 24시간이 경과된 경우 비수술적 정복 실패의 가능성이 많으므로 이러한 사항을 충분히 고려하여 시행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좋겠다.

  • PDF

국내 신생아와 소아 세균성 수막염의 원인균주(2000~2005) (The Causative Organisms of Neonatal and Pediatric Bacterial Meningitis in Korea(2000~2005))

  • 전윤숙;이수영;목혜린;이정현;김종현;허재균;강진한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3권2호
    • /
    • pp.130-136
    • /
    • 2006
  • 목 적 : 최근 국내에서 신생아와 소아 세균성 수막염의 발생빈도, 원인균주의 변화, 임상양상, 치료방법, 합병증을 파악하고 예후에 관련된 위험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 2000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6년간 가톨릭대학교 6개 대학병원에 세균성 수막염으로 신생아실 혹은 소아과 병동에 입원한 57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전체 57명 중 신생아는 22명, 1개월 이상 15세까지 소아는 35명이었고 남녀 성비는 1.7 : 1이었다. 연평균 입원 환아수는 $9.5{\pm}4.28$명이었다. 신생아군에서 GBS가 16례(72.7%)로 가장 많았고, 소아군에서는 폐구균 9례(25.7%), Hib와 수막구균이 각각 8례(22.8%)순이었다. 항생제 감수성결과가 확인된 43례에서 penicillin 혹은 ampicillin에 대한 내성률은 폐구균 87.5%, Hib 85.7%, 수막구균 40%, GBS 33.3%, E.coli가 25%이었다. 2차 병원수준에서 입원 24시간이내에 확인 가능한 제한된 정보를 이용하여 예후 예측가능성을 분석한 결과, 몸무게 3백분위수 이하, 중앙값이상의 증가된 CRP 값, 뇌척수액 검사에서 당 감소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위험인자이었다(P<0.05). 결 론 : 신생아에서 GBS에 의한 수막염이 과거 국내자료에 비해 크게 증가되었다. 현재 국내에서 Hib와 폐구균 백신을 선별접종으로 시행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폐구균과 Hib는 소아 세균성 수막염의 주요한 원인균주임을 확인하였고, 높은 CRP값, 낮은 뇌척수액 당 수치, 3백분위수 이하의 저체중은 위험 예후 인자임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