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aw function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3초

임상가를 위한 특집 1 - 측두 하악 장애의 진단과 치료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Disorder)

  • 김철훈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0권5호
    • /
    • pp.244-255
    • /
    • 2012
  • Temporomandibular disorder(TMD) is described as a cluster of disorders characterized by pain in the preauricular area and/or the muscles of mastication; limitations or deviations in mandibular range of motion; and noises in the TMJ during mandibular function. The most common symptom in TMD patients is pain that is aggravated by chewing or other jaw function. These symptoms are appeared when the stimuli loaded in TMJ are over the physiologic tolerance. The primary goal in treatment of TMD is to alleviate pain and lor mandibular dysfunction. TMD treatment can be divided into 2 categories: reversible and irreversible methods. Reversible methods include medication, thermal therapy, habit modification, physical therapy, appliance therpy and arthrocentesis and lavage and irreversible methods include arthroscopic lysis, surgery, occlusal adjustment et al. It is widely accepted that reversible methods are ther first choice of treatments. However if reversible ones are not effective, irreversible methods are considered.

Class II 부정교합환자의 Trainer for Kids(T4K)를 이용한 조기치료 : 증례보고 (Early Treatment of a Class II Malocclusion with the Trainer for Kids (T4K): A Case Report)

  • 안소연;김아현;심연수;김민정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9권1호
    • /
    • pp.101-110
    • /
    • 2013
  • T4K는 혼합치열기의 2급 부정교합 환자에게 사용되는 기능성, 가철성 교정장치이다. 기능성 교정장치의 경우 치열과 악골의 성장에 영향을 주는 구강안면부의 근육의 부조화를 개선시키는 역할을 한다. T4K에 포함된 lip bumper는 과도한 하순의 힘을 차단하여 주고, 하순 내측 전정을 자극하는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부적절한 혀의 위치를 교정할 수 있는 요소는 환자들이 장치를 장착하는 동안 부가적인 혀 운동을 할 필요성을 감소시킨다. 2급 부정교합 환자의 경우 하악 열성장을 동반하는 경우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 장치는 상악 치아를 고정원으로 하여, 하악을 전방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자극하여 부족한 하악 성장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와 함께 부가적으로 Labial bow와 같은 역할을 하는 요소는 상악 치열의 개선에 도움을 준다. T4K는 기성품으로 작은 부피와 부드러운 질감으로 어린 환자들의 장착 동의율을 높이는 데 장점을 가진다.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산본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혼합치열기의 2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요약 1. T4K를 혼합치열기의 2급 부정교합 환자에게 사용하여 안모의 개선을 얻었다. 2. 과도한 수직, 수평 피개교합이 개선되었다. 3. 하악 열성장 환자에서 T4K를 장착하여 하악 성장을 촉진하는 결과를 얻었다. 4. 구호흡 등과 같은 구강악습관의 개선을 얻었다.

악교정 수술시 교합평면의 차이에 따른 술후 안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TOPERATIVE STABILITY OF OCCLUSAL PLANE IN ORTHOGNATHIC SURGERY PATIENTS DEFENDING ON THE DIFFERENCE OF OCCLUSAL PLANE)

  • 황충주;임선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37-253
    • /
    • 1998
  • 골격성 제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성장조절이나 절충치료로 해결하기 어려운 경우 악교정 수술을 시행하게 되며, 이러한 환자의 대부분이 최대의 효과를 얻기 위해 상하악 동시 수술이 필요하다. 이러한 양악 수술에서, 교합평면의 설정은 진단 및 치료에 매우 중요한 기준이 되어지며, 바람직한 기능 및 심미적인 결과와 술후 안정성을 얻을수 있도록 계획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양악 수술을 시행받은 골격성 제 III급 부정교합 환자 48명 (남자25명 여자23명, 평균 연령 21.5세)을 대상으로 하여 교합평면의 설정에 사용되어지는 몇가지 진단 기준중,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는 Delaire의 구조적, 구성적 분석에 의한 각 개인의 이상적인 교합평면의 술후 안정성에 대해서 평가하고자 이상적인 교합평면에 부합되게 수술이 시행된 군(A군-24명)과 이 평면에서 벗어난 군(B군-24명)으로 나누어, 수술 직전($T_1$)과 수술 직후($T_2$-평균 4.3일), 수술 8개월 이상 경과 후($T_3$-평균 1년 3개월)에 두군의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1. 양악 수술 후 $T_2와\;T_3$시기의 유의차를 보인 값은 교합평면과 하악평면이 이루는 각 이었으며 그외의 교합평면의 경사도에선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교합평면의 술후 재발량은 SN평면과, FH평면에 대해서 각각 $0.24^{\circ}{\pm}2.43{\circ},\;0.15{\circ}{\pm}2.16{\circ}$로 양악 수술 후 교합평면의 안정성은 유지되었다. 2. A군과 B군사이에서 교합평면의 안정성에는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3. A군및 B군내에서 교합평면의 안정성은 술자 및 수술방법에 따라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술후 교합평면의 변화($T_3-T_2$)는 술후의 치아에 의한 변화 보다는 악골의 변화($T_3-T_2$)와 높은 순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하악골의 변화와 높은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5. 술후 교합평면의 변화($T_3-T_2$)는 수술에 의한 상악골의 impaction양, 하악골의 후퇴량($T_2-T_1$)과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 PDF

타악기를 활용한 과제지향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Task-oriented Approach using Percussion Instruments in Chronic Stroke Patients Effect on Upper Limb Funct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김주학;김명권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03-116
    • /
    • 2021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n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muscle strength, and hand function of a task-oriented training approach using a percussion instrument for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METHODS: Twenty-four chronic stroke patients accompanied with upper extremity hemiplegia were selected for research and were classified randomly into 12 experimental groups and 12 control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a task-oriented approach, and the control group performed upper extremity occupational therapy. Stroke upper extremity test,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upper extremity muscle strength test, and hand muscle strength test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raining in the evaluation process. RESULTS: In the upper extremity test and Jebsen-Taylor te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the upper extremity muscle strength te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houlder flexion, internal rotation, and elbow flex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hand muscle strength te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rip, tip Pinch, lateral Pinch, and 3-jaw chuck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only grip, tip pinch, and lateral pinch in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ateral pinch compared to the amount of change. CONCLUSION: Task-oriented approach using percussion instruments for upper extremity rehabilitation in stroke patients is effective in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strength, hand function, and strength.

수복 공간이 부족한 환자에서의 완전구강회복 (Full Mouth Rehabilitation in a Patient with Limited Restorable Space)

  • 임광길;김대곤;조리라;박찬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6권2호
    • /
    • pp.145-156
    • /
    • 2010
  • 치아 우식, 치주 질환, 치아 파절 등으로 다수의 구치가 상실된 환자의 경우 대합치의 정출, 잔존 치아의 과도한 교합 하중으로 인한 교합 외상의 문제가 발생된다. 대합치 정출이 발생된 경우 인접 조직의 성장도 이와 동시에 발생되고 보철을 위한 악간 공간의 상실을 동반하게 되며 교합 외상으로 인한 치아에 동요도 증가 및 교모에 의한 마모도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구치의 다수 상실, 대합치 정출 및 잔존치의 교모 증가를 동반한 환자에 있어서는 적절한 치주 수술(치관 연장술, 골 절제술 등) 및 수직 교합 고경의 회복을 통한 잔존 치아와 상실된 치아의 수복이 필요하게 된다. 본 증례의 환자는 상실된 구치의 수복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로 구치부 상실 및 잔존치의 마모된 치열을 지녀보철 수복을 위한 공간을 위해 수직고경을 증가시켜 치료한 치험예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Gothic arch tracing을 이용한 의치의 중심위 기록 (Gothic arch tracing to record centric relation for dentures)

  • 신수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0권3호
    • /
    • pp.238-245
    • /
    • 2014
  • 무치악 환자에서 기능적으로 우수하고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의치 제작을 위해서는 상, 하악 교합관계, 즉 교합수직 고경과 중심위를 정확하게 결정해야 한다. 수직관계를 결정할 때에는 근육, 상, 하악 치열궁간 거리와 상, 하악 치조제의 평행도 등 여러 요소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중심위는 모든 하악 운동이 시작되는 재현 가능한 위치로서 기록하는 과정 역시 의치 제작에 매우 중요하다. 만일 이러한 악간관계 채득시 오차가 생기면 결과적으로 제작한 의치가 불편하게 된다. Gothic arch tracer와 같은 트레이싱을 이용하는 방법은 술자가 쉽게 교합수직고경과 중심위를 찾아내고 기록할 수 있는 좋은 방법으로 안정적인 교합수직고경에서 하악의 운동위를 얻기에 유리하다.

교합기능시 흉쇄유돌근과 교근의 관계에 대한 근전도학적 연구 (AN INTEGRATED EMG STUDY OF THE RELATIONSHIP OF STERNOCLEIDOMASTOID AND MASSETER MUSCLES DURING OCCLUSAL FUNCTION)

  • 김교철;최부병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37-52
    • /
    • 198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ternocleidomastoid (SCM) and masseter muscles during occlusal functions by means of EMG recordings of examined muscles. For the study, eighteen normal subjects were selected and the Bio-electric Processor EM2 (Myo-tronics Research, Inc., U.S.A.) with the surface electrodes was used to record the EMG activity from the right and left middle of masseter and insertion of SCM of each subject during right and left gum-chewing and isometric contraction by changing the biting force at right eccentric position of jaw. The amount of biting force ranged from 5 to 70kg during isometric contraction were measured by use of Jaw Force Meter. (Nihon Koden Kogyo, Japa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ctivity onset of SCM and masseter on the same side was almost at the same time, and integrated EMG values of two muscles on the chewing side were higher than the same named muscles on the non-chewing side during gum-chewing. (p<0.01) 2. The regression correlation was not present between both masseters (p>0.05), but between both SCM muscles or muscles of two kinds on the chewing or non-chewing side. ($p{\leqq}0.05$) 3. The integrated EMG value of SCM on chewing or non-chewing side were about 10 percent of that of ipsilateral masseter. 4. Mean voltage of each examined muscles were almost proportional to biting force during isometric contraction and the slope of voltage/biting force line was steepest at the ipsilateral masseter, followed by contalateral masseter, ipsi- and contra-lateral SCM muscles. 5. Mean voltage of ipsilateral masseter was highest during isometric contraction, followed by ipsilateral masseter, contra- and ipsi-lateral SCM muscles.

  • PDF

III급 악골 관계를 가진 상악 편악 무치악 환자의 수복 (A Case Report of Maxillary Complete Edentulous Patient with a Class III Jaw Relations)

  • 박미희;홍준원;최지하;이정준;박주미;송광엽;안승근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5권4호
    • /
    • pp.431-436
    • /
    • 2009
  • 심한 치조골 흡수를 동반한 III급 악골 관계 환자의 총의치 제작의 경우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교합을 제공하는 치료계획을 세워야 한다. 불리한 치관 대 치근 비와 임상적 동요도가 관찰되는 하악 잔존치를 고정하여 사용함으로써 환자의 불편감을 줄이고 시간적, 경제적으로 효율적인 치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상악 편악 무치악 환자의 기능적인 하악 운동과 조화로운 총의치 균형 교합을 이루기 위해 T-Scan System을 이용하였다.

보철치료를 위한 골다공증 환자의 관리 (Management of osteoporosis patients for prosthetic restoration)

  • 백지연;전한솔;이진한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2권2호
    • /
    • pp.93-101
    • /
    • 2016
  • 건강에 대한 관심과 평균 수명 증가로 보철수복을 위해 치과에 내원하는 고령 환자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고령 환자는 다양한 만성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특히 골다공증은 고령 환자에서 매년 증가하는 추세로 치과에 내원하는 골다공증 환자 수는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 현재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재가 골다공증 치료에 가장 많이 사용되며 장기간 경구복용 하거나 주사제를 투여받은 환자에서 악골괴사가 부작용으로 보고되었다. 이러한 약제관련 악골괴사는 외과적인 치과치료가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고 발병하면 치유가 어려워 예방이 중요하다. 보철 수복을 위한 구강형성 과정에서 외과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으며, 골다공증 환자의 성공적인 치료를 위해 치과의사는 질환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관심을 가져야 한다.

동적 교합을 나타내는 가상 환자의 형성을 통한 심미적인 전치부 보철 수복 증례 (Using dental virtual patients with dynamic occlusion in esthetic restoration of anterior teeth: case reports)

  • 구필준;최유성;이종혁;하승룡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1권4호
    • /
    • pp.328-343
    • /
    • 2023
  • 최근 삼차원적 안면 스캔 (facial scan) 및 악운동 (jaw motion) 등의 데이터를 통합하여 동적 교합을 나타내는 가상 환자를 형성함으로써 심미적인 전치부 고정성 보철물을 제작하는 방법이 소개되고 있다. 이를 통해 진단과정에서 환자와의 원활한 소통이 가능하며, 심미적인 보철 치료의 예지성을 높일 수 있고, 교합조정의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상악 전치부 심미 보철 수복이 필요한 환자에서 구강 스캔 데이터와 삼차원 (3D) 안면 스캔데이터, 환자의 악운동 기록을 computer-aided design (CAD) 소프트웨어 상에서 통합하여 동적 교합을 나타내는 가상 환자를 형성하였다. 이를 통해 치료의 결과를 시뮬레이션하고 심미적인 상악 전치부 고정성 보철물을 제작 및 수복하였다. 또한, 안정적인 교합관계를 회복하고 적절한 전방유도가 형성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각각 치료 단계별로 환자의 교합을 비교 평가하였으며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